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6/09/19 12:36:42
Name 보통블빠
File #1 20160919_123541.jpg (34.5 KB), Download : 27
File #2 20160919_123636.jpg (136.1 KB), Download : 29
Link #1 http://m.inven.co.kr/webzine/wznews.php?idx=65794&iskin=esports
Subject [스타2] WCS 글로벌 단두대 매치의 추억




WCS 글로벌 파이널은 전신을 포함하면 2012년부터 시작된 계획입니다. 그러나 확실한 WCS 출범과 함께 시작된 리그 포멧은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세계각국에서 경쟁을 벌이는 스타크래프트2 프로게이머들의 천하제일 무술대회 장소도 블리자드 최고의 행사인 블리즈컨 무대에서 시작합니다.(2012년 글로벌 파이널 결승전은 블리즈컨 행사장이 아니었습니다.)
지금은 WCS 개편으로 우승자는 막판에 죽쑤더라도 블리즈컨 16강에 직행(방태수 선수가 로열로더를 달성하며 블리즈컨 직행을 성공했습니다.)하였으나 과거 양희수 선수는 WCS 지역대회를 우승하고도 포인트가 부족하여 탈락하는 불운을 겪기도 했습니다. 이렇듯 16위명에 들기는 참 어려운 WCS 글로벌 파이널에는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있었습니다.

2013년 당시 탐사정러시 등등 온갖 기행으로 인성왕으로 유명한 요한 루세시와 김동현 선수는 공교롭게 WCS 16위로 포인트가 비슷하게 경쟁중이었습니다. 요한 루세시는 16위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 현상금까지 내걸면서 견제를 시작합니다.(김동현 선수도 고작 그런 푼돈으로 나를 이길 수 있을까 라며 응수합니다.) 그러나 김동현 선수는 WCS 챌린지를 통과하면서 둘의 포인트는 결국 동률이 되었고 5전 3선승제로 펼쳐진 치열한 블리즈컨 티켓 전쟁이 시작됩니다.
하지만 둘은 치열한 대결을 펼칠거라고 예상되었던 결과는 요한 루세시의 3대0 완승으로 끝이 납니다. WCS 글로벌 파이널 첫 단두대 매치를 통과한 요한 루세시는 블리즈컨 16강에서 김민철 선수에게 3대1로 완패하면서 그 도전이 마무리됩니다.

그 이후 2015년 WCS 글로벌 파이널 자리를 놓고 정명훈 vs 고석현 두 선수의 16위 단두대 매치가 진행되었으며 둘은 치열한 풀세트 접전 매치로 기대를 저버리지 않은 명승부를 보여주었습니다. 16위로 글로벌 파이널에 진출한 정명훈 선수는 아쉽게도 16강에서 김준호 선수에게 3대1로 패배합니다.

올해 2016년 WCS 글로벌 파이널은 한국지역과 해외지역으로 나누어 각각 8명을 선발합니다. 지금 가장 유력한 단두대 매치는 WCS 해외지역의 김동환 선수와 폴란드의 97년생 게이머 Elazer(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Elazer)가 유력합니다. 둘의 WCS 포인트는 2610점으로 동률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Sgt. Hammer
16/09/19 13:10
수정 아이콘
어뜨케 이렇게 자주 포인트 동점인 경우가 나오는지 정말 알 수가 없습니다 크크크
길바닥
16/09/19 16:20
수정 아이콘
WCS 시즌123 있던때가 빡빡하고 시즌파이널챙겨보는재미가있었는데 제동신이기억에남는..
16/09/19 17:24
수정 아이콘
저도 시즌파이널이 진짜 재밌었던거 같아요
뜬금 준우승한 이제동, 조성주 때려잡던 스칼렛, 백동준과 조성주의 돌개바람 경기, 윤영서 정윤종의 뉴커크 재개발지구 경기...
잉여레벨만렙
16/09/20 09:35
수정 아이콘
시즌 파이널 정말 좋아했습니다 흐흐.. 늘 KR이 최강이었지만 거기에 도전하는 타 지역 활동 선수들의 모습도 인상적이었죠. 시즌1 이신형의 천하무적 포스, 시즌2 윤영서 이신형의 뉴커크 재개발지구, 윤영서 정윤종의 돌개바람, 최지성의 감동적인 우승, 블리즈컨을 가기 위한 시즌3 백동준의 압도적인 모습 등이 기억에 남네요. 시즌 파이널은 정말 재밌는 제도인데 아무래도 비용이 많이 들어 상금을 올리면서 폐지한 게 아닐까 싶습니다.
AeonBlast
16/09/20 22:53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시즌파이널제도는 별로 좋아하지않았지만(사실 블컨이 시즌파이널과 시스템상 별 다를바없는게 불만이지만요.크크) 꿀잼이긴했습니다.

시즌1의 이신형과 정종왕의 귀환
시즌2의 나니와스칼렛의 분전과 제동신의 폭풍준우승(우승한 최지성선수도 멋졌습니다.
16/09/21 12:1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저런 단두대매치가 파이널보다 더 긴장감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419851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85389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55077 13
81482 [오버워치] [OWCS] EWC 오버워치 프리뷰 [1] Riina1307 25/07/30 1307 1
81481 [기타] [철권8/스파6] EVO 2025 한국어 중계 방송 & 뷰잉파티 (8.1~4) 염력의세계2116 25/07/29 2116 0
81479 [LOL] 럼블 버그 이슈 [32] 햅피6986 25/07/29 6986 0
81478 [LOL] 페이커 재계약 관련 뉴스 및 반응들 [34] TAEYEON10550 25/07/28 10550 11
81477 [LOL] T1 FAKER 이상혁 4년 재계약 [121] 미드나잇블루17337 25/07/27 17337 15
81476 [LOL] 페이커, 4년 재계약. 2029년까지 T1선수로 [80] Leeka13436 25/07/27 13436 10
81475 [랑그릿사 모바일] 본섭 7주년 특별 생방송 내용 간단 요약 !! [7] 통피5676 25/07/27 5676 2
81474 [LOL] 1승이 쉽지않다 DN프릭스vsDRX, 홈그라운드를 축제로 끝낸 T1vs농심. LCK 3라운드 일요일 경기 후기 [16] 하이퍼나이프7517 25/07/27 7517 1
81473 [LOL] 2025 T1 홈그라운드 "원정관람" 후기 [4] Rorschach6730 25/07/27 6730 12
81472 [LOL] 2025 월즈는, 기존 월즈와 다른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36] Leeka7861 25/07/26 7861 6
81471 [기타] 2025 T1 홈그라운드 2일차 정산: 홈그라운드 이벤트의 명과 암 [4] 노틸러스4753 25/07/26 4753 18
81470 [LOL] 돌아왔구나! LCK 3라운드 DKvsBFX, 한화생명vsKT 후기 [22] 하이퍼나이프6256 25/07/26 6256 7
81468 [랑그릿사 모바일] 필독! 한섭에 날개꺾인새와 렌달, sp티아리스가 옵니다! + 중섭 신규 영웅 소개 [31] 통피7032 25/07/25 7032 4
81467 [LOL] 호랑이를 안방에 불러들여 사냥에 성공한 T1 - LCK 3라운드 T1 vs 젠지 [133] 하이퍼나이프14869 25/07/25 14869 15
81466 [기타] 최근 글로벌 게임업계 동향에 대한 글 소개 [8] EnergyFlow7159 25/07/25 7159 1
81465 [스타2] 우리 종족도 좀 우승하게 해주세요! 흑... (ewc 2025 스타2 프리뷰) [26] 원장6115 25/07/25 6115 7
81464 [LOL] 제우스 파이팅 [45] 감자크로켓7361 25/07/25 7361 33
81463 [LOL] T1 팬을 욕하지 말라. [442] 동쪽의소나무13877 25/07/25 13877 62
81462 [LOL] 김성회의 G식백과에서 T1을 진짜 가루로 만들어버렸네요 [122] watarirouka13627 25/07/24 13627 19
81461 [LOL] 안타까운 든프의 경기력과 훌륭했던 비디디의 품격 - DNFvsBFX, KTvs농심 후기 [15] 하이퍼나이프5878 25/07/24 5878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