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16 10:14
후토마키에서 유래되서 한국식으로 변형된 음식이라는건 분명하죠. 한국에서는 일본 유래의 한식으로 여길것이고 일본에서는 한국화된 일식으로 여길것이구요. 3~4번은 일본기원을 부정해보려고 지나치게 무리수를 둔 설명이구요.
25/09/16 10:15
2번으로 봅니다. 이미 김으로 마는 초밥과는 같은 요리라고 볼 수가 없죠. 자장면처럼 한국식 중식도 아니고, 이미 한식이라 보고요.
25/09/16 10:19
기원은 일식이었으나 이미 한식화되었죠. 공통점도 김으로 재료 말아서 싼다는 것 밖에는 없구요.
저 어렸을 때는 밥도 초밥으로 지었으나 지금은 그것도 없어졌어요.
25/09/16 10:22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30309220000908
[김밥의 원조는 한국일까, 일본일까] 2022.03.05 <1930년 3월 7일자 동아일보> ‘부인의 알아둘 봄철 요리법(2)’ : 산도위치(샌드위치)와 함께 ‘김쌈밥’의 레시피 일본에서 김을 먹은 시점은 우리나라보다 훨씬 늦다. 오후사쯔요이 박사의 ‘바다 채소’라는 책에 따르면 일본은 18세기 초중반부터 김을 먹었다고 한다. 이처럼 우리가 김을 훨씬 더 일찍 먹기 시작했으므로 김밥 또한 우리가 앞서서 먹기 시작했다는 게 한국 기원설의 핵심이다.
+ 25/09/16 11:10
‘열양세시기(1819)’와 ‘동국세시기(1849)’에 의하면 배춧잎에 김과 밥을 싸먹는 음식이 ‘복과’, ‘박점’, ‘복쌈’이라는 음식으로 존재했다.
저 기사에 보면 [김과 밥을 같이 먹었다] 정도의 우리나라 기록은 있지만 [속재료와 밥을 김에 싸서 먹었다] 라는 기록은 없는 상황이라 양쪽 다 일리가 있는 상황이고, 그냥 복합적으로 얽혀있다고 봐야겠죠 흐흐
25/09/16 10:23
2번이 맞다고는 생각하고, 다만 일식에서의 후토마키랑은 이제 많이 다르죠.
일본인들도 김밥과 후토마키는 확실하게 구분하는 편이고, 대체로 김밥? 그거 한식 아냐? 하고 있으니 뭐...
25/09/16 10:23
옛날엔 김초밥이라고 불렀는데 지금은 김밥으로 부르는거 보면 한식 맞다고 생각합니다
기원은 다른나라지만 짜장면 탕수육 같이 한식화된거죠 말이에 쓰는 김 식감도 미묘하게 다릅니다
25/09/16 10:33
짜장면은 한국식 중식일까요, 중국식 한식일까요.
저는 맛으로는 후자지만 '중국집'에서 판다는 걸 고려하면 문화적으로는 전자라고 생각합니다.
25/09/16 10:40
이건 반대로 한국에서는 한국식 중식으로 중국이나 다른 외국에서는 중국식 한식으로 여기는 느낌이에요. 일본 라멘이 좀 비슷한 느낌이 아닐까 싶습니다.
+ 25/09/16 10:54
어레인지된걸 보여주고 그 나라가 받아들일 수 있는지를 봐야죠
아아를 이탈리아식 커피라고 하거나 기무치나 고추가루 사워크라우트를 김치라고 부를 수 있을까 생각해봅시다 일본에서 김밥을 김초밥이라고 부르는걸 용인할까요?
+ 25/09/16 11:03
김을 먹기시작한 역사가 일본보다 훨씬 오래되었기 때문에, 김밥을, 아예 전혀 없던 음식이 일본에서 전래되어 시작되었다고 보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김을 이용한 지금의 김밥의 원형이라고 할만한 무엇인가가 우리나라에도 있긴 했었는데 일식 영향을 받아 발전하면서 지금 같은 조리법을 갖추게 되었다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25/09/16 11:59
(수정됨) 실제로 김쌈이라고 있었습니다, 밥을 소금과 참기름으로 양념한 다음 나물이나 고기, 버섯류를 볶거나 무쳐서 속에 넣고 김으로 복주머니 형태로 싸서 먹던 음식이었습니다
식품학자들도 점차로 우리나라에서 유래된 전통음식이라거나 일본의 후토마끼가 단독으로 변형된 것일뿐이다, 이렇다기보다 김쌈의 전통과 일본의 후토마끼가 만나서 오늘날의 김밥으로 발전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댓글을 적고나니 본문에도 김쌈에 대한 언급이 있군요, 제 전공이 이쪽인데 개인적으로는 일제강점기나 그 이후에도 김쌈과 후토마끼(김초밥)를 각각 별개로 먹다가 김쌈의 내용물을 후토마끼의 방식으로 만들어 먹기 시작하면서 김쌈과 김초밥은 되려 소수문화로 밀려나고 김밥이 주류가 된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명백한 한식이 맞죠
+ 25/09/16 11:12
일단 유래가 어떻게 되냐의 문제지, 김밥이 한식이란건 아무도 부정하지 않죠.
우리가 생각하는 김밥이 만들어지는데 일식의 영향이 있던것도 사실이라고 봐야할거고요.
+ 25/09/16 11:17
인터넷에서 본 자료들만 보고 생각해본 개인덕인 뇌피셜로는 현재의 돌돌 마는 김밥은 후토마키에서 온 거고.
후토마키 이전에는 단순히 김에 밥을 싸서 먹는 김밥이 주류가 아니었을까 싶어요. 근데 어느쪽이든 지금은 그냥 한식인 걸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