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26 15:55
저게 가능한가요? 구글플레이 제외 서드파티 스토어도 죄다 막아버리는 건가.
어차피 안드 자체가 오픈소스인데 누군가는 풀지 않을지...
25/08/26 16:23
그것보다는 정확히. 구글 서비스 쓸래? AOSP 쓸 래? 선택해에 가까운 느낌입니다.
안드로이드 쓰면서 구글 서비스 안 쓸 수가 없으니 , 막상 강제화긴하지만요.
25/08/26 16:00
보안 취약을 야기하는 원인 중 하나이긴 했으니 타당성은 있긴 한데, 구글한테 밉보이는 앱들은 고사시켜버리겠다는 뜻이기도 하군요. 중국발 전자제품 앱들이나(대표적으로 DJI 드론 관련 앱이라든지) 국내의 경우 유니콘 등이 업체에서 배포하는 apk로 설치하는 게 정식루트로 알고 있는데, 과연 어떻게 될지요.
25/08/26 16:22
일단 그 문제는 구글이 이야기 한 대로면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막말로 앱 내용은 안보고 누가 배포 하는지 만 보겠다 이긴 하니까요.
그래도 구글이 칼 손잡이를 쥐긴 쥐는 거라 ... 좀 찜찜하네요.
25/08/26 16:08
AOSP 가 아니라 GMS 인증 ANDROID 이긴 하고, 기존 구글 스토어 콘솔과는 완전히 개별인 개발자 콘솔을 제공한다고 하니 , 정상적인 사이드 로딩 및 스토어는 별 문제는 없어 보이긴합니다.
25/08/26 16:29
무작정 막는게 아니라 개발자 등록이 되어 있어서 누가 빌드했는지 확인이 되는 apk만 깔 수 있게 하겠다는거네요. 온갖 scam이 돌아다니고 있어서 이게 맞다고 봅니다. apk 설치 강요가 빈번해서 경각심이 낮은 경우에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될 것 같습니다.
25/08/26 16:53
잘 몰라서 그러는데, 저 정책이 시행되면 스미싱 범죄를 저지르기가 까다로와지는 건가요? 일견 무단으로 불법적인 apk 가 설치되기 힘들어져 보이고, 그러면 스미싱이 힘들어지게 될 것 같기는 한데요.
+ 25/08/26 17:44
잘 모르는데 관심있고 궁굼해서 여쭤봅니다.
기존의 ios 앱 등록시에나 본문처럼 승인된 개발자만 등록한다고 할때 승인된 개발자는 무엇을 뜻하나요? 개발자로 승인받는 과정이나 레벨이 힘들고 높은 편인가요?
+ 25/08/26 18:57
구글의 새로운 안드로이드 정책은 '개발자 확인'을 통해 안드로이드 앱 설치의 안전성과 신뢰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쉽게 말해, 앞으로는 구글에 신원을 증명한 개발자만이 앱을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올리는 앱뿐만 아니라, 인터넷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직접 설치(사이드로딩)하거나 다른 앱 스토어를 통해 설치하는 경우에도 해당됩니다. 이 정책의 핵심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1. 정책 변경의 배경 악성 앱 유포 차단: 신원을 숨긴 악성 개발자들이 악성코드나 금융 사기 앱을 반복적으로 유포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개발자의 신원이 확인되면, 악성 행위 적발 시 해당 개발자를 쉽게 추적하고 제재할 수 있게 됩니다. 사용자 보호 강화: 사용자들이 출처가 불분명한 앱을 설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줄여, 안드로이드 생태계 전체의 안전성을 높이려는 목적입니다. 2. 주요 변경 사항 (개발자 대상) '개발자 확인' 의무화: 안드로이드에 앱을 배포하려는 모든 개발자(구글 플레이 스토어 및 기타 경로 포함)는 구글이 정한 절차에 따라 신원을 확인해야 합니다. 새로운 개발자 계정 요구사항: 개인 계정: 법적 이름, 주소, 연락처(이메일,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실제 안드로이드 기기를 소유하고 있음을 증명해야 할 수 있습니다. 조직 계정: D-U-N-S 번호(기업 식별 번호), 조직 정보, 담당자 정보 등을 추가로 제출해야 합니다. 3. 일반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 안전한 앱 설치 환경: 구글의 '개발자 확인' 절차를 통과한 앱만 설치되므로, 악성 앱으로 인한 피해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더 이상 '출처 불명 앱'이 아닌 '미확인 개발자 앱': 기존에는 "출처 불명의 앱"이라는 경고가 떴지만, 이제는 "미확인 개발자가 등록한 앱"이라는 식의 경고가 표시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앱을 설치할지 말지에 대해 더 명확한 판단을 할 수 있게 됩니다. 4. 정책 적용 시기 및 대상 국가 2026년 9월부터: 브라질,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태국 등 일부 국가에서 우선적으로 시행됩니다. 이들 국가는 특히 악성 앱으로 인한 피해가 많았던 지역입니다. 2027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확대 적용될 예정입니다. 요약: 이 정책은 개발자들이 앱을 배포하기 전에 **'나는 신뢰할 수 있는 사람(또는 회사)입니다'**라고 구글에 증명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안드로이드 사용자들이 어떤 경로로든 앱을 설치할 때 악성 앱으로부터 보호받고, 더 안전한 환경을 누리게 하려는 구글의 중요한 보안 강화 조치입니다. ------------------------------- 재미나이에게 물어보니 이렇다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