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23 21:26
2024년도 0.88
2023년도 1.16 2022년도 1.32 2021년도 1.54 2020년도 1.65 조금만 찾아봤는데 낙차가 말도 안되는 수준...
25/04/23 21:33
궁금해서 살짝 찾아봤는데,
1. 자원 생산해서 해외로 수출하는 것에 경제가 의존하는 구조이다보니, 외국 자본 유입이 크고, 그로 인한 물가가 높은 편. 2. 인구 2,000만 명 중에 700만 명이 수도에 몰려살고 있을 정도로 수도 몰빵. 3. 임금 개혁이 거의 없었어서 빈부격차가 심한데, 주변 국가들이 워낙 개판이라 선녀 취급 받음. 이런 상황이더라고요.
25/04/23 22:10
저출산 자체가 글로벌 트렌드죠.
세계의 출산율도 2023년 기준 2.25명으로 2.1명을 넘어 인구가 유지될거 같지만 저소득 의료취약 지역인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의 출산율이 높아 현재의 인구증가는 기대수명의 증가가 더 큰 영향을 준걸로 생각하고 세계의 출산율과 세계인구의 증가율은 꾸준히 감소세입니다. 현재의 추세라면 결국 세계의 인구는 줄어들게됩니다.
25/04/23 22:21
네 칠레의 수도에서 보는 풍경이라네요
https://www.czapp.com/wp-content/uploads/2024/05/Chile-1024x551.jpg
25/04/23 22:30
한국보다 먼저 진행되면 완만하고 늦게 시작하면 경사가 급하고 그런게 글로벌 트렌드인가 싶네요 인도같은 예외사례도 있기는 있고.. 이건 대부분의 국가를 딱 찍으면 거길 기준으로 해도 비슷하겠다 싶네요 거기보다 먼저면 완만하고 늦으면 급하고.
결국 늦게 시작할수록 진행도는 빠르다는건 비슷한 단계로 얼마 지나지 않아 수렴한다는 생각도 드는데 거기가 특이점인가...?
+ 25/04/23 23:34
(수정됨) 문화권을 초월해서 출산율이 박는건 인간의 사회진출/경제활동 시작이 늦어지면서 아이를 낳는게 경제적으로 이득이 안됨+아동인권 상승 등으로 육아에 필요한 유무형의 자원이 개개인이 감당하기 힘든 수준으로 증가함의 콜라보라 봐야겠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