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2/19 09:22:32
Name 핑크솔져
File #1 m_20250218194643_4hVCMCzKDG.jpg (2.06 MB), Download : 267
File #2 m_20250218194653_fvU4mYVMuR.jpg (1.55 MB), Download : 263
출처 뽐뿌
Subject [유머] 한때 세계적인 혁신기업이였던 한국기업.jpg




아이리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삼관
25/02/19 09:26
수정 아이콘
이전에 피지알 댓글로 한국이 아니라 미국기업이었으면 더 커졌을거라는 말이 있었던 거 같네요 싸이월드도요 
Chasingthegoals
25/02/19 09:34
수정 아이콘
싸이는 의미 없는게 그거와 비슷했던 마이스페이스가 페북 앞에서 그냥 속절 없이 무너졌죠. 네이트온, 네이트가 잠시 떴던 것도 싸이가 떴기 때문에 반등한거고 그게 꺼지니까 훅 떨어졌으니까요.
상한우유
25/02/19 13:19
수정 아이콘
네이트온은 한국에 스마트폰 처음 나왔을때 SK 에서 문자전송료 받아먹을라고 카카오톡 같은 무료 메신저를 개발하지 않아서 망한거라 들었습니다.
Chasingthegoals
25/02/19 13:34
수정 아이콘
이것도 맞습니다. 이게 결국 싸이 시절에 안주한 결과물이죠. 저도 싸이할 때 네이트온 무료문자 썼는데, 카톡 나오고 페북 나오면서 네이트온, 싸이 접속을 거의 안 했습니다. 온라인 상태인 사람이 없고 페북 들어가면 접속자들이 많으니 자연스레 갈아탔죠.
달달한고양이
25/02/19 09:29
수정 아이콘
코원 파였지만 아이리버는 진짜였죠 ㅠ 민트패드도 썼는데....
터치터치
25/02/19 09:32
수정 아이콘
다이소에서 아이리버 이어폰 사면 생각나죠
한쪽만 들리지만 싼맛메 다시 사는 ㅜ
인민 프로듀서
25/02/19 09:34
수정 아이콘
맨 밑에서 세번째 짤의 cdp는 아직도 소장하고 있습니다 크크크
부대찌개
25/02/19 09:35
수정 아이콘
그래도 시대를 풍미했으니.. 성공했다고 봅니다.
그건 그렇고 대학시절 내 클릭스 훔쳐간 놈 누구야 진짜!!!
25/02/19 09:59
수정 아이콘
저도 클릭스 가지고 있었습니다.지금 생각해도 진짜 혁신적인 디자인이었어요.
근데 변기에 빠뜨려서 고장이 났....... 참으로 피지알스러운 엔딩이었습니다.
25/02/19 09:40
수정 아이콘
유탱이 오래 썼었는데.... 이사 오기 전까지 갖고 있었으니 2022년까지 갖고 있었네요
기기괴계
25/02/19 09:40
수정 아이콘
음악에 대한 저작권 개념이 정립된 제2대한한국이었으면 좀 달랐을까요?
25/02/19 09:43
수정 아이콘
그럼 MP3 플레이어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도 없었을 가능성이 높습...
가스트락스
25/02/19 09:43
수정 아이콘
한국은 스트리밍으로 바로 온거라 별 의미 없죠 크크
25/02/19 09: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음악에 대한 저작권 개념보다는, 결국 편하게 쓸 수 있는 무언가에 대한 니즈가 문제였습니다.

아이리버, 레인콤은 중간에 음원유통겸 스트리밍사이트도 세팅해서 운영했었습니다. Funcake이라고.. 아마 쥬크온이 되고 마지막이 Bugs가 합병하며 가져갔을거에요. (멜론이었을지도 모르겠네요.. 기억이 가물..)

애플의 아이팟등이 결국 우위를 가져간게 내가 산 음악을 바로 기계에 넣을 수 있는 편리함 같은 부분인데, MP3P 특성이 그냥 대충 슥 하면 들어가긴 하는데 앨범의 커버, 노래의 정보 등 정리가 애매한데 그런 귀차니즘도 다 정리가 가능해지게 했죠. 그리고 일단 2005~2007시즌 정도면 소액결제라는 개념이 거의 없다보니 가상계좌에 돈 충전하고 해야 하는거라...

현재처럼 그냥 카드로 아무렇게나 결제 가능한 상황이 더 당겨졌다면 혹시 모를일이긴 했을겁니다.
네이버후드
25/02/19 13:19
수정 아이콘
그러면 그냥 망했을거 같은데요
25/02/19 09:45
수정 아이콘
좋은 회사였고, 훌륭한 회사였습니다.
자체적인 팬들을 만들고 그 팬들과의 교류를 잘 해야 왔었기도 하고, 근데 사람사는 세상이 다 그렇겠지만 그게 좋게만 보이지 않거나 나쁘게 가는 부분도 있었죠.

기술적인 혁신도 그렇고 좋았는데, 첫댓글처럼 한국기업이 아니었다면 좀 더 다를부분이 있었을거란 생각은 듭니다. 같은 행동을 해도 다르게 보였던 부분이 없진 않았어요.

저 회사에서 나온 기기들 많이 써보고 테스트도 해보고 했지만, 결국 시간만 늦춰졌을거고 한개의 디바이스에 통합되는 스마트폰의 영역으로 가는순간 다음단계로 가기엔 무리가 많았을 회사긴 했습니다. 민트패드 역시 좋은 물건이었긴 한데.. 한계가 명확했죠.
25/02/19 10:13
수정 아이콘
관련 업계에 있었고 몇번 저 회사랑도 같이 협업을 한적인 있던 1인으로... 전반적으로 동감합니다. 괜찮은 회사였습니다. 그래서 아쉽죠.
하아아아암
25/02/19 09:48
수정 아이콘
미키마우스 저거 저작권 클리어 제품이였네요? 덜덜
及時雨
25/02/19 11:25
수정 아이콘
디즈니 라이센스는 다이소도 따는 건데 당시 아이리버급이면 충분하죠 크크
하아아아암
25/02/19 12:19
수정 아이콘
지금은 2025년인데 당시는...
바카스
25/02/19 09:52
수정 아이콘
이름도 아이xx
천재여우
25/02/19 10:03
수정 아이콘
클릭스랑 민트패드......저거 집에 있네요.....
아엠포유
25/02/19 10:06
수정 아이콘
비교하긴 그렇지만 제가 대우?하면 와 닫지 않는 거 처럼
아이리버? mp3? 그게 뭔데? 하는 세대가 왔으니
No.99 AaronJudge
25/02/19 18:40
수정 아이콘
하긴 크크…그쵸
25/02/19 10:09
수정 아이콘
삼각리버는 지금봐도 예쁘네요
25/02/19 10:10
수정 아이콘
당시 한국 mp3 플레이어 시장은 얼마나 많은 기능을 때려넣느냐가 트렌드였습니다. 라디오에 녹음에 속도조절에 나중에는 게임까지 돌리고 했었죠. 버튼은 많아지고 UI는 점점 복잡해졌고요. 아이팟은 이걸 완전히 뒤집은 제품 이었고 아이리버가 아이팟 대항마로 내놓은 최초의 하드디스크 플레이어는 역시 아이팟 보다 훨씬 다양하고 뛰어난 기능들을 가지고 있었지만 훨씬 크고 무거웠고 반응 속도도 느렸습니다. 그 때부터 완전히 갈렸죠.
25/02/19 10:37
수정 아이콘
삼각 아이리버는 손 짝 감기는 디자인이었는데...
카메라 달린것도 사고 싶었지만 이전 모델을 너무 잘쓰고 있었기에...
머나먼조상
25/02/19 10:38
수정 아이콘
아래에서 다섯번째 hdd타입 mp3 사서 잘 썼는데 그립네요
그당시 15gb면 세상의 노래를 다 넣을 수 있는 기분이었는데 요즘은 usb 16기가도 용량 작아보이는 시대네요 크크크
마르틴 에덴
25/02/19 10:38
수정 아이콘
예비 건전지까지 4개 챙겨서 512mb 엠피쓰리 목에 걸고 나가면 두려울 게 없었습니다.
25/02/19 10:46
수정 아이콘
곰발팟이라 불리던 하드디스크가 들어간 아이팟 쓰다가 아이리버 u10으로 넘어갔었는데 그때의 감동은 아직도 잊지 못합니다. 아직도 제게 있어서는 최고의 전자기기였어요
정공법
25/02/19 10:47
수정 아이콘
저당시 다 아이리버들고 다닐 때
혼자 아이팟1~2세대, 클래식 들고 다녔는데
그때는 사과마크가 듣보,,,크크
25/02/19 10:57
수정 아이콘
민트패드 너무 좋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실기기를 써보니 실망덩어리였죠.
몽쉘통통
25/02/19 11:19
수정 아이콘
군대 제대한다음에 제일 놀랬던것이 mp3플레이였어요.

뭐 이렇게 작은게 20곡 이상 저장이되???
무냐고
25/02/19 11:20
수정 아이콘
전자사전도 잘 썼었는데..
결과론으로 보면 잘 풀렸어도 스마트폰에 다 먹혔을거 같긴 합니다.
及時雨
25/02/19 11:26
수정 아이콘
엠플레이어 2가 이어폰으로 나온게 아직도 아쉽습니다.
블루투스 되는 mp3로 나오면 매니아층 펀딩으로 꽤 땡길만할텐데 흑흑
환경미화
25/02/19 11:33
수정 아이콘
주말에 사장남천동에서 비슷한내용 방송해서 오버랩이 되네요 크크
25/02/19 11:44
수정 아이콘
h10 대실패하면서 고점이 정해졌죠. 시코에서 놀때라 기억이 아직 선명하네요 크크... 별개로 h300이었나 당시기준 명기가 하나 있었죠. 당시엔 소니빠여서 결국 못썼는데 미련이 남았던 기억이 있네요.
Chaosmos
25/02/19 11:49
수정 아이콘
삼각김밥 코원D2 진짜 고딩 대딩때 잘썼습니다
그때가 쪼금 그립네요
及時雨
25/02/19 14:46
수정 아이콘
아직도 8만원에 팔고 있네요
다마스커스
25/02/19 12:34
수정 아이콘
슬림엑스 참 잘 썼는데..
혁신이라는 단어가 잘 어울리는 기업이었죠.
몽쉘군
25/02/19 12:44
수정 아이콘
과거 영광을 그대로 지금까지 유지했다면 애플같은 기업이 되었을거같은 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쥴레이
25/02/19 12:58
수정 아이콘
아 뇌졸중으로 돌아가신지는 몰랐네요. 허...
25/02/19 12:59
수정 아이콘
h10이 대실패였군요 저거를 두번째로 오래 썼었는데
iPhoneXX
25/02/19 13:05
수정 아이콘
애플이랑 기기 대결만 펼쳤다면 더 크게 갈수도 있었겠지만..디지털 저작권의 개념이 보다 빨리 잡힌 시점에서 애플 아이튠즈는 아이팟 잘나갈때 거의 점유율 80프로 장악했던만큼 기기의 심플함, 디자인 뿐만 아니라 컨텐츠 판매 쪽에도 대단한 강자여서 비교가 좀 애매하기도 한거 같아요.
VictoryFood
25/02/19 13:24
수정 아이콘
엑시트 하고 그 돈으로 다른 걸 했어야... 아 여긴 한국이지.
미나리돌돌
25/02/19 13:29
수정 아이콘
저 삼각 은색은 참 잘 썼는데...
세츠나
25/02/19 13:47
수정 아이콘
미키마우스 저건 나도 샀을 정도니…
Chrollo Lucilfer
25/02/20 09:18
수정 아이콘
짤에 있는 삼각 모델 다음 모델

디자인이 매우매우 혁신적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34633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64410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68075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76531
512274 [유머] 설산에서 만난 고인물 [2] 인간흑인대머리남캐884 25/02/21 884
512273 [게임] 前 아마존 게이밍 부사장이 밝히는 실패 원인 [1]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85 25/02/21 1085
512272 [유머] 내가 격투게임을 개못하는 이유 [5] VictoryFood2386 25/02/21 2386
512271 [서브컬쳐] [스포] 캡틴 아메리카 멋진 신세계 한장요약 [1] 시린비2417 25/02/20 2417
512270 [서브컬쳐] 험난한 여정이 예상되는 퇴마록 2025년판 [18] 된장까스3270 25/02/20 3270
512269 [LOL] 농심 sns [5] Janzisuka2742 25/02/20 2742
512268 [유머] 드디어 실제 판매를 시작한 5070ti 한국 가격 근황 jpg [13] 된장까스2771 25/02/20 2771
512266 [게임] 핵앤슬래시의 고인물 of 고인물 [7] 어강됴리3010 25/02/20 3010
512265 [유머] 몽고의 예의바른 여권 [14] 이호철4618 25/02/20 4618
512264 [게임] 스파6 마이 OD화접선(장풍) 쉽게 이해하기 [3] STEAM1814 25/02/20 1814
512263 [유머] 좋소 대표가 말하는 '퇴사율 줄이는 꿀팁' [26] VictoryFood5470 25/02/20 5470
512262 [기타] 이랜드 배신(?)했다가 매출 내려앉았다는 스포츠 브랜드 [11] a-ha4426 25/02/20 4426
512261 [서브컬쳐] 현대 문화에 대한 이해가 높아진 펨붕이들 [10] Lord Be Goja3216 25/02/20 3216
512260 [유머] 추성훈 야키토리 가게 [14] 김삼관6026 25/02/20 6026
512259 [유머] 아무것도 답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괜찮은 Q&A 김삼관3894 25/02/20 3894
512258 [게임] 오버워치를 해야하는 이유 [22] INTJ4021 25/02/20 4021
512257 [유머] 대한민국의 위고비vs인간이 우스운 이유 [21] 동굴곰5998 25/02/20 5998
512256 [유머] 맥심 3월호 표지모델 [40] Davi4ever7412 25/02/20 7412
512255 [기타] 세계 대회 3위, 해외에서 반응 좋은 한국인 비트박스 [21] 유머4597 25/02/20 45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