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15 16:19
(수정됨) 우리도 쌀 개방 안하니까 관세 500프로 이상 물리는 대신 의무수입량 수십만톤을 감당하는 마당에 우리가 어디에 판다 그러면 쌀 개방 해야할걸요 크크 뭐 보니까 매년 수천톤 정도는 파는거같던데 저기에 팔게 고작 수천톤따리는 아닐거니까요...
25/02/15 16:45
https://youtu.be/rYrf6Vh1NtM?si=v2qSZKgixKuJIWzT
마침 슈카월드에서도 다룬적이 있는 주제인데,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정부 주도의 쌀 생산 제도가 역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25/02/15 16:49
뭐 사실 쌀은 밀처럼 해외판매가 그다지 활성화된 작물은 아닌지라...정부주도로 조절하는거 이상은 그다지...
특히 자포니카는 한국과 일본만 생산하고 먹는데 크크
25/02/15 16:19
일본의 쌀 생산 억제 제도 + 기후온난화로 인한 벼생산 감소 여파라는데 (일부 일본 언론에서는 외국인 관광객 때문이라고 우기기도)
이 조건은 우리나라도 가지고있어서 우리나라도 자칫하면 저럴수 있다는게... 법개정해서 수입관세 내리면 될 것같은데 복잡한가 보더군요. 사실 해외쌀이라고하면 또 안먹을 것같기도.
25/02/15 16:20
(수정됨) 뭐 물가상승도 여파가 있을거긴하겠지만 기본적으로는 23년도에 기후난리 등으로 생산이 준게 맞는데(이게 24년 여름부터 가격에 본격 반영) 24년도는 생산은 어느정도 회복되었는데 그냥 도매에 들어오는게 줄어서 시장으로 풀린 양이 줄어버린걸로 압니다
25/02/15 16:29
(수정됨) 근데 사실 일본은 현행 원칙상 비축미를 풀 수 없었다입니다...흉년이 아니라서요...그래서 이번에 개정한다던가할겁니다
그래서 며칠전 여기 유게에 비슷한 내용 나왔을겁니다...
25/02/15 16:51
개인소비용으로 연간 100kg까지는 통관 가능하다고 합니다. 후기남긴 블로그 주소 첨부합니다.
https://minimob.tistory.com/m/1355
25/02/15 17:10
뭐 오르기야 올랐겠죠...킹달러의 시대라 저 위의 슈카월드보니까 뭐 관광객이나 대체제 가격상승 등이 원인이 되어 쌀 수요를 1.x퍼정도 올렸다하니까...
25/02/15 18:50
빵값과 쌀값은 연관이 거의 없는게 일단 빵의 원자재인 밀가루 가격과 유제품 가격에 영향을 받는데 이게 일본이 생산은 하지만 수입도 많아서 수입물량 늘리는걸로 조절하면 됩니다. 쌀은 그게 안되니 저런 가격 폭등이 일어나는거구요.
그래서 빵같은 경우는 다른 요건 (인건비나 기타 외부요인) 오르는 만큼 오르는 중이라 큰 문제는 당분간 없을겁니다. 진짜 쌀이 전멸할 정도라 빵 말고 먹을게 없는... 상황되면 모르겠지만 그 정도는 아니니...
25/02/15 16:51
(수정됨) 수입은 개방이 안된지라 검토가 안되고 이미 정부비축미 21만톤 푼다고 했습니다...
(이유 전년대비 21만톤이 시장으로 나오지 않음...그냥 대형 도매장에 나온양이 줄어버린 상황)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japan/2025/02/14/ABSKK2J47VHNLN6THYCAMFM7C4/
25/02/15 18:32
(수정됨) 보통 3만원 초반대가 잘팔린다고 보긴 하는데
주제 자체를 엎어버릴정도의 차이는 아닌것 같습니다. 같은무게가 1만엔 넘는게 보인다는게 문제같아요. 일본 위에꺼보다 밑에꺼보니... 보통가격이 아마존이라고해도 1만엔까지는 안할것 같기도.
25/02/15 17:02
(수정됨) 뭐 원래 줄이던 나라죠...우리나라도 비슷하지만...
23년도쌀이 이상 고온에 태풍 등이 주요 생산지 때려서 급격히 줄어서 여파가 온거지 24년도쌀은 생산량이 어느정도 회복되었죠...
25/02/15 18:35
통일벼의 생산량은 통념과 달리 그리 많지 않다고 들었습니다. 맛은 또 통념과 달리 그리 나쁘지 않다고...그냥 쌀맛에 대한 선호문제.
통일벼가 생산량이 많다고 느꼈던 건 농업의 현대화랑 연관이 더 컸고, 막상 실제 수확량은 10%정도 밖에 차이나지 않는데 선호도가 많이 낮아서 통일벼는 마음대로 농사지을 수 있게 되자 순식간에 시장에서 사라져버렸죠.
25/02/15 17:25
우리 비축미 재고가 너무 많다고 하지만
제가 알기론 실재 말그대로 경신대기근급은 아니더라도 72년 냉해피해로 기억합니다만 그정도만 일어나도 반년을 못버틴다고 들어서 이걸 식량안보차원에서 본다면 과연 충분하다고 할지는 좀 그렇죠
25/02/15 20:03
한국 농수축산물이 머리가 아픈 이유...
한국쌀의 논쟁 중 하나는 이거죠 적당히 만들래 vs 많이 만들래 많이 만들면 매년 쌀을 버려야 되고 적당히 만들면 어쩌다 문제 생기면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르고.... 한국은 여러가지 이유로 많이 만들어서 버리고 있는데, 덕분에 매년 세금이 날라가는 대신에 저런일은 안 생기고있죠...
25/02/15 21:44
거기에 추가로 우리는 날씨의 피해를 입을 경우에 전국적으로 타격을 받아버려서 비축에 비용이 들어도 안할 수가 없죠.
일본은 이번에 유래없는 타격이었지만 그래도 대체적으로 동일본-서일본 으로 생산-유통이 나뉘어져 있어서 어느 정도 상호 보완이 되기는 한데 말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