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2/12 00:40:15
Name 홈스위트홈
File #1 역행인생1.jpg (2.84 MB), Download : 48
File #2 역행인생2.jpg (2.89 MB), Download : 50
출처 역행인생
Subject [기타] (스압) 중국에 경제폭망이 오고 결국 배달라이더가 된 가장의 이야기




jcqnYb3.jpg

vhPoNXQ.jpg

aIMl4lv.jpg

b05VeVc.jpg

LNkugFl.jpg

XJPUhPk.jpg

IFwj9bU.jpg


남의 일 같지가 않네요.

사실 이 영화가 결말이 좀 지나치게 비현실적인데 트럭에 부딪치고 나서 그 뒤는 중환자실에서 혼자 망상하는거라고 생각하는게 더 낫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신성로마제국
25/02/12 00:54
수정 아이콘
결말 비현실적이라 해도 저기까지 그려낸 것만 해도 중국에서 개봉했다는 것 자체가 신기하네요
하이퍼나이프
25/02/12 00:58
수정 아이콘
뒤에는 해피엔딩인가보네요
홈스위트홈
25/02/12 01:01
수정 아이콘
너무 지나치게 비현실적인 해피엔딩...
25/02/12 01:06
수정 아이콘
결말에 이세계라도 간줄...
스트롱제로
25/02/12 01:16
수정 아이콘
저도 스크롤 내리면서 계속
이게... 검열을 통과해서 지금 나에게까지 온거라고??
이거... 괜찮아??
생각이 계속들었는데

진짜 검열 안당하는 선에서 최대한으로 표현한 작품이군요
25/02/12 11:19
수정 아이콘
본문 내용의 사고나는거 제외하고 영화의 전반부인데, 전반부만 있었으면 검열을 당했을겁니다..
25/02/12 01:28
수정 아이콘
아예 안 보면 모를까 지나치게 비현실적인 해피엔딩이 제 정신 건강에는 좋더군요….
o o (175.223)
25/02/12 01:28
수정 아이콘
다큐멘터리인줄 알았는데 영화였군요
몽키.D.루피
25/02/12 01:34
수정 아이콘
저기까지가 감독의 작품이고 후반부는 건전가요 같은 거라고 보면 되겠군요. 
엔지니어
25/02/12 01:46
수정 아이콘
한국으로 바꿔도 전혀 이질감이 없는 작품이네요..
그렇군요
25/02/12 04:02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서린언니
25/02/12 01:46
수정 아이콘
중국의 게임들이나 제품들 퀄이 갑자기 좋아져서 무슨 마법이라도 부리나 했더니 ....
17년 전 미친듯이 일하던 때가 떠오릅니다
등골이 서늘하네요
펠릭스
25/02/12 02:43
수정 아이콘
사람이 진심 간사한게....

2010년대만 했으면 '저런 나쁜 중국 사회!' 이랬는데...

2020년대 들어오니까 '그러니까 우리는 저런 중국사람들과 경쟁을 하고 있다는 건가?'로 바뀌네요.
FlutterUser
25/02/12 02:54
수정 아이콘
수억명의 사람들이 절박하게 일하고 있죠.
그런 조직, 국가와 경쟁해서 좋은 꼴 보는 나라가 없습니다.
삼성과 경쟁했던 일본 회사들 철퇴 맞았다고 하던데, 그떄 스토리는 제가 잘 모르겠지만 ..
확실히 2000년대 들어서 중국이 한국과 경쟁하려고 들어온 분야들은 하나하나 따이고 좋은꼴 못보게 되는것 같습니다.
한국 미래가 정말 걱정됩니다. 지난 부동산 광기가 이나라 미래를 되돌릴 수 없는 곳으로 밀어 넣은것은 아닌지..
아우구스티너헬
25/02/12 04:02
수정 아이콘
부동산 광기는 전세계적인 현상이었습니다.
부동산 폭등으로 치면 한국은10손가락 안에도 못들어가요
끊임없는 호경기로 또는 조정장에 무한으로 화폐팽창을 유빌하는데 부동산이 안오르는게 이상하죠

이제 전세계적인 하강사이클이 시작된거고 일부 영역에서 관성의 힘으로 마지막 잔치를 하고 있을 뿐입니다.

잔치는 끝났고 이제 겨울이죠
베짱이 얼어죽는
25/02/12 07:46
수정 아이콘
뒷내용은 모르는데
저기까지라도 다룬게 신기하네요
CapitalismHO
25/02/12 07:49
수정 아이콘
문제의식도 충분히 다뤘고, 마지막에 드레프트해서 적당히 해피엔딩도 낸것도 엄청 이질감이 들지는 않았습니다. 호오를 떠나서 영화자체가 꽤 무난하게 잘만들어졌다 생각됐습니다.
수리검
25/02/12 08:27
수정 아이콘
아니 .. 이러니까 뒷 내용이 더 궁금한데요
아우구스티너헬
25/02/12 10:06
수정 아이콘
배달왕이 되서 2500위안 인센티브를 받아 최종 15000위안을 만들어 내서 그달 은행빛을 막아내고 훈훈하게 끝납니다.
문제는 최소 15000위안이 매달 수입으로 들어와야 살 수 있고 아니면 집을 똥값에 팔아야 한다는 사실이지만 영화는 그냥 한달 막고 훈훈하게 끝납니다.
25/02/12 10:43
수정 아이콘
똥값에 팔고 작은 집으로 이사가는것도 나오죠.

하지만 집이 중요한게 아니고 가족과 함께하는 행복한 삶이 중요하다는 (공산당의) 메세지까지 던져주는걸요
수리검
25/02/12 11:05
수정 아이콘
아니 그럼 해피앤딩이 아니잖아요 ㅠ
25/02/12 11:18
수정 아이콘
아래에도 적었지만 마지막에 주인공이 짬짬히 개발한 앱이 본사에서 인정 받아 다시 프로그래머로 복귀할 수 있을 것 같은 묘사로 끝이 납니다.

네가 실직하고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직업에 종사하게 되었어도 열심히만 살면 다시 행복해질 수 있어! 라는 메시지를 줘야되니까요
재활용
25/02/12 08:51
수정 아이콘
이정도 현실묘사한 것만으로도 대단한데요. 한국에서는 송곳 이후에 이런 불편함은 못만들, 아니 안만들죠..
하아아아암
25/02/12 09:37
수정 아이콘
결말은 뭐죠
25/02/12 10:30
수정 아이콘
최근에 유툽 알고리즘에 걸려서 보다가 맘에 들어서 전부 찾아서 봤는데, 전반부와 후반부가 사실상 다른 영화입니다.

2시간 러닝타임에서 전반부의 마지막이 끊임없이 들어오는 플랫폼의 배달건 처리하다가 밥도 제대로 못 먹어서 저혈당 쇼크로 쓰러진 상태로 스마일 체크에 걸려서 3일간 정지 당하는 저 장면입니다.

마지막에 강을 보면서 주인공이 자유로워지고 싶다는 그런 생각을 하는듯한 묘사가 전반부의 사실상 엔딩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입니다.

그에 반해 후반부는 중국 공산당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보면 되는데요.

가족과 진솔한 대화를 나누고 주인공이 결국 각성하여 본인의 새로운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자는 다짐을 합니다.

그리하여 주변 배달 기사들과 진솔하게 친분을 다지며 그들의 꿀팁을 받아들여 최고의 배달 기사가 되기 위해 엄청나게 노력을 하기 시작하죠.

실적도 쭉쭉 오르고, 하루 14시간씩 근무하면서도 본업이었던 프로그래밍 능력을 살려 배달 기사만을 위한 앱까지 개발을 합니다.

그 와중에 본인이 잘렸던 회사에 배달을 또 가게 되는데, 자신의 후임 팀장이 주문한 커피를 가지고 간 딱 그 시점에 후임 팀장이 자기랑 똑같은 방식으로 해고당하는 모습을 목격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미 자신의 새로운 위치에 잘 적응한 주인공은 자연스럽게 웃으며 맛있게 드시라고 배달하고 별점 5개까지 달라고 능청스럽게 얘기하며 돌아갈 수 있게 되었죠.

그렇게 열심히 배달을 하면서 목표했던 월 300을 노리기 위해 배달왕(해당 지점 실적 1위)를 노리게 됩니다.

그간 쌓아왔던 노하우와 본인이 개발한 앱의 도움을 받아가며 트럭에 치이는 사고를 당했음에도 배달을 멈추지 않던 주인공은 결국 배달왕이 되고 월 300이라는 본인의 새로운 목표를 달성합니다.

하지만 대출금을 갚기 위해서 매번 배달왕을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결국 주인공은 아파트를 팔고 훨씬 작은 집으로 이사가며 비록 직업도 집도 잃고 하루 14시간씩 죽어라 근무하지만 그래도 가족이 있으니 우리는 행복하다! 라는 메세지를 전달하며 영화는 마무리되게 됩니다.

(추가로 마지막에 주인공이 짬짬히 개발한 앱이 본사에서 인정 받아 다시 프로그래머로 복귀할 수 있을 것 같은 묘사로 끝이 나는데, 이것도 새로운 자리에서 열심히 노력하면 다시 행복해질 수 있다는 메세지를 담고 있는게 보입니다.)

후반부가 사실상 공산당 선전영화가 되었지만 전반부의 묘사만으로도 굉장히 인상깊은 영화였고, 작년 8월에 나온 영화인데 중국에서도 이런 영화가 나오는것 보니 중국도 많이 힘들구나 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25/02/12 11:4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본문과 합쳐 영화한편 다 봤군요 흐
메가트롤
25/02/12 10:52
수정 아이콘
혈당 18이면 죽지 않나...??
Sousky Seagal
25/02/12 10:59
수정 아이콘
단위가 다르지 않을까요??
메가트롤
25/02/12 11:11
수정 아이콘
아 중국과 다를 수 있겠군요;; 1도 생각을 안했습니다 크크
사나없이사나마나
25/02/12 11:10
수정 아이콘
오래 전에 줏어듣기로는 중국에서 드라마나 영화 같은 걸 찍기 전에 대본을 미리 검열받아야 한다고 들었는데, 열린 결말, 새드엔딩은 금지라고 했던 게 기억나네요.
無欲則剛
25/02/12 11:34
수정 아이콘
《역행인생》은 상당히 배배꼬인 작품이다.

이것은 진정성이 있지만 허위적이기도 하고, 절망적이면서도 꿈을 만들어주기도 하여, 두 계층간에 다리를 놓아주면서도 사람들한테 시스템적인 비극을 보여주려고 하지만 결국 두마리의 토끼를 잡으려다가 둘다 놓친 꼴이 되였다

이 작품은 작금 중국의 현실주의 창작이 직면한 곤경을 잘 보여준다. 유리 천장과 흙바닥 사이의 비좁은 공간에서 방황하는 창작자들의 한계를 보여줬다. 진정한 적이 무엇인지 모르거나 알면서도 말할수 가 없으니 자학을 할수밖에 없는것이다. 아첨을 하고 싶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밉보일수도 없고, 결국 현실에 대한 불만은 사람들이 현실주의 작품에 대한 넘치는 기대와 따라오는 커다란 실망을 가져다준다.

역행하는건 과연 인생뿐인가?

중국 영화도 역행중이다.

어떤 영환지 좀 검색해보다가 발견한 중국쪽 영화평가 사이트에서 상위권에 있는 댓글입니다.
25/02/12 11:40
수정 아이콘
이 영화의 장르는 무협이군요.
김꼬마곰돌고양
25/02/12 12:49
수정 아이콘
한국도 비슷해질거 같은데
탑클라우드
25/02/12 12:50
수정 아이콘
중국은 AI/로보틱스의 발전 속도도 눈부시고 이미 리딩하는 포지션인지라,
이미 자율주행 차량도 늘어나고있고 조만간 배달 로봇도 늘어날거라고 하던데,
그럼 그 때는 라이더를 할 수도 없고, 뭘 먹고 살아야 할까요
25/02/12 13:49
수정 아이콘
인건비가 배달 로봇보다 저렴해지겠죠
사업드래군
25/02/12 14:3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라고 해도 별로 이질감이 없는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1860 [유머] 50대50으로 갈린다는 주4일제 밸런스 게임.jpg [16] 김치찌개4735 25/02/12 4735
511859 [유머] 어떻게 읽으시나요?.jpg [26] 김치찌개3899 25/02/12 3899
511858 [기타] (스압) 중국에 경제폭망이 오고 결국 배달라이더가 된 가장의 이야기 [36] 홈스위트홈6477 25/02/12 6477
511857 [유머] 열심히 제설을 하지만 생색은 내지 않겠습니다 [7] VictoryFood4654 25/02/12 4654
511856 [기타] 연금복권 당첨자 인터뷰 [4] VictoryFood4876 25/02/12 4876
511855 [기타] 예일대학교 근황 (feat 한국어, 한국 문화) [7] a-ha4762 25/02/11 4762
511854 [유머] 중증외상센터에 로맨스가 없다고? [7] 홈스위트홈4827 25/02/11 4827
511853 [유머] 로얄 살루트가 비싼 이유 [4] 김삼관4958 25/02/11 4958
511852 [유머] 현실에서 가장 듣고 싶은 드라마 대사 1위 [16] VictoryFood4856 25/02/11 4856
511851 [음식] 편의점 3사 불닭볶음면 '발주 중단' [54] 유머8196 25/02/11 8196
511850 [방송] 간신히 부활한 개콘을 다시 묻어버리려는 사람 [4] 빼사스7023 25/02/11 7023
511849 [방송] 동아시아의 활화산 [26] 로켓6259 25/02/11 6259
511848 [음식] 펩시 제로 라임을 만든곳 [25] 유머4937 25/02/11 4937
511847 [게임] (약후) 유저들 대가리 깨버린 퍼디 온천테마 신스킨 [7] 묻고 더블로 가!5113 25/02/11 5113
511846 [음식] 일본어지만 이름을 바꾸기 어려운 음식 [30] VictoryFood5302 25/02/11 5302
511845 [동물&귀욤] 거위에게 먹이를 주지 마세요 [6] VictoryFood2732 25/02/11 2732
511844 [게임] 창립 26년만에 처음으로 연간 적자를 기록한 회사 [26] 쿨럭5358 25/02/11 5358
511843 [음식] 일본은 슈퍼에 갔더니 쌀 5kg 에 5000엔 [29] 유머4994 25/02/11 4994
511842 [텍스트] 금수저 건물주 [40] 삭제됨4843 25/02/11 4843
511841 [동물&귀욤] 문을 대충닫은 나도 잘못했다만... [7] 공기청정기3270 25/02/11 3270
511840 [LOL] 롤체를 즐겨 플레이하는 모모랜드 연우.jpg [5] Starlord3213 25/02/11 3213
511839 [LOL] 2025 빅토르계의 양대산맥 [6] roqur3241 25/02/11 3241
511838 [유머] 강남학부모들 긁는 이수지 개그 [16] 그렇군요7670 25/02/11 76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