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1/31 13:52:37
Name a-ha
File #1 1.jpg (238.5 KB), Download : 198
File #2 2.jpg (279.8 KB), Download : 196
출처 인터넷
Subject [유머] 솔직히 실화 아닐 것 같긴 함... (수정됨)




학부모가 대학 학과 조교에게 찾아와서 우리 애 시간표 왜 이렇게 짰냐고 진로에 맞춰서 짜줘야 하는 거 아니냐고 항의했다고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1/31 13:55
수정 아이콘
지금 세대 학생들 아마 본격적으로 사회에 진출할 시기 되면 아마 볼만할겁니다....
강동원
25/01/31 13:56
수정 아이콘
라고 우리 부모님 세대도 생각하시지 않았을까요
Chasingthegoals
25/01/31 15:04
수정 아이콘
다르죠. 지금 욕먹는 586세대는 시원하게 데모하고 학사경고 뜬 성적표 집에 오는거 무서워서 군대로 도피하는 경우가 흔했는데요. 적어도 멋대로 저지르고 멋대로 결자해지 해서 부모님 뒷목 잡는걸 만든거라 결이 다릅니다.
고삐 풀린 망아지와 아직도 고삐 잡힌 망아지의 차이라고 봐요.
오타니
25/01/31 17:41
수정 아이콘
음.. 같습니다..
저런분들은 언제나 소수죠.
SCV아인트호벤
25/02/01 15:42
수정 아이콘
우상향
25/01/31 13:57
수정 아이콘
헬리콥터 학부모 얘기 들은지 20년 넘은 것 같네요. 80년대에도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뭐 80년대에는 사회 전반적으로 상식과 정보가 부족했으니 그럴 수도 있었겠지만...
영양만점치킨
25/01/31 13:57
수정 아이콘
성인이 막 된 애들은 그렇다쳐도 부모는 뭐하는거지...
터치터치
25/01/31 13:59
수정 아이콘
대학생 대상 취업기숙학원도 생기면 넣겠네요 크크크
Equalright
25/01/31 14:04
수정 아이콘
교직원인데 아직 저런 경험은 해본적이 없네요

울 아기 자고 있는데 자취방 가서 깨워주면 안되냐는 부모 전화를 받은 동료가 있긴합니다 -_-
수리검
25/01/31 14:06
수정 아이콘
아기 ..
고등어자반
25/01/31 14:06
수정 아이콘
있을 법한 일입니다. 실제로 2년 쯤 전에 수도권의 모 대학에서, 부모가 학장실로 전화한 사례를 봤거든요.
계층방정
25/01/31 14:06
수정 아이콘
법적 성인 기준과는 별개로 사회적으로 양육 기간이 갈수록 길어지고 있다는 거죠. 어른이란 말도 어원을 따지면 결혼해서 자식을 낳을 수 있다는 의미가 있는데, 비혼이 증가하는 것과는 별개로 결혼과 육아를 할 수 있을 만큼 성숙해지려면 필요한 기간이 갈수록 길어지는 것도 사실이고요. 부정적으로만 보기보다 이런 현상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25/01/31 14:08
수정 아이콘
오타니 이야기도 현실인줄..
오타니
25/01/31 17:42
수정 아이콘
왜 갑자기 저를..
킹받네
25/01/31 14:10
수정 아이콘
의대 학부모들은 원래 쌔지않나요?
Far Niente
25/01/31 14:13
수정 아이콘
이상한 사람이 생기는 걸 원천 차단할 수는 없으니
저런 일이 있는 것 vs 저런 일이 보편적인 것은 좀 구분해야
근데 트위터네
25/01/31 14:13
수정 아이콘
의대생 휴학 관련해서 있었던 학부모 관련 사건들 생각하면 딱히 있을 수 없는 일은 아닌 듯….
마술사
25/01/31 14:23
수정 아이콘
마마보이 노래가 히트한게 1993년이죠
"모든걸 엄마에게 물어봐"
딱히 갑자기 생긴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5/01/31 14:25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근데 대학교에서 들어야하는 전공도 선착순으로 끊어서 오픈런?까지 해야하는지는 정말 의문입니다...
25/01/31 14:29
수정 아이콘
교양도 아니고 전공은 진짜 듣고 싶은 학생 다 들을 수 있도록 해줘야 하는 게 맞는 것 같긴 한데 공간 문제나 적정 수강학생 수 등 현실적인 문제들이 있을 것 같긴 합니다...;;
Equalright
25/01/31 16:48
수정 아이콘
현실적인 문제가 큽니다.
수업의 적정성 / 강의실 크기 / 학생 쏠림 등 생각보다 수강신청 짜는것도 일이라서요 ㅜㅜ
25/01/31 17:51
수정 아이콘
전공을 못 듣는 케이스가 대한민국에 없다고 할 순 없겠지만, 흔치 않을걸요?

원하는 교수님한테 전공을 못 듣는 케이스가 많은 걸 겁니다. 소위 말하는 학점 퍼주는 교수님들이요...

전공수업을 못 듣게 강의가 개설되는 케이스는 잘 없을거에요. 워낙 대학 평가에 반영을 해둬서...
Rorschach
25/01/31 14:26
수정 아이콘
세부 내용이 다르고 심각성(?)이 좀 차이 날 수는 있지만, 의대 아니라도 이미 10년 정도 전에도 있긴 했습니다.
달달한고양이
25/01/31 14:29
수정 아이콘
면접보러 갈건데 근처 괜찮은 호텔 좀 연결해달라는 학부모도 있었어요.
마그데부르크
25/01/31 14:48
수정 아이콘
주작 아닌가요
달달한고양이
25/01/31 14:51
수정 아이콘
아뇽...학교 행정실 쌤이 전화받고 바로 그 담주 보직자회의부터 시작해서 온 학교에 소문내셨어요. 뭐 그 행정실 쌤이 관심받고 싶어서 주작하셨을 수도 있는데 연배랑 지위가 굳이 그러실 이유는 없어 보여서 흐흐
LuckyVicky
25/01/31 14:56
수정 아이콘
킹치만 의대는 시간표가 정해져 있는 걸....
김카리
25/01/31 14:57
수정 아이콘
모두가 그런 건 아니니까요.
2010년에도 신입사원 환영회 하고 한명 술엄청 먹고 집에 택시 태워 보냈는데 다음날 전화 왔습니다.
애 술을 이렇게 많이 먹이냐고 못일어나서 지각한다고요.
불량사용자
25/01/31 14:59
수정 아이콘
10년 전에도 둘 이 동기인 여자끼리 싸워서 어머니가 와서 조교랑 다 모아 놓고 3자? 4자? 대면했던 일도 있습니다. 크크크
ShamanRobot
25/01/31 15: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현재 전문대에서 5년 동안 교직원 생활중인데 다행히도 저런일은 못봤습니다. 10여년전 고려대에서 근로장학생 할때 저런 비슷한 일을 3번이나 겪어서 나름 기대했었는데... 여기는 신기하게도 자기가 알아서 잘 챙겨먹더라구요
ShamanRobot
25/01/31 15:04
수정 아이콘
가장 기억나는건 자기 아들이 법대 쪽 과목 듣고 싶으니 열어달라고 학부모하고 같이 사무실 찾아온 일... 법대생도 아니었고 과목자체가 전공저 제한이 걸려있는게 고지되어있었는데도...
상한우유
25/01/31 15:49
수정 아이콘
작년에 안전보건교육 받는데 그때 강사 왈...

여러분들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티비 프로그램 아시죠? 그게 벌써 20년 전이에요~ 그 애들이 자라서 mz 가 된거에요~

이러던데...
Capernaum
25/01/31 16:02
수정 아이콘
....

이제 다음 세대가 오면

MZ 세대가 양반이었구나 하고 다들 MZ만 찾게될 것이여
人在江湖身不由己
25/01/31 16:17
수정 아이콘
30년 뒤 인구를 생각해 보면...
아스날
25/01/31 17:06
수정 아이콘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고 지금 MZ 그때가면 부장님인데 꼰대소리 듣죠..
25/01/31 18:32
수정 아이콘
고생 좀 해봐랏
설탕물
25/02/01 10:02
수정 아이콘
크크크 그럴듯요
기무라탈리야
25/01/31 16:44
수정 아이콘
뭐 예전에도 비율은 비슷했지만 지금은 인터넷으로 널리 퍼져서 그렇겠거니 하고 생각할랍니다 크크
청운지몽
25/01/31 16:56
수정 아이콘
파급력이야 당연히 넘사로 커졌지만
개별 폭발력도 상당히 커진듯해요
무냐고
25/01/31 17: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동안 진상들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이 약했으니 저런 사람들 비율이 아무래도 높아지겠죠
진상에 취약한 사회가 된지 불과 15년도 안됐다고 봅니다.
학생인권조례 시행한게 경기도 2011년, 서울2012년이고 대불편러의 시대, 대각자도생의 시대가 온것도 비교적 최근이죠.
저는 00년대에 중고등학교 다녔는데 죽도록 팬 선생은 없었지만 그때도 엽기적인 체벌들은 많았어요.
25/01/31 17:24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준다면 어느 정도 기가 죽어야 하는 게 맞는데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고도 "왜 우리 애 기를 죽여요?" 로 방패를 받은 친구들이
더 나오겠죠

예전에는 사회적 규범과 합의로 규제가 좀 더 느슨했다면
자율을 그토록 좋아하던 사람들이 말하던 세세 촘촘한 규제의 미국처럼 변해간다고 봅니다
미카엘
25/01/31 20:12
수정 아이콘
저런 부모들은 대학 경험 없는 사람들 아닐까요? 대학 다녀 본 정상적인 인간이면 저게 미친 짓이라는 걸 알 텐데요.
앙겔루스 노부스
25/01/31 21:07
수정 아이콘
과한 훈육이 싫다고 무훈육으로 간 댓가는 반드시 치러야겠죠. 훈육의 정도차이가 있는 것과 없는거는 진짜 다를 겁니다.
25/01/31 21:48
수정 아이콘
천안 모 대학교 기숙사 관리팀에서 2년 근무했는데..
여러분들이 무엇을 상상하시던 그 이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설마 저러겠어?? 더 합니다.
정 주지 마!
25/02/01 11:53
수정 아이콘
시간 되실때 글 한번 부탁드려요. 엄청 재밌을것 같습니다. 흐흐
최종병기캐리어
25/01/31 22:38
수정 아이콘
한 세대(약 30년)마다 한명의 독립적인 개체로 인정받는 연령대가 5년씩 늦춰지는듯한 느낌입니다. 그만큼 결혼연령도 늦춰지는 것 같구요
25/02/01 02:39
수정 아이콘
이전 세대는 이전 세대대로 문제가 있었고, 이번 세대는 이번 세대대로 문제가 있겟죠.
25/02/01 04:57
수정 아이콘
흠... 대학에서 교수나 좀 높은 직위 (학장등) 의 인물이 저럼 부모 전화를 받고 대학생이면 다 컸는데 스스로 알아서 하게 교육적인 면에서 자율성도 줘야 하지 않겠냐고 하면 어떤 반응이 돌아올까요?
iPhoneXX
25/02/01 08:13
수정 아이콘
대등학교 하나 만들면 인기 있겠네
25/02/01 09:21
수정 아이콘
좀 결이 다른 얘기긴 한데 카레 전문점에 가서 아이가 먹을 안매운 카레가 따로 조리 가능한지 물어봤더니 안된다고 하더군요. 그래도 괜찮겠거니 하고 그냥 앉아서 먹었는데 애도 잘 먹고 계산하고 나오는데 점장이 죄송하다고 10퍼센트 할인을 한사코 해주겠다고 하더군요. 그때 느꼈습니다. 이분도 많은 진상을 만나셨구나...
검정치마
25/02/01 10:57
수정 아이콘
제가 있는 곳에서 직접 격은 일입니다.
애가 요즘 힘들어 한다고 부모님 전화옴.(그럴 수도 있지 생각함)
아주 살짝 다쳤는데 엄마가 와서 애가 다쳐서 병가 내야 한다고 회사에 와서 대신 얘기해줌(본인은 한마디도 안함) (???) 그 이후로도 가끔씩 찾아옴.
초기 채용에 관련된 서류 내라고 하거나 뭐 물어보면 항상 엄마한테 전화함.
계좌이체로 얼마 보내라 했는데 자기는 못한다. 통장이 없다 카드가 없다. 엄마한테 얘기해서 엄마가 보내줌.

34살이 이러고 있습니다.. 그냥 사람이 평범하진 않네요;;
TempestKim
25/02/01 14:17
수정 아이콘
초등학교 교사마냥 군대에서 소대장이 학(?)부모 단톡방에 안내하는 일은 이미 만연한 상황이고
회사에도 그렇게 먼 일은 아닐 것 같습니다.
가만히 손을 잡으
25/02/01 19:29
수정 아이콘
안타깝게도 아직 못 만나 봤는데 제가 어찌 대처할지 저도 궁굼하네요. 잘못하면 넷에 오르내릴 듯.
대머리혐오자
25/02/02 02:24
수정 아이콘
성적 이의신청 신청시기만 오면 부모님한테 그렇게 전화가 옵니다. 전부 행정실로 돌려요.
공통점은 저런 부모를 둔 아이들이 어딘지 주눅들어있고 소극적이고 그리고 과제나 몇몇 사소한 대화에서 억눌려있는 욕망이 불숙불쑥 튀어나오는 비사교적인 언행의 소유자인 경우가 많다는 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1369 [유머] 솔직히 실화 아닐 것 같긴 함... [54] a-ha10794 25/01/31 10794
511367 [유머] AI에게 뚫려버린 인간 최후의 보루 [13] 여기7237 25/01/31 7237
511366 [유머] ??: 덴마크 똑바로 해 [26] 길갈6879 25/01/31 6879
511364 [게임] [닼던] 나레이션 성우 별세 [16] Thirsha3772 25/01/31 3772
511363 [기타] ??: 2020년 폰 아직도 쓰는거 에바아님?? [18] Lord Be Goja8088 25/01/31 8088
511362 [유머] 이번 설연휴 요약.jpg [36] 포상은9756 25/01/31 9756
511361 [게임] 포르자 호라이즌 5 결국 PS5로 발매 확정 [27] Heretic3898 25/01/31 3898
511360 [기타] 겨울에도 열심히 선크림 발라야 하는 이유. [14] 캬라6775 25/01/31 6775
511358 [유머] 10년 전 1억 현재의 가치는? [27] a-ha8356 25/01/31 8356
511357 [서브컬쳐] 넥겜 직원이 정의한 수집형과 서브컬쳐의 차이점 [6] 카미트리아3927 25/01/31 3927
511356 [유머] 비트코인 10000개 있는 사람 [8] 김삼관11391 25/01/30 11391
511355 [기타] 결국 RTX 5000시리즈 금일 판매는 물 건너 간 모양이네요 [25] Myoi Mina 5025 25/01/30 5025
511354 [동물&귀욤] 새해를 맞아 상서로운 흰 사슴.twt [15] VictoryFood5369 25/01/30 5369
511353 [유머] 7년만에 침착맨에서 전격 복귀한 이말년. jpg [9] Myoi Mina 7999 25/01/30 7999
511352 [게임] 아직 현실이 게임을 못 쫓아온다는 이유 [20] Lord Be Goja8254 25/01/30 8254
511351 [기타] ??: 하루만 더 쉬다가렴 [7] Lord Be Goja5034 25/01/30 5034
511350 [음식] 경상도에서만 먹는 최고의 분식 [33] 밥과글8382 25/01/30 8382
511349 [기타] 블리자드의 딸이라는 스트리머 [16] 쎌라비7449 25/01/30 7449
511348 [유머] 현대판 노아의 방주 [20] VictoryFood5850 25/01/30 5850
511347 [텍스트] 챗지피티4o들고와도 여전히 해독 못하는 문장 [17] Lord Be Goja4987 25/01/30 4987
511346 [유머]  해외식당 구글리뷰에 한글 암호처럼 적는거 소용없는 이유 [16] 여기6006 25/01/30 6006
511345 [유머] 이번에는 단골 맛집 소개하는 추성훈 [4] Davi4ever4179 25/01/30 4179
511344 [기타] (인사혁신처) 국민이 신뢰하는 공직사회 조성 [52] 닉넴길이제한8자6644 25/01/30 66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