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6/27 23:29:46
Name 만찐두빵
File #1 제목_없음.png (895.0 KB), Download : 247
출처 https://twitter.com/PopCrave/status/1673032487637856257?t=HLjbH04C8opVqb3SMinxlw&s=09
Subject [유머] 인어공주 박스오피스 5억불 돌파


최종 5억5천~6억불 사이의 성적이 예측 되네요.

일단 6억4천만불이 손익이라고 했으니 손익분기 달성은 실패 확정적입니다.

개봉전에 6억불 선에서 끝날거 같다라고 예측했는데 실제로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아래의 성적으로 마무리하는걸 보니 참...

그래도 인어공주는 북미에 고마워해야겠네요 북미에서 꾸준히 흥행안했으면 5억불은 커녕 4억불선에서 끝날뻔 했습니다.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Lord Be Goja
23/06/27 23:33
수정 아이콘
로컬문화를 가지고 글로벌판매용으로 만들려면 어느정도의 타협이 필요했을텐데..
리얼포스
23/06/27 23:36
수정 아이콘
애매하게 망했네요 그렇다고 아주 망하지도 않았고
만찐두빵
23/06/27 23:38
수정 아이콘
영화 만듬새만 좀 좋았으면 배우 이슈가 있었어도 손익은 쉽게 넘겼을거 같더라구요. IP빨이 강하긴 합니다
스토리북
23/06/27 23:43
수정 아이콘
라이온킹과 미녀와야수 모두 북미만으로 5억불 넘겼습니다. 인어공주는 아주 망한 거죠.
하도 흥행 망했다는 소리를 많이들 해서 익숙해진 것 뿐이지, 개봉 전 10억불 넘기냐 마냐 하던 예측 보면...
멀면 벙커링
23/06/27 23:48
수정 아이콘
알라딘 실사영화 월드와이드 10억달러 돌파
라이온킹 실사영화 월드와이드 16억달러 돌파
미녀와야수 실사영화 월드와이드 12억달러 돌파

랑 비교하면 캐망이라고 봐도 될듯 싶습니다.
파비노
23/06/27 23:53
수정 아이콘
아주 망한거죠. 다른 캐릭도 아니라 인어공주라서
23/06/27 23:38
수정 아이콘
언제까지 되도않는 징징거림을 받아줄건지 기대되네요
진짜 인종차별이고 이런거면 이해라도 하지
비뢰신
23/06/27 23:40
수정 아이콘
완전 먹히는 컨텐츠 였었는데
실사 미소녀 인어가 춤추면서 노래하는 인어 아이돌쇼를 이렇게 ㅜㅜ
23/06/27 23:41
수정 아이콘
흥행을 떠나서 에리얼이라는 캐릭터를 훼손시킨게 너무 별로네요.
작은대바구니만두
23/06/27 23:42
수정 아이콘
뭘 하든 좋은데 pc워싱만 안했으면
o o (175.223)
23/06/27 23:46
수정 아이콘
호러쇼;
샤르미에티미
23/06/27 23:48
수정 아이콘
이것도 너무 반복된 댓글이긴 한데 6억이 아니라 12억도 가능한 IP를 손해를 봤니 안 봤니 하는 것 자체가 폭망인 거죠. 게다가 이후에도 부정적인 여파가 있을 건데 PC 한 번 해보겠다고 보장된 수익을 걷어차고 이후 수입까지 줄어들게 되었죠.
한뫼소
23/06/27 23:49
수정 아이콘
IP에도 궁쿨이 있는 셈인데 기회비용까지 생각하면 많이 말아먹었다고 봐도 되지 않나 싶습니다. 매번 지치지도 않고 리부트를 하는데도 사람들이 항상 열광하는 배트맨이나 스파이더맨이 이상한거지,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이렇게 내놓고 다시 삽 푸려면 근 10년은 더 묵혀야죠.
잉차잉차
23/06/27 23:52
수정 아이콘
근데 이렇게 망했는데, 디즈니 내부에서 PC에 대한 회의감이 이슈되는 건 없나요?

손해를 보면서까지 PC에 매달릴 필요가 있나 싶은데..

다음 백설공주는 흑설공주라는 소문이 있더라구요.
만찐두빵
23/06/27 23:59
수정 아이콘
백설공주 배우는 일단 논란 덩어리 그자체라... 저가 아는 배우중에서 트위터에서 이렇게 키배 많이 뜨고 다른 동료배우 저격하는 배우는 처음 봤습니다
MissNothing
23/06/28 00:15
수정 아이콘
디즈니의 잘못이 아닙니다. 언에듀케이트 한 소비자들 잘못이죠. 꾸준히 가르치면 고쳐질거라 생각하는겁니다.
12년째도피중
23/06/28 01:19
수정 아이콘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미리 지불한 비용이라고 생각할 것 같습니다.
미래의 시장은 이런 영화들이 대세가 되었을 때 선구자 격인 영화로 헌정되는 미래를 상상하고 있겠죠.
23/06/28 01:37
수정 아이콘
흑설까지는 아니고 라틴계 공주님?
지니팅커벨여행
23/06/28 07:32
수정 아이콘
황설이군요
23/06/28 06:43
수정 아이콘
PC 없는 미국 대형 컨텐츠 제작 회사는 없습니딘.
23/06/27 23:54
수정 아이콘
추세상 6억은 힘들거같고,

5.3~5.5억 달러 정도에서 끝날것 같습니다.


개봉 전에 10억 달러 넘을거라 예상했는데(그만큼 인기있고 강력한 IP라서), 제가 완전히 틀려버린걸로...
만찐두빵
23/06/27 23:57
수정 아이콘
북미에서 3억1천만불 해외에서 2억5천만불해서 최종 5억6천만불 보더군요
Myoi Mina
23/06/27 23:58
수정 아이콘
관련 MD사업까지 100% 조져진거 생각하면 개폭망이 맞죠

누가 저런 인어공주 인형이나 캐릭터 관련 상품을 사겠습니까...
23/06/28 08:24
수정 아이콘
새로 나온 인어공주 레고 시리즈 조차도 흑인으로 변경됐더라구요ㅠ 옛날 인어공주 세트랑 한 세트 느낌이 아님..
벌점받는사람바보
23/06/28 00:01
수정 아이콘
일본도 폭상 망할줄 알았는대
주1위 2~3번하면서 목숨 건진듯
만찐두빵
23/06/28 00:04
수정 아이콘
그래서 그런지 레딧에선 일본인들은 인종차별이 없고 한국사람들은 인종차별이 많다는 글이 많이 올라오더군요
돌돌이엄마
23/06/28 00:34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인어공주가 망한게 인종차별때문이라는 사람들에게는 블랙팬서나 흑인인권영화인 겟아웃이 한국에서 크게 흥한거에 대해서는 어찌 생각하는지 묻고 싶더군요
petertomasi
23/06/28 06:17
수정 아이콘
그딴 거 레딧 놈들한텐 알바 아니겠죠.

미개한 똥양인인 한국인을 혐오하고 싶어하는데 명분이 모자르니까 주장에 근거도 통계도 리퍼런스조차도 아무것도 없고, 뇌내망상으로 한국 혐오를 해야 하니까요.
23/06/28 10:09
수정 아이콘
일본은 한중과는 약간 환경이 다른게
1. 디즈니 영화 인기가 원래부터 굉장히 높음
2. 외화의 경우 자막판/더빙판 별도로 상영하는데, 더빙판 선호도가 높고 더빙담당 배우 따라서는 목소리 배우팬들이 많이 보러가기도 함

이런지라 그나마 성적나오는 겁니다. 실제로 일본 영화닷컴 관객평점이 3.4인데 흥행작 치고는 상당히 낮아요(보통 중박이상 쳤다 하면 3.7-8이고 대박작이면 4.0이상이 많음)
그레이파스타
23/06/28 10:23
수정 아이콘
1. 중에서도 인어공주 뮤지컬 정기 공연도 있을 정도로 인기있었던 IP 라 평타이상 한 것 같아요.
더치커피
23/06/28 00:07
수정 아이콘
망하려고 작정한 영화인데도 5억불 돌파한 거 보면, 인어공주 이름값이 상당하네요
스토리북
23/06/28 00:16
수정 아이콘
생쥐구조대, 토드와 코퍼, 타란의 대포험, 명탐정 바실, 올리버와 친구들 뭐 이런 거 10년 넘게 만들다가 나온 게 1989년 인어공주죠.
인어공주가 대박치면서 같은 포맷으로 미녀와 야수, 알라딘, 라이온킹 순의 백투백투백투백 홈런을 쳐버렸고요.
인어공주 앞의 목록과 뒤의 목록을 비교해 보시면 인어공주가 가지는 위상이 빡 와닿습니다.
한뫼소
23/06/28 00:28
수정 아이콘
명탐정 바실은 어릴적에 비디오로 접하고 추리소설을 탐독하게 된 계기가 된 작품인데 너무 안 알려져서 슬픕니다 흑흑
의문의남자
23/06/28 07:59
수정 아이콘
생쥐구조대도 좀 유명하지 않나욤?
스토리북
23/06/28 12:14
수정 아이콘
토드와 코퍼라던가 생쥐구조대라던가 흥행에 나름 성공한 목록들도 있긴 한데,
인어공주에 이어서 나온 타이틀이 전부 애니메이션 레전드 반열에 오른 애들이라...
MissNothing
23/06/28 00:14
수정 아이콘
스토리 건들 필요도 없고, 그냥 미남, 미녀 주인공 앉혀놓고 노래만 부르면 제작비 따따블은 뽑는 아이템을 가지고 손익분기점 달성 못했으면 대실패죠 뭐...
티타임
23/06/28 00:17
수정 아이콘
손익분기 미달성은 예상했는데 이렇게 분기점 근처까진 올 줄 몰랐네요. 미국내 PC의 힘이 진짜 강하긴 하구나 느낍니다.

유저층이 딱히 PC랑 별관련없을거 같은 게임계조차 미국회사들은 PC 둘둘 말고 나오는데 그 이유를 알겠어요.
아우구스투스
23/06/28 08:35
수정 아이콘
인어공주의 힘이죠.
티타임
23/06/28 09:09
수정 아이콘
그렇게 보기 힘든게 미국외 세계에서는 쫄딱 망했습니다. 보통 디즈니 영화는 미국외 세계에서 미국보다 더 많이 버는데 말이죠.
아우구스투스
23/06/28 12:03
수정 아이콘
근데 PC의 힘이 강하다기에는 인어공주가 정상적으로 나왔다면 미국에서만 5억달러 찍지 않았을까요?
신성로마제국
23/06/28 00:19
수정 아이콘
당장 영화 손익보다 앞으로 인어공주 관련 굿즈,컨텐츠의 수익이 떨어진다는 잠재적 문제가 있죠.
여자애들이 빨간 머리 에리얼 대신 출시된 할리베일리 인형을 선물받고 싶어할까요.
23/06/28 09:24
수정 아이콘
뭐... 블랙 팬서2 마냥 그분들이 사준다면 그래도 선방할지도....
페로몬아돌
23/06/28 00:24
수정 아이콘
이정도면 디즈니가 안티 pc죠. 더럽게 못 만들고 욕 할 판 깔아주는데 잘 만든 pc면 흥행하고 실드도 많을건데 인어공주 데리고 굳이 일부러 이러는게 아니면 설명이 안 될 정도 막장이라
파비노
23/06/28 00:26
수정 아이콘
따지고 보면 가오갤이 훨씬 더 pc한 주제를 가지고 잘만든 영화죠.
StayAway
23/06/28 00:48
수정 아이콘
아무 제작자나 적당히 유명감독 고용해서 평작으로만 만들어도 저거보다는..
No.99 AaronJudge
23/06/28 00:50
수정 아이콘
[인어공주]를 가지고 저런 성적을….
10억 달러를 벌어들여도 좀 더 벌수있었을것같은데.. 아쉬운데? 소리 들을 수 있는 최강의 ip를 가지고…
23/06/28 00: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인어공주는 캐스팅 이슈때문에 더 관심이 쏠리고 기존 ip 생각하면 손익 따지고 있는게 웃길정도이긴한데
요즘 제작비 2억 넘긴 헐리우드 대작 영화 중에 손익 성공한게 많지않긴해요.
인어공주 포함 트랜스포머, 플래시, 분노의 질주, 엘리멘탈 등 다 손익이 불투명하죠..제작비조차 못건질 영화도 있고요.

가오갤이 그나마 비슷한 제작비로 성공했는데 코로나 이후 아니었으면 가오갤도 더 성공했을것 같아 아쉽더라고요. 여튼 이제 이름값에 의존하기 보단 제작비를 줄이고 월메이드에 더 신경쓰는 분위기로 가야되지않을까싶은

내일도 대작이 개봉하는데 손익이 훨씬 더 높아서 개인적으로 잘 만들어서 성공했음 싶은데 여기도 걱정이네요. Ott때문인지 티켓값때문인지 진짜 입소문 좋지않으면 안가더라고요 이젠
만찐두빵
23/06/28 01:01
수정 아이콘
올해 할리우드는 진짜 쪽박 of 쪽박이죠. 지금 망했다는 소리듣는 인어공주가 선녀일정도로 폭망하는 작품들이 너무 많아서
닉언급금지
23/06/28 01:01
수정 아이콘
훗, 아직 백설공주(백설아님)이 남아있거든요. 크크크
크랭크렁
23/06/28 01:14
수정 아이콘
솔직히 개폭망 할 줄 알았는데 이정도면 pc질의 저력이 보여줬다 라고 할 정도로 많이 커버해서 폭망했네요. 플래시 옆에서 놀고 있어야 할 작품이라고 생각하는데
이웃집개발자
23/06/28 01:53
수정 아이콘
어어 엄청 잘나왔네??;;
Bronx Bombers
23/06/28 06:21
수정 아이콘
폭망했다고 하기엔 그렇고 애매하게 망한 수준이죠. 북미성적은 논란 거르고 봐도 꽤 좋은 편인지라 디즈니의 기본 기조가 바뀌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내년엔아마독수리
23/06/28 08:53
수정 아이콘
흑인을 넣고 있으면 차라리 작품 자체에 흑인문화 요소를 진하게 넣어서 어레인지했으면 훨씬 나은 작품이 되었을 거 같은데...
닉네임바꿔야지
23/06/28 09:11
수정 아이콘
이제 시장 규모를 파악했으니 그에 맞춰서 만들겠죠.
탑클라우드
23/06/28 12:27
수정 아이콘
잘만 했으면 사실 IP 자체는 겨울왕국보다도 흥행 가능성이 컸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1832 [게임] MS가 실행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전략 [11] Lord Be Goja9963 23/06/28 9963
481831 [기타] 다이렉트로 전무님한테 전화 때린 딸 사연.mp4 [10] insane9549 23/06/28 9549
481830 [기타] 삼성이 2023년 이전발매 갤럭시A시리즈에 치명적인 결함 업데이트 [18] Lord Be Goja9503 23/06/28 9503
481829 [기타] 중국의 연예인 임신 스캔들.jpg [19] insane12757 23/06/28 12757
481828 [유머] 기립성 저혈압 탄야8646 23/06/28 8646
481827 [유머] 누가봐도 구라같은 썰은 대개 진짜.jpg [23] lexicon16625 23/06/28 16625
481826 [유머] 옥바라지 카페 보고 위안 얻는 불륜카페.jpg [14] Myoi Mina 11105 23/06/28 11105
481825 [기타] [481813번 관련] 새학기가 되면 진짜 했던것 [6] 닉넴길이제한8자7743 23/06/28 7743
481824 [스타1] 송병구 부인 근황.mp4 [8] insane12668 23/06/28 12668
481822 [기타] 이동진이 만점 준 일본 공포 스릴러 영화.jpg [31] dbq12313369 23/06/28 13369
481821 [유머] 중소기업갤러리를 놀라게한 J소기업 [54] Myoi Mina 16694 23/06/28 16694
481820 [유머] 시골 고등학교 선생님 골머리 썩히는 학생들.jpg [21] Myoi Mina 12612 23/06/28 12612
481819 [LOL] 한화에 잘 어울리는 2군 정글러.jpg [3] insane8989 23/06/28 8989
481818 [LOL] 충격적인 투신 근황.jpg [3] insane11054 23/06/28 11054
481817 [유머] 테사기에 관한 프로게이머들의 생각.jpg [16] 김치찌개11936 23/06/28 11936
481816 [유머] 싸이월드 수많은 레전드중 제일 불쌍한인간.jpg [11] 김치찌개12872 23/06/28 12872
481815 [유머] 같이 여행가면 피곤한 친구들 특징.jpg [12] 김치찌개9694 23/06/28 9694
481814 [유머] 어느 부위 좋아하세요?.jpg [14] 김치찌개8977 23/06/28 8977
481813 [유머] 새학기가 되면 했던 일.jpg [19] 김치찌개9627 23/06/28 9627
481812 [서브컬쳐] 작가가 되려면 못쓴 작품도 읽어야 하는 이유 [17] petertomasi10255 23/06/28 10255
481810 [유머] [슈퍼맨: 레거시] 슈퍼맨, 로이스레인 캐스팅 공개 [10] 만찐두빵9197 23/06/28 9197
481809 [기타] 오늘은 나이가 어려지는 날 [54] 카루오스12191 23/06/28 12191
481808 [유머] 한국에는 침대밑 괴물이 없는 이유 [14] 로즈마리13459 23/06/27 134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