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3/14 22:08
명리학 공부하는 분들이 항상 하는 말이 국운은 대통령 운 따라간다는 말이 있죠. 즉, 대통령만 제대로 하면 나라가 어려울 일이 없다는..읍읍
16/03/14 22:09
전 개인적으로 이분은 알맹이 없는 철학이라 생각해서 별로...
얘기하는 거 듣고 있으면 딱 교회에서 목사님 설교하는 거 생각납니다.
16/03/14 22:14
주제에 맞춰 그에 대한 얘기를 하면 이해도 쉽고 좋은데, 다른 얘기로 빠지다보면 말씀하신대로 교회 설교 같더라요.
정치색이야 원래 그랬던 사람이니 이제는 신경 안 쓰는 편이지만...
16/03/14 22:13
아무리 그래도 중국과 비교하는 건 좀 에바인 것 같은데...
뭔가 대상을 까기 위해서 끌어올려면 그래도 좀 말이 될만한 걸 끌어와야지 중국을 끌어오는 건 솔직히 ??? 밖에
16/03/14 22:50
중국을 얘기하다가 우리나라를 끌어들이는거지 현정부를 까기위해 중국을 끌어들인건 아닙니다.
결과적으로 비교하는건 똑같겠습니다만
16/03/14 22:29
지금 각하의 주된 지지층 중에는 대통령에 대한 인식이 공화정보다는 왕정에 가까운 분들도 적지 않을 듯 하니
완전히 틀린말이라고 보기도 어려울 듯 합니다
16/03/14 22:47
어쩌라고 한 적 없습니다. 지금에야 1+1=2가 맞는 말이지만 백년 전까지는 1+1=3이 맞는 말이었고 오늘날에도 그런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1+1=3이 맞는 말이던 시절 얘기를 사람들에게 해도 '옛날얘기 하고 있네'라고 평가절하 할 필요는 없다는 얘기 일 뿐이죠.
16/03/14 22:55
옛날 얘기 얼마든지 해도 좋습니다. 하든말든 관심도 없어요.
근데 1+1=3이 맞는 말이던 시절 얘기를 지금 시대에 적용시키려 하면 평가절하를 넘어서 비판받아 마땅한겁니다. 누가 옛날 얘기는 입에 담지도 말라나요? 지금 천동설 주장하시는 분들이 본인 가르치려들면 허허 그럴수도 있지 하고 참 잘도 웃어넘기시겠어요.
16/03/14 23:06
[어지러운 국가는 없다. 어지러운 지도자가 있을 뿐이다.]라는 말이 요즘 세상에 적용하기가 그렇게 어려운 말인지부터 따져봐야겠습니다만 대통령에대한 개인선호도에따라 의견이 많이 갈릴테니 그냥 넘어가도록 하고, 도올의 주장에 대해 비판을 하시려거든 '세자 책봉하던 시절도 아니고 지금 시대와는 전혀 맞지 않는 고어죠.' 라고 하실게 아니라, 오늘날과 옛날의 국가/지도자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부터 말을 하시고 비판하셔야겠죠. 천동설 얘기는 어울리는 비유라고 생각하셨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별로 와닿는 바는 없네요. 목사가 기독교에 대한 이해와 신앙이 코페르니쿠스 시대에 머물러있는 신자들에게 천동설을 들먹거리며 설교한다면 썩 어울리는 화법이라고 생각할 것 같긴 합니다.
16/03/14 23:13
제가 뭘 모르는 척 햇다는건지도 잘 모르겠지만... 무엇보다 저 말이 지금 시대와 맞지 않는 이유를 모르면, 제가 처음 단 댓글을 고양이가 와서 쳐준게 되는 인과관계는 확실히 모르겠군요.
16/03/14 22:49
이게 도올철학의 한계죠. 서양철학보다 동양철학에 근간하다 보니 이런 사고방식이 나옴.
현 민주주의에 기반한 현대사회와 어울리지 않는 사고방식이죠. 지배자 중심의 사고방식...
16/03/14 23:20
저도 동감합니다. 그럼에도 도올의 말이 수긍이가는 이유는, 반대로 말하면 동양정치체계가 그만큼 제왕 중심의 체제라고 볼 수도 있다는 거죠. 정당이 돌아가는 것도 제왕적 총제가 있는 것을 오히려 더 바라는 사람이 많다는 것도 그런 이유이기도 할 테구요. 이런 문화에서 도올같은 사람이 있어야하는 것도 한편 동의하긴 합니다.
16/03/14 22:50
현대 사회에 어울리는 말은 아니죠. 박근혜가 문제가 있는 건 분명하지만, 박근혜 내치고 우두머리만 바꾼다고 대한민국의 모든 문제가 해결될 거라는 것도 사실 별로 설득력 있는 발언이 아니긴 합니다.
16/03/14 22:53
미국 초대대통령이 워싱턴이 되서 세계 최강 대국이 된게 아니고, 그란 콜롬비아의 초대대통령이 시몬볼리바르가 되서 다 쪼개지고 망한게 아니듯이..
역사의 흐름은 일개 지배자에 의해 움직이는게 아니라, 더 큰 집단 즉 국민에 의해 움직여왔죠.
16/03/14 23:03
전 솔직히 중국이란 나라를 왜 이리 과대평가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땅면적 빨, 인구 빨 빼면 저 나라 볼게 뭐 그리 있다고.... (물론 자본주의 구조 상 저곳에서 뽑아먹을게 많은건 맞습니다만...저런식으로 이 나라에 비해 비교우위 둘만한 나라는 아니라고 봅니다만.. 접근도 그런식으로 하는것도 아니고....)
16/03/14 23:16
20년 전만 해도 '중국은 공산주의 시스템과 1당독재의 폐해로 인해 절대 강대국(or 선진국)이 될 수는 없다'는 의견이 주류였고
10년 전에는 '중국이 강대국이 되긴 했지만 소비시장으로서 가치가 클 뿐 절대로 초강대국이 될 수는 없다'는 의견이 주류였죠. 오늘날에 와서는 '중국이 G2급의 초강대국이 되긴 했지만 절대로 미국을 앞지를 수는 없다'는 말이 많구요. 이런 판국이니 중국에 대해서는 무슨 말을 해도 과대평가가 되기도 하고 과소평가가 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16/03/14 23:26
한국사람들이 의외로 무시하는 국가가 인도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인도는 카스트제도 때문에 중국보다 발전속도가 더 더딜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만, 정작 무서운 것은 본토에서 IT에 집중하고 있는 인력들과 해외 특히 미국으로 나온 인도인들이죠.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인도+중국인들이 단결해서 자국으로 다 돌아가면 미국 과학계 특히 생명과학계는 꽤나 많이 무너질 것 같습니다. 박사-포닥-테크니션까지 인도+중국인이 없는 실험실을 찾기가 너무 힘들어요.
16/03/14 23:32
인도는 무시하는게 아니라 존재에 대해서 잘 모르죠, 한국사람들이...
아마 IT와 석유플랜트 분야 종사자들 정도만 10여년 전 부터 인도파워에 대해 느끼고 있었을거라고 봅니다. 미치오 카쿠가 미국은 자국인재는 별로 없고 H1B 비자로 외국의 인재들이 미국 밖으로 빠져나가는걸 막고있을 뿐이라고 비판 아닌 비판을 했었는데,거꾸로 얘기하면 H1B 비자가 있는 한 인도/중국 등지의 인재들은 계속 미국으로 올거라는 말도 되죠. 자국 환경이 미국과 비슷하거나 더 좋아지지 않는 이상은...
16/03/15 01:38
그렇죠. 아무래도 인도라고 하면 요가만 알지 ^^;;;;
사족입니다만, H1B에 대한 미치오 카쿠의 토론내용도 설득력이 있기도 합니다만, 2016년 현실적으로는 미국의 non-profit research institute에서는 H1B를 거의 주지 않습니다. 특히 생명과학분야에서는 더더욱이요. 결국은 자본의 문제입니다만, 어찌되었건 대부분의 과학자 특히 포닥들은 J1으로 미국에 옵니다. 그리고 나서 어떻게든 영주권을 신청해보던가 아님 최장5년 뒤 자국으로 컴백하는 거죠.
16/03/14 23:35
말씀하신대로 인도 포텐은 중국 이상일 수도 있지요.벌써 자금 흐름은 중국을 거쳐 인도도 거의 단물 빨아먹은 느낌이던데...하하;;
(근데 사실...인도하면 일반적인 이미지가..특히 최근엔 '강간'같은 부정적인 이미지만 잔뜩 있어서..카스트 제도야 말할것도 없고...;;)
16/03/15 00:10
그런데 사실 석학반열에 올라 자국 연구소/대학/정부에서 모셔가려는 게 아니면, 박사인력들이 딱히 대거 돌아갈 이유가 없긴 하죠... 과학 하며 그나마 가장 먹고살 만 한 동네가 미국이니까요.
16/03/14 23:22
초강대국의 기준을 GDP같은것으로 따진다면야 초강대국이 맞겠습니다만...그외의 전반적인 잣대를 기준으로 비교해보면 소위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나라들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봅니다. (뭐, 솔직히...미국 등 자본의 유입으로 인해 과거 일본, 한국처럼 경제성장이 다소 되었다고 해서 벌써부터 아시아에서 패권을 휘두르려 하는 모습에 좀 꼴같잖게 생각하는 주관적인 개념이 많이 들어갔다고는 인정합니다.하하;;)
16/03/14 23:42
일단 다른거 다 차처하고 1000명이 넘는 행정부 고위관료에 대한 인사권을 가진데다가 각종 법률로 위임된 대통령령을 제정가능한게 대통령인데 그런 대통령의 영향력이 별거 아니라면 글쎄요... 대통령 한명이 무슨 경제성장 7% 찍고 주가지수 3000가는 세상을 만들수는 없겠으나 국가 부채 늘리고 관료집단이 위에 눈치만 보다 방역에 구멍 뜷리게 하는 일 정도는 충분히 벌어지게 할 수 있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