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2/22 19:54
아뇨 저는 자수성가의 의미가 궁금한게 아니었어요.
본문의 자료에서 언급되는 자수성가가 뭔지 알고싶었던 겁니다. 그런거 없이 사진한장 던져놓고 카스트제도 어쩌구 하는건 사실상 디스를 위한 디스라고밖에는 안느껴지네요.
16/02/22 19:53
비율봐서는 상위 몇 대 자산가 중에 물려받은 사람과 자신이 창업해서 번 사람 비율이 아닐까 싶긴 하네요. 한국은 상위 50대 자산가 중에 자수성가가 10%도 안됐던 걸로 기억하니까 아마 100명이나 그 이상이 아닌가..
16/02/22 20:36
생각나는 조에 가까운 자산가 김택진,김정주, 이혜진, 김범수, 스마일게이트 사장님 5명이 넘게 생각나는데요? 아.. 50위에는 못들을수도 있겠네요. 근데 모두 it네요...
16/02/22 23:18
그중에 김택진씨하고 나머지 1명이 누군진 모르겠는데 딱 2명만 50위권 안에 있고 나머진 50위권이 아닙니다.
나머진 전부부모잘만난 분들.
16/02/23 09:02
일반인 사이에서는 분명 금수저라 할 법 하지만 기업가 입장에서 금수저를 물었다고 하려면 빌게이츠의 부모님정도는 금수저라 불리울 정도는 아니지 않을까요
16/02/22 20:08
절대적인 부 수치로만 하는것도 있습니다. http://superich.heraldcorp.com/superich/view.php?ud=20150529000619&sec=01-74-06&jeh=0&pos=&RURL=https%3A%2F%2Fwww.google.co.kr%2F 30대 나이에 10억 달러를 초과한 전 세계 42명이라네요.
16/02/22 20:20
우리나라 재벌의 부가 범점할 수 없다기엔 중동을 제외한 아시아로만 따져도 한국 부호는 이건희 일가 정도 빼고는 순위가 낮습니다.
16/02/22 20:33
http://newstapa.org/30163
뉴스타파 이 영상 인용자료인가 봅니다. 포브스에서 발표한 각 나라별 30대 부자중 자수성가 비율을 비교한 것으로 보입니다.
16/02/22 20:47
뭐 중국은 개방한지가 얼마 안됐으니까요. 한국으로 따지면 70년대 상황인거죠. 서방 국가들이나 일본정도만 유의미하게 보면 될거같습니다.
16/02/22 21:20
문득 일본이 조금 궁금해지네요. 손정의님은 차치하고서라도 IT로 자수성가한
사업가가 과연 일본에도 많을까 라는... 원래 기초 소재를 비롯한 여러 제조업을 기반으로 성장한 이미지의 일본이기에 기존의 소니. 도요타. 미츠비시, 이런 기존 기업말고 IT로 급부상한 사업가가 소프트 뱅크 빼고 그닥 많지 않을것 같다라는 느낌도 들어서...
16/02/22 21:43
유니클로, ABC마트등 의류유통사업쪽이 대부분 자수성가죠
유니클로창업주가 손정의랑 1~2위 다투고 ABC마트창업주도 10위고 일본 인터넷쇼핑 1위 라쿠덴 창업주가3위입니다. 빠칭고 사업으로 자수성가한 인물 10위안에 두명이나 있고요 (그중 한명이 제일교포입니다.) 그리고 일본사람들은 수명이 길죠 80~90세 창업주들도 순위안에 많습니다.
16/02/22 22:53
최근에 제 초등학교 동창이 유명한 제과점을 그대로 물려받아 관리하며 잘 살고 있는걸 보면서 부럽단 생각이 들던데...
이 좌표보니 더 그렇네요.
16/02/23 00:00
음... 중국 같은 경우는 좀 거품이 껴 있을 수 있는 부분이,
우리나라도 1970년대? 80년대쯤 자수성가 비율 계산해봤으면 지금보단 높게 나왔을 거긴 할 테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