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2/01 23:11:35
Name OCT25
File #1 보험료.jpeg (26.3 KB), Download : 40
File #2 보험료_진료건수.png (647.8 KB), Download : 6
Subject [일반] 국적별 건강 보험료 납부액 & 수혜액 (수정됨)




1999년도에 장기체류 자영업자 외국인을 대상으로 지역가입자 자격취득허용
2006년도부터 공무원 및 교직원으로 채용되거나 직장가입자 취득이 적용되는 사업장에 
근무하는 외국인 및 재외국민의 건강보험가입 의무화 
2008년도부터 최종입국일로부터 3개월경과시 보험가입
2015년부터 직장가입대상이 아닌 사업장근무 직장이 없는 외국인은 최종입국일로부터 3개월경과시 
국내거소 및 외국인등록신고시 지역가입자 취득자격 부여 
2018년부터 건강보험 악용사례로 최소 체류기간 3개월에서 6개월로 연장 
2019년 7월부터 외국인 건강보험 당연적용제도 실시 
입국후 6개월이상 거주시 (외국인.재외국민은 직장가입자나 피부양자가 아닌경우 
의무적으로 건강보험 지역가입자로 보험료 납부)

내용중 발췌 
외국인 건강보험제도의 다양한 문제점
첫째는 단기간 체류하면서 고가치료를 받고 출국하는 의료쇼핑이다. 
가입의 임의규정으로 인해서, 외국인은 고액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한해서 건강보험에 가입하여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보험료 부담과 이용의 유·불리에 따라서 가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임의가입제도를 악용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이에 따라 내국인과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건강보험 재정 누수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둘째, 외국인의 경우, 해외의 재산현황 파악이 어려워서 적정한 보험료 산정이 어렵다
건강보험공단은 국내 발생 소득과 국내 재산에 준하여 개인별 건강보험료를 부과하고 있다. 
셋째, 외국인은 보험료 미납시 재산현황 파악이 안 되어 체납보험료 부과나 부당이득금 환수가 어려웠다. 
이에 따라서 건강보험료 체납률이 증가하였다. 
넷째는 건강보험 명의도용 문제이다. 
본인확인절차의 허점을 악용하여 다른 사람의 명의를 도용해 건강보험 진료를 받는 외국인 사례도 보고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2018년 2019년 관련법령 개정

눈문결론 발췌
1. 국적별 가입자수와 이용현황을 보면
중국인이 외래이용자/입원이용자 비중이 가장 높음
미국인의 경우 1인당외래 및 입원진료비가 가장 높음
(상대적으로 중증도가 높음)

2. 의료서비스현황 분석결과 
진료건수는 지역가입자/직장가입자/피부양자순
지역가입자는 다른집단보다 외래진료건수가 많음
1인당 진료비도 가장많음 

건강보험재정 누수현상+의료보장 사각지대해소를 위해
당연적용제도 도입 
(당연적용제도 도입이후 효과도 분석이 필요함)


논문출처
외국인 건강보험가입자의 의료서비스 이용 현황 분석(박형아*, 진기남**, 구준혁**),2020, 6Page 표4
A Study on the Healthcare Utilization Pattern of Foreign Nationals with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South Korea
국민건강보험공단*,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보건행정학과**, 연세대학교 의료복지연구소***
https://doi.org/10.5392/JKCA.2021.21.03.314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양고기
22/02/01 23:25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보험료 대비 급여비가 어느정도일까요?
22/02/01 23:56
수정 아이콘
검색해보니 1.14배라고 나오네요.
http://medifonews.com/mobile/article.html?no=154841
VictoryFood
22/02/01 23:27
수정 아이콘
출처 가보니 중국 국적 인원수가 전체의 52%네요.
이러면 외국인 건강보험이 흑자라는 것도 국적별로 보면 생각보다 왜곡이 클거 같군요.
스칼렛
22/02/01 23:40
수정 아이콘
상대적으로 중국 국적자들이 나이가 많을 것 같은데 그렇다면 당연한 일입니다. 건강보험이라는게 젊을 땐 손해고 나이들어서 이득보는 시스템이니까요. 나이를 보정한 비교가 있을지 궁금하네요.
초현실
22/02/01 23:30
수정 아이콘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다들 건강관리 잘하시나봐요 내기만 하고 받질 않네 크크크
22/02/01 23:35
수정 아이콘
보시다시피 이 건으로 외국인 혐오를 조장하는 건 너무 저급합니다.
플리트비체
22/02/01 23:47
수정 아이콘
역시 중국...
외국인에게는 좀 더 깐깐하게 주는게 맞습니다
22/02/01 23:54
수정 아이콘
외국인 의료보험은 전체적으로 흑자라서 깐깐하게 할 필요성보다 중국만 문제인데...그렇다고 중국국적자만 차별주는 것은 형평성이랑 외교적 문제를 떠나서 다른나라 국적자에게도 영향을 주죠. 한국이 중국에게 차등 주는 순간 덜 받아가는 다른나람 사람에게 보험료 적게 내게 할 것인가요?? 그러면 아예 외국인은 공평하게 의료보험 적용안하겠다도 방법이지만... 그 것은 한국 스스로 흑자로 돈 벌고 있는 짓을 제스스로 날려 먹는 바보짓이고...
22/02/02 10:05
수정 아이콘
나이에 따라 차등적용하는게 방법이겠죠 모든 보험들이 그렇듯이요
22/02/01 23: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중국이 얄밉지만...그래도 중국인이 낸 것보다더 받아간다고 중국인에게만 다른 국적인에 비해 더 내거나 덜 받게 하는 차별을 줄 수도 없는 노릇이죠. 외교적 문제를 떠나서 만약에 국적별로 차등을 주면 내는 것에 비해 덜받아가는 국가는 보험료 적게 내겠다고 하면 한국이 할말이 없어요. 그렇다고 흑자인 외국인 의료보험 자체를 막는 것도 웃기고요. 한국정부가 중국이 좋아서 손해 볼 짓 하겠어요. 그냥 의료 후진국인 중국이란 나라가 한국에 가깝다 보니 생긴 현상이죠.
22/02/01 23:55
수정 아이콘
조선족은 동포로 분류되서 저기에 포함이 안 되는건가요?
소독용 에탄올
22/02/02 01:23
수정 아이콘
비자기준이 아니라 국적기준이라 포함됩니다.
아구스티너헬
22/02/02 04:57
수정 아이콘
그럼대부분 조선족 관련일듯 합니다.
22/02/01 23:58
수정 아이콘
보다시피 절대적인 비중도 매우 작고, 급여율도 높지 않습니다. 제도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다면 (항상 있겠죠) 개선을 하되, 이걸 인종주의적인 프로파간다로 이용하지 않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판을흔들어라
22/02/01 23:58
수정 아이콘
외국인들도 피부양자 데려와서 건보쇼핑 한다던데 막았으면.... 비슷한 사례로 탈조선(?) 해놓고서 꼬박꼬박 한국와서 다른 가족이나 친척 명의로 건보쇼핑 한다는 것도 막았으면 하는데 이건 기득권층이 이용하는 거라 안 막으려나요
VictoryFood
22/02/02 00:28
수정 아이콘
피부양자도 최소 체류기간 적용하면 될거 같은데 안하겠죠.
복타르
22/02/02 00:33
수정 아이콘
관련 법안도 상정되어 있고, 건보공단에서 올해안에 피부양자 최소체류기간 6개월로 강화한답니다.
VictoryFood
22/02/02 01:13
수정 아이콘
가입자 체류기간만 있는 줄 알았는데 피부양자 체류기간도 있군요.
동년배
22/02/02 00:06
수정 아이콘
건보는 젊은 사람이 내고 나이들어 혜택 보는거라 외국인만 따지면 전체적으로 흑자가 당연합니다.
중국 '국적'이 적자보는건 위의 경우 생각하면 당연히 중국 국적을 가지고 한국에 있는 사람이 '고령화'되었다고 보면 됩니다. 외국인이 한국에 와서 고령화 될 때 까지 살 수 있는 경우는 하나죠. 연변 자치주 조선족이 많이 한국으로 들어와 거기 인구가 줄어들 정도라 하니... 어쨌든 법적으로 우리가 기한 제한 없이 받아들이기로 한 재외동포라 그 이상 문제 삼기도 힘듭니다. 그런 통계를 낼지 모르겠지만 중국도 F4 F5 소지자들 빼고 방문취업 기타 비자 소유자들 건보 통계 내면 다른 나라들과 큰 차이 없을 겁니다.
22/02/02 00:30
수정 아이콘
본문에는 없지만 궁금하실 분들이 있을 것 같은 내용을 추가합니다.

-외국인에는 당연히 재외동포(조선족, 재미교포, 재일교포 등)가 포함됨.
-의료서비스 이용자 82만명 중에 중국인은 46만명으로 전체의 55%를 차지함. 사용한 비용 총액도 중국인이 가장 많음.
-1인당 외래진료비, 입원진료비, 입원일수는 모두 미국인이 가장 높음.
-의료쇼핑목적으로 예상되는 지역가입자+직장피부양자의 비율은 일본, 중국, 베트남, 미국 순으로 높음.
아야나미레이
22/02/02 01:04
수정 아이콘
미국인이 높은건 아마 검머외분들 영향이 크겠죠?
22/02/02 06: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요즘은 과연 중국인의료쇼핑 현상이 있을까하는 의문이 듭니다.
6개월이상 체류하는데 생활비+왕복항공권+중국귀국준비 비용+귀국 후 격리비용만해도 천만원 이상 나오는거 아닌가요?
중국인이나 일본인은 나라가 가까운것만큼 옛날부터 더 많은 사람들이 들어온거고 그 사람들이 나이들면서 받는 부분도 상대적으로
많겠지요.그리고 돈이라는게 가치가 유지되는것도 아니고 예를들어 내가 10년동안 10억내고 10년뒤에 11억받았다고 딱히 흑자는 아니지요.
배고픈유학생
22/02/02 06:53
수정 아이콘
이 건은 국가적 어젠다로 주목해서 끌고갈 사항은 아니라고 봅니다. 외국인 때문에 건강보험체계가 무너지는 듯히게 프레임 짤 필요도 없고,
중국인(조선족)특성 감안해서 좀 더 깐깐하게 적용시키면 그만이죠.
율리우스 카이사르
22/02/02 08:46
수정 아이콘
중국만 적자인건가요?

핀셋 개정 하면 되겠네여
다리기
22/02/02 08:48
수정 아이콘
한국의 자랑 핀셋 규제!
복타르
22/02/02 09:27
수정 아이콘
인종차별을 법으로 규정하는 나라가 되겠네요.
율리우스 카이사르
22/02/02 10:00
수정 아이콘
행태 위주로 하면 되죠 머.
22/02/02 11:10
수정 아이콘
비자 종류로 조정하는쪽으로 가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2/02/02 13: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캐나다의 부동산 해법 “집값 올린 주범은 외국인... 2년간 매매 금지 추진”
부동산이긴하지만 외국인에 대한 매매규제
(건보재정에 영향을 미칠경우 국내거주 외국인대상으로 기준을 강화하면 될듯합니다.)
국내거주 외국인에 대한 건보가입기준 강화
(체류기간 기존6개월/ 1년이상으로 )
건보재정에 까지 영향을 미칠경우는
국내거주 외국인에 대한 건보료인상등 여러각도에서도 고려볼수 있구요
(당연적용기준이후 영향을 분석 개정의 필요성있음 개정을 해야겟죠)
22/02/02 09: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건보 무임승차는 누구나 할 수 있는 건데, 굳이 그걸 특정 인종이나 국적과 연계시키면... 결국 인종주의 혐의에서 벗어나기 어려워질 것 같습니다. 한국이라면 특히 핀셋으로 중국 찝어서 그럴 것 같은데... h-2 비자 문제? 한국인이든 중국인이든 그 어느 나라 사람이든 일단 한국에서 일하고 한국에서 건보 가입해서 건보료 냈으면 한국인과 동일하게 혜택 받을 수 있게 해줘야하지 않나요. 오히려 외노자들은 건보 혜택을 한국인 노동자만큼 쉽게 꼼꼼히 받기 어려울 것 같은데. 언어나 행정 절차나 직장 문화 등 유무형의 장벽 때문에. 특히 고용불안한 저소득 단기 고용 노동자들일수록.

건보는 외국인 노동자 대상으론 현재 흑자를 내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젊었을 때 한국에서 반짝 일하다가 돈 모아 본국으로 귀국하곤 하는 외노자들이 늙어 병들어 죽을 때까지 한국에서 살기 마련인 대부분의 한국인들보다 건보에 부담을 주긴 힘들 것 같습니다. 그리고 외노자라도 아프면 치료 받게 해줘야죠. 이건 인권 같은 고상한 이야기하려는 게 아니라... 그냥 형이하학적 산업논리. 유지보수성, 지속가능성, 예측가능성. 로봇공학 3원칙에서도 제3원칙은 "로봇은 자기를 보호해야 한다"이고 이건 로봇의 권리가 아니라 의무죠. 굳이 저열하게 말하자면, 사용하는 도구가 망가지면 도구 이전에 도구 사용자가 곤란해지니까.

굳이 무임승차 문제 따지려면, 그보단 재외국민들이 혜택 필요할 때만 일시귀국해서 의료쇼핑하고 출국해버리는 게 더 큰 문제일 것 같아요. 일은 한국에서 안 하니 내온 건보료는 작고(재외국민은 한국에 체재한 기간만 건보료 낸다고 합니다. 소득이나 자산이 한국엔 거의 없을테니 지역건보료로 따져도 건보료는 꽤나 낮아질 듯.) 미리 공부해와서 단시간에 비싼 시술만 집중적으로 골라 받고 떠나니 건보 부담은 크죠. 정작 한국에서 일해서 GDP 공헌하는 사람은 외노자인데. 재외국민은 동포니까 노골적으로 혜택만 체리피킹해도 내버려두고 외노자는 동포 아니니까 공격한다면, 그건 좀...
22/02/02 11:03
수정 아이콘
2019년부터 재외국민은 6개월 이상 체류해야만 건보 가입 가능합니다.
22/02/02 13: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본문에도 적었지만
지역가입자/직장가입자/피부양자 그룹중
지역가입자/피부양자 그룹의 문제로
2018년 2019년 관련법률개정을 했습니다.
추가로 기준을 더 강화를 해야될듯합니다.
(내국인이 해당국가들에서 장기체류시
받을수있는 건강보험부분도 같이 생각해보시는게 좋을듯합니다.)
22/02/02 10:14
수정 아이콘
문제가 있긴 하네요. 차별은 안되지만, 차별로 보일까 두려워 현실적인 문제를 외면하는것 또한 안되겠죠.
스칼렛
22/02/02 13:08
수정 아이콘
무슨 문제가 있나요? 한국인도 나이 먹을수록 의료비 많이 나오는건 똑같습니다만…
22/02/02 11:02
수정 아이콘
그냥 핀셋으로 할 이유가 없이 외국인 일괄 건보자격 1년계류 1년납부시점부터 떄리면되는거죠.
핀셋으로 떄리면은 100퍼센트 인종차별이야기 나올꺼고..
모데나
22/02/02 11:27
수정 아이콘
외국국적으로 한국에 눌러사는 재외동포들한테는 일정기간 지나면 국방세라도 부과해야죠.
22/02/02 12:37
수정 아이콘
국적 및 연령별 체류외국인수를 보면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1&tblId=DT_1B040A6)
한국계 중국인(조선족) 고연령자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전체의 절반 이상이 50대 이상 중노년층입니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남녀 가릴거없이 육체 노동을 주로하죠
건설업 제조업 요식업 청소 등등

가족 초청해서 먹튀하는 사례가 분명 있지만 전체 재정을 갉아먹는 크리티컬한 요소일거 같지는 않고
연령 요소가 제일 클거같습니다
스칼렛
22/02/02 13:07
수정 아이콘
뭐 자세히 보지 않고 혐오 조장하려는 시도가 먹히고 있는 거죠.
22/02/02 14:14
수정 아이콘
돈을 내줄 중국국적의 젋은이보다 수혜를 받는 중국국적 노인들이 많다면, 한국인들이 중국노인을 봉양하는 꼴인데, 조정 필요성이 논의될수 있죠.
건이건이
22/02/03 20:59
수정 아이콘
외국인들이 가입하는 외국인 건강보험은 흑자입니다
한국인들이 봉양하는거 아닙니다.. 오히려 흑자나는
외국인 건강보험으로 한국인 건강보험 적자를 메꿈는 중입니다
22/02/03 22:09
수정 아이콘
토탈은 흑자인데 중국인들에겐 적자로보이네요. 아닌가요?
건이건이
22/02/03 22:35
수정 아이콘
위에 쓰신 한국인들이 봉양하는것은 아니라는거죠... 외국인 건강보험 자체는 흑자고... 내국인 건강보험은 적자니깐요
Paranormal
22/02/02 15:12
수정 아이콘
이 자료의 의도는 모르겠지만 국적과 관계없이 재원은 무한정이 아니면 조정을 해야겠죠.
22/02/02 14:31
수정 아이콘
저 수지타산 메울려고 중국 또는 특정 국가 걸고 넘어지는 게 훨씬 더 손해죠. 아주 스무스한 방법을 찾으면 모를까.
22/02/02 15:13
수정 아이콘
뭐 또 조선족/중국인 혐오로 흐르겠죠
22/02/02 15: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현재 건보재정상황 앞으로의 인구구성비율을 봤을때
사회구성원이 부담해야될 건보비등
종합적으로 생각을 해보면
국내체류 외국인에 대한 건보가입기준/지출부분도
장기적인관점에서 고려해야될부분으로 생각하시면 될듯한데요
(국내체류 외국인대비 내국인이 해당국가들에서 장기체류시
받을수있는 의료해택부분에 대해서 상호주의관점에서
접근해보시는것도 괸찮을듯합니다.)
해외에서 장기체류시 의료비/의료수준등의 문제로
국내로 일시귀국 보험료일시불 납부후 치료를 받는경우도
종종있습니다.
22/02/02 15:34
수정 아이콘
아뇨 글 쓰신분이 그런 의도로 쓰셨다고 비난하는게 아니라, 대부분의 커뮤니티에선 그렇게 될거라는 일종의 짐작이자 냉소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우리 건보재정이 말라가는 와중에 새는 곳이 없나 찾아보는 것은 바람직한 일입니다만..
빼사스
22/02/02 15:33
수정 아이콘
그 중국 국적 노연령층이 우리사회의 힘든 업종을 주로 하고 있다는 생각도 해야죠. 노동의 강도만큼 아픈 건 당연한 거고요. 단순히 건보 혜택이 있으니 차별한다면 다른 곳, 노동시장에서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
22/02/02 15: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본문에도 적었지만
지역가입자/직장가입자/피부양자 그룹중
지역가입자/피부양자 그룹의 건보악용 문제로
2018년 2019년 관련법률개정을 했습니다.
추가로 기준을 더 강화를 해야될듯합니다.

건보재정을 생각하면
제품명처방 vs 성분처방에 대해서도
마무리를 지어야될듯하구요
건보재정 관점에서 접근하시는게 나을듯합니다.
StayAway
22/02/02 15:52
수정 아이콘
체류기간을 1년 정도로 늘리면 간단히 해결되겠네요.
한국이 물가가 마냥 싼 국가도 아니고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면 어찌됬건 국내 체류비용은 국민들에게 돌아가겠죠.
antidote
22/02/02 19:32
수정 아이콘
통계적 사실이 드러난것 뿐인데 사전적으로 인종적 혐오가 언급되는 이유는 뭔가요?
다른 국적자는 다 젊을 것이고 중국국적자는 고령자 위주니 당연하다는 것도 이상한게 그렇게 세부적으로 따질거면 그나이 되도록 귀화 안하고 살고 있는건지도 다 일일히 조사해서 문제삼아야 한다고 보는 입장이고.
외국인에게 혜택을 주는게 당연한 것도 아니고 그냥 통계에 대해 사실여부를 검증할 수 없는 변론이 난무하는 것 같습니다.
22/02/02 20:03
수정 아이콘
"이 주제는 해로운 주제다" 식의 반응들이 당황스럽긴 하네요.
씨드레곤
22/02/02 20:43
수정 아이콘
혹시 2020년 이전 데이터도 있나요?
중국인이 계속 흑자였다가 최근 몇년에 적자로 전환했는데 바로 중국인이라고 문제라 하는 것 아닌지 의심되네요.
더 자세한 변화 추이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Capernaum
22/02/03 12:32
수정 아이콘
통계적 사실 근거로 핀셋 개정하면 되지 않을까요?

인종차별은 무슨 같은 인종인데...

중국인만 적자라면 그 근거로 개정하면 될듯요

사우디 같은 곳은 특정 국가 출신 입국도 막는데..
마포구보안관
22/02/03 13:51
수정 아이콘
보험만 따져도 연령별로 성별따라 보험료가 다 다릅니다 건보는 그게 아니라 연봉의 몇프로 이런식으로 개인의 사고발생확률과 무관하게 보험료를 받아가니 이런 적자 발생하는 계약군이 생기는거죠
보험료 산정 방식을 연령에 연동되게 바꾸면 될 일인데 건보가 복지 성격이 있다보니 그건 또 어렵고
어쨌든 나라마다 확연한 차이가 있으면 중국인 건보재원은 중국내에서 충당가능하도록 나라별 차등을 하는게 맞는 재원조달 방법이죠 안그러면 나머지가 피해를 보는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4996 [일반] 사기업의 직원 성비 균형에 대하여 [174] Gotetz17174 22/02/08 17174 27
94994 [일반] 노래방에 안 들어갔지만 들어갔으면 좋겠고 자주 듣는 노래 둘 [34] A111750 22/02/07 11750 1
94993 [일반] 잡설) 두 번의 베이징 올림픽 - 중국은 왜 퇴보한 걸까요 [156] 올해는다르다19137 22/02/07 19137 27
94992 [일반] 제 부모님이 평생을 노동해야 하는 이유 [64] 아라라기 코요미20586 22/02/07 20586 36
94991 [일반] 디즈니+)다큐 리뷰: 역시 네셔널지오그래픽이야 [9] 타카이9497 22/02/07 9497 2
94990 [일반] '성관계 녹음' 없었더라면...성폭행 무고에서 간신히 벗어난 남성 [137] 톤업선크림19796 22/02/07 19796 38
94989 [일반] 아프간 특별기여자 '미라클 작전' 그 이후 이야기 [36] 은하관제11702 22/02/07 11702 2
94988 [일반] 술 먹고나서 쓰는 잡설 [35] 푸끆이12893 22/02/06 12893 47
94987 [일반] 미국시장에 관한 개인적인 뇌피셜 뷰 [70] 기다리다16752 22/02/06 16752 11
94986 [일반] 철마는 달리고싶다 [4] seotaiji7885 22/02/06 7885 8
94985 [일반] 12시는 존재하는 가. [29] singularian10884 22/02/06 10884 1
94984 [일반] [성경이야기]이스라엘 vs 가나안 다섯 연합국 [8] BK_Zju11913 22/02/06 11913 25
94981 [일반] [한국 드라마&영화 추천] 내 머리 속의 지우개, 천일의 약속 리뷰 (스포 보통) [8] 마음속의빛6708 22/02/05 6708 1
94980 [일반] <돈 룩 업> - 끓는 점의 코미디(약 스포) [50] aDayInTheLife8767 22/02/05 8767 0
94979 [일반] 보면서 헛 웃음이 계속 나왔던 일드 '일본침몰' 리뷰 [66] 마빠이13728 22/02/05 13728 10
94978 [일반] 뚜룩뚜룩 옆비싼 허리가운을 입고 콩댄스를 추자. 추억의 엽기송 모음 [10] 라쇼11845 22/02/05 11845 13
94977 [일반] 이웃나라 사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49] 클래식10938 22/02/05 10938 5
94976 [일반] 배철수의 음악캠프 30주년 특별기획 - 배캠이 사랑한 음악 100(1) [18] 김치찌개8090 22/02/05 8090 20
94975 [일반] (스포) 영화 '사도' 간단 리뷰 [20] 원장6409 22/02/04 6409 6
94974 [일반] 이탈리아에서 날아온 작은 라팔을 만들어 봅니다 [27] 한국화약주식회사9598 22/02/04 9598 51
94973 [일반] <파워 오브 도그> - 서늘하고 느긋하다.(약스포) [9] aDayInTheLife6389 22/02/04 6389 2
94972 [일반] 어떻게 국내의 해양플랜트 업계는 망했는가? [30] antidote12761 22/02/04 12761 42
94971 [일반] 예배는 진보주의, 신앙은 근본주의 - 영적 매운맛 챌린지 [29] 계층방정8296 22/02/04 8296 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