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2/06 00:59:03
Name singularian
Subject [일반] 12시는 존재하는 가. (수정됨)
수학을 모르는 내가,
그냥 느닷없이 드는 생각이 12시는 있는가의 멍청한 의문이 들었다.

그 궁금증을 가진 이유는
1. 우린 10진법을 쓰는데 12시 59분 59초에서 0도 아니고 1시로 넘어간다. 한국의 신생아 나이 같이...
2. 12시를 무시하고 0시로 생각하고 살면 된다.
3. 12 진법을 쓰더라도 12시도 0시도 있다.

뭘 쓰던 야근비하고는 관련이 없다.

그럼 뭐지 ?
궁금증 :
1. 이건 문과생 질문인가 ?
2. 이과생 질문인가 ?
3. 이과생도 모르고 이건 철학과야... 켁.
4. 그냥 몰라도 된다.

그런데 오래전 노래 “대전발 0시 50분”을 보면 분명 0시는 있는 것 같다.
[『그럼 뭐지 ? 관습법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설레발
22/02/06 01:19
수정 아이콘
술 많이 자신듯..
singularian
22/02/06 10:42
수정 아이콘
천리안이십니다.
스토리북
22/02/06 01:21
수정 아이콘
24시간제에서는 0시가 있다.
12시간제에서는 0시가 없다.

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5. 주무실 시간입니다.
22/02/06 01:21
수정 아이콘
어렵게 생각할것없어요.
우리가 쓰는 시간의 개념들은 고대 수메르에서 기원된 개념들을 쓰는데 0의 개념이 없는 12, 60진법을 써왔기때문에 그것이 오늘까지 이어져온것뿐입니다. 그냥 정하기 나름이에요.
manymaster
22/02/06 01: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비슷하게 8비트 기준으로 컴퓨터에서 127 다음은 -128입니다.
128이 실존하냐고요? 예 실존합니다. 언사인드로 바꾸거나 16비트로 올리면 됩니다.

P.S: 대댓에 따라 실수 수정합니다...
유리한
22/02/06 03: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 뭔가 매우 다른데요,
8비트에서 unsigned 면 255 다음은 0이구요
8비트에서 256은 unsigned 로 바꾼다고 가질수 있는 값은 아니고.. 비트를 늘려야 합니다. 범위가 0~255라..
8비트 signed의 범위는 -128 ~ 127 입니다.
manymaster
22/02/06 04:49
수정 아이콘
악... 실수...
지적 감사합니다...
공실이
22/02/06 01:27
수정 아이콘
오전에는 0시로 쓰고 오후에는 12시로 씁니다.
22/02/06 01:28
수정 아이콘
12시간제도 0시~11시로 했으면 좋았을텐데 1~12를 세고있고. 24시간제는 0~23을 세고있습니다.
숫자의 시작이 1이냐 0이냐의 문제가 아닐지
(12시간제의 오전은 12시부터 11시59분까지, 오후도 12시부터 11시59분까지. 12다음은 1로 돌아갑니다.)

마지막에 말씀하신 0시50분은 24시간제에서는 말이되죠.
심야영화예매해보면 24시 30분, 25시 10분처럼.. 자정을 넘긴 다음날 새벽을 저런식으로도 표기했었죠.
닉네임을바꾸다
22/02/06 03:41
수정 아이콘
자연수를 1로 시작하나 0으로 시작시키나 이런 느낌이군요 크크
22/02/06 08:06
수정 아이콘
기표가 한 개의 기의를 가진다면 함수 관계인 것이고, 이 함수가 반드시 단사 함수일 필요는 없습니다.
모데나
22/02/06 10:18
수정 아이콘
합리적이라며 만나이 쓰자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0시~11시 쓰겠죠. 아니면 그냥 서양숭배자일 뿐인거고.
닉네임을바꾸다
22/02/06 10:34
수정 아이콘
그냥 24시간 표기법쓰면 그만이라서...
22/02/06 11:05
수정 아이콘
죄송한데 이 댓글은 뭔 뜻인가요?
"만나이 주장하는 사람은 0시~11시를 쓸 것이다." 라는 내용이 이해가 잘.. 만나이 주장이랑 0시를 사용하는 사람이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건지..

저만 잘 이해가 안되는건가 흐흐
ANTETOKOUNMPO
22/02/06 12:29
수정 아이콘
우리나이는 1세부터 시작하고 만나이는 0세부터 시작하니까,
만나이 쓰자고 주장하는 사람은 시간도 0시~11시를 쓰는 것이 일관적이다라는 의미 같아요.
깃털달린뱀
22/02/06 10:36
수정 아이콘
전에 일본 방송 시간표 보니까 25시 26시 표기도 쓰더라고요
올해는다르다
22/02/06 10:47
수정 아이콘
a일 24시 = a+1일 0시
22/02/06 11: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우린 10진법을 쓰는데 12시 59분 59초에서 0도 아니고 1시로 넘어간다. 한국의 신생아 나이 같이...

12시에서 1시로 넘어가는게 아니라,
오전 12시에서 오후 1시로 넘어가는것이죠. 12시간제에는 0시가 없으니까요. 합의에 따른 규칙이라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12시간제와 24시간제를 나열해보면
[24시간제] 01:00, ..., 12:00, 13:00, ..., 23:00, 24:00(다음날 00:00)
[12시간제] 오전1시, ..., 오후 12시, 오후 1시, ..., 오후 11시, 오전 12시

예를 들면
24시간제의 0시 1분= 12시간제의 오전 12시 1분
24시간제의 12시 1분 = 12시간제의 오후 12시 1분
으로 이해하고있읍니다
singularian
22/02/06 11: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적인 생각에 분명히 dimensional counting에 있어서 연속성은 있으나, 개념적으로는 12:00 또는 24:00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 자리에 “0”이 치환되어 있어야 하니까요. 아니라면 년도와 같이 [무한 카운팅]을 해야 하거나...

그래서 대전역에 있는 “0시 50분” ...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관습이야 어떠하던 간에.
22/02/06 20:52
수정 아이콘
"0시 50분"은 글쓴이님이 있다고 생각하시지 않더라도, 저도 있다고 생각하고, 다른 사람들도 보통 있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제가 댓글 마지막에 적은 예처럼요..
Locked_In
22/02/06 11:38
수정 아이콘
전설의 25시 글이 생각나는군요.
DownTeamisDown
22/02/06 12:28
수정 아이콘
사실 25시나 26시같은게 이해하기 더 쉬운경우가 있습니다.
철야 같은일이 있을때 말이죠.
22/02/06 12:39
수정 아이콘
저도 이 문제로 고민해본 적 있습니다 크크
네자리로 시간을 읽고 24시는 없는 형태로 보통 생각합니다.
여덟글자뭘로하지
22/02/06 12:50
수정 아이콘
12시간 표기법은 1~12를 사용합니다.
24시 표기법은 0시~23시를 사용합니다.
고로 24시간 표기법에서만 0시가 존재합니다 끗

저는 이래 생각하고 삽니다 흐
Navigator
22/02/06 13:23
수정 아이콘
청하가 열두시라는 노래까지 냈으므로 존재합니다
켈로그김
22/02/06 14:02
수정 아이콘
부라보콘 시무룩
드워프는뚜벅뚜벅
22/02/06 14:48
수정 아이콘
킹갓하스스톤에 명백히 존재하죠
인생은에너지
22/02/06 15:10
수정 아이콘
12시와 싸우는게 아닌 본인덱과 싸우는 게임아니었던거요 크크
앙겔루스 노부스
22/02/07 00:40
수정 아이콘
이거 일본에서 겪었는데, 일본은 12시간으로 표시해도 0~11시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한국이 1~12시로 표현하는 것과는 말 그대로 표현만 다른거죠. 굳이 철학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논증하자면 하려들 분들도 있겠습니다만, 저는 그냥 표기법 차이일 뿐이구나, 하고 그 동네에서 쓰는 표현에 맞출랍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016 [일반] 고통을 즐기는 사람들 - [랜도너스] [14] 물맛이좋아요7386 22/02/11 7386 6
95015 [일반] [성경이야기]이스라엘 vs 가나안 북부 하솔 연합군 [7] BK_Zju10948 22/02/11 10948 28
95014 [일반] (스포주의) 코드 기어스 시청 소감문 [100] 원장9788 22/02/10 9788 6
95013 [일반] [직장생활] 사내 익명 게시판이 확대된 이유 [52] 라울리스타17621 22/02/10 17621 13
95011 [일반] 기억에 남는 베이스기타가 인상적인 곡들 BEST (락/메탈 소음주의) [35] 요한나13493 22/02/10 13493 5
95010 [일반] 관심사 연표를 공유합니다(문학, 영화, 철학, 음악, 미술, 건축 등) [20] Fig.16262 22/02/10 6262 22
95008 [일반] 무라카미 류의 '69'를 읽고 [31] 식별8949 22/02/09 8949 12
95007 [일반] 제가 결혼이란걸 할 수 있을까요? [85] 땡나14645 22/02/09 14645 54
95006 [일반] 왜 사회주의인가? - 아인슈타인 [27] 맥스웰방정식10876 22/02/09 10876 19
95005 [일반] 우리는 무엇을 위해서 2년간 견뎌왔는가? [250] 여왕의심복42343 22/02/09 42343 214
95004 [일반]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절약용 CFD 소개 [24] 맥스훼인9392 22/02/09 9392 9
95003 [일반] 글 잘 쓰는 사람 [28] 구텐베르크9744 22/02/09 9744 11
95002 [일반] 우타이테들도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군요 (덕질 이야기) [22] Regentag9575 22/02/09 9575 0
95001 [일반] [잡담] 과학상자 3호 [25] 언뜻 유재석7755 22/02/08 7755 31
95000 [일반] 유포터블 그는 신인가..(귀멸의칼날 2기 10화 감상기, 스포 약간?) [69] 대장햄토리9982 22/02/08 9982 9
94999 [일반] 넷플릭스 데이트 앱 사기: 당신을 노린다 (Tinder Swindler) [77] 멜로16859 22/02/08 16859 13
94998 [일반] 요즘 본 영화 감상 [7] 그때가언제라도6310 22/02/08 6310 0
94997 [일반] 1분기 애니 감상 [24] 그때가언제라도6913 22/02/08 6913 2
94996 [일반] 사기업의 직원 성비 균형에 대하여 [174] Gotetz17192 22/02/08 17192 27
94994 [일반] 노래방에 안 들어갔지만 들어갔으면 좋겠고 자주 듣는 노래 둘 [34] A111778 22/02/07 11778 1
94993 [일반] 잡설) 두 번의 베이징 올림픽 - 중국은 왜 퇴보한 걸까요 [156] 올해는다르다19157 22/02/07 19157 27
94992 [일반] 제 부모님이 평생을 노동해야 하는 이유 [64] 아라라기 코요미20609 22/02/07 20609 36
94991 [일반] 디즈니+)다큐 리뷰: 역시 네셔널지오그래픽이야 [9] 타카이9513 22/02/07 9513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