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1/04 12:54:43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잡상] 러시아 2월 혁명과 제1차 세계대전 (수정됨)

예전에 몰랐던 사실인데, 최근 1차세계대전 관련 서적을 여럿 읽다보니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되어 무척 재미있네요. 

다름이 아니라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이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국내여론에 의외로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것. 


제1차 세계대전은 본질적으로 "제국주의 전쟁"이었으나, 전쟁이 더욱 지속되고 참혹해지면서 

각국은 자국의 국민들에게 전쟁의 명분을 보다 극적으로 포장해야 했습니다. 

전쟁의 발발 이유는 기억에서 지워지고, 점점 새로운 이유로 전쟁을 계속해야만 하는 당위를 부여하려고 했던 것이죠. 

영국과 프랑스는 "독일/오스트리아/오스만제국의 전제주의"에 맞서는 "민주주의 동맹"이 승리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를 위해 민주주의 국가인 미국을 계속 끌어들이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참전 직전까지 계속 망설이고, 직접 개입하는 걸 극도로 꺼려했습니다.

그러나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과 짐머만 전보 사건으로, 거의 등떠밀려 참전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참전했음에도 전쟁에 대해 매우 시큰둥한 반응이었다고 하네요. 


그런데 러시아 2월 혁명 소식이 전해지고 러시아가 민주주의 국가가 되었다고 알려지자 

미국 지식인들은 환호했고 미국이 왜 전쟁에 전력을 다해야 하는지 선전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윌슨 대통령은 드디어 전쟁의 목적이 

"민주주의를 위해 안전한 세계(A world safe for democracy)"를 만들기 위함이라고 말할 수 있었습니다. 


다른 한편 독일에서도 독일 정부는 "야만적인 차르 정부"에 맞서 "계몽되고 자유로운 독일"이 조국을 방위해야 한다고

선전했었는데, 독일의 최대 정당이자 진보정당이었던 SPD는 이를 이유로 전쟁에 찬성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러시아가 민주화되자 SPD는 전쟁을 지속할 이유가 없다면서 서둘러 전쟁을 종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그리고 러시아의 노동자들이 전쟁을 무리하게 지속시키는 정부를 전복시켰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영국, 프랑스, 독일에서도 노동자 파업과 반란이 연쇄적으로 일어났는데, 

당대 뉴스 헤드라인을 실시간으로 살펴보았을 레닌 입장에서는

러시아 혁명이 전유럽의 혁명의 시발점이 될거라고 생각한 것도 무리는 아니었던 거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1/04 12:58
수정 아이콘
러시아 혁명 이후 장기적으로 전유럽에서 혁명적 변화가 일어나긴 했죠.
레닌이 생각하는 그런 혁명과는 거리가 멀겠지만, 아무튼 아주 거대한 변화들이 일어났습니다.
원더보이
19/01/04 13:25
수정 아이콘
러시아 내전에 대해 자세하게 다룬 책이 있나요?
관심이 있긴 한데
패스파인더
19/01/04 14:18
수정 아이콘
러시아 혁명 1891~1991 읽고있습니다
내전 직전부분까지만 읽은 상태인데, 개인적으로 만족스럽습니다.
원더보이
19/01/07 15:2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조말론
19/01/04 16:04
수정 아이콘
카이저라이히..
19/01/04 19:41
수정 아이콘
SPD의 협조적인 태도에 독일 공산당이 될 극좌파가 뛰쳐나갔듯이 분명 평화의 시대에는 노동자들이 한편이 되서 제국주의 전쟁을 총파업이나 전쟁예산 반대 등등으로 무산시키자고 선언해놓고서는, 프랑스 좌파고 독일 좌파고 세계대전이 막상 등장하니까 모범시민들이 되었지요...

레닌이 아무리 정치적인 꿍꿍이를 가지고 혁명 이후 전쟁지속반대를 외쳤던들, 그의 유지를 이은 트로츠키의 세계혁명론으로 이어지는 낭만적인 이미지가 괜히 생긴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941 [정치] 2019년 유시민을 이해하기 위한 세가지 방법 [398] 서양겨자19309 19/10/02 19309 0
82707 [정치] 언주야. 언니는!!(삭발에 대해서) [91] 유목민17076 19/09/12 17076 23
82285 [정치] 이용마 기자가 먼길을 떠났네요.. [37] 유목민9408 19/08/21 9408 6
81878 [정치] 오늘 한은에서 금리인하를 발표했습니다 (feat. bloomberg) [81] 13757 19/07/18 13757 25
81770 [일반] 오늘부터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87] 굿리치[alt]15582 19/07/11 15582 13
81642 [일반] 최근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이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문제 [70] 아유10926 19/06/30 10926 7
81587 [정치] 사상 첫 '우체국 파업' 초읽기…우정노조, 쟁의행위 가결 "7월 9일 돌입" [65] 及時雨10364 19/06/25 10364 7
81141 [일반] PGR에서의 경제 토론이 비아냥으로 끝나는 이유들. [222] kien18817 19/05/15 18817 124
81071 [일반] 버스파업 초읽기, 버스에 주52시간제 도입이 가능할까? [110] 아유15522 19/05/08 15522 8
81045 [일반] 인구감소는 과연 누구에게 재앙인가 [344] 캐터필러19202 19/05/05 19202 10
80572 [일반] 교통공학 이야기 - 7. 택시, 무엇이 문제인가 [60] 루트에리노10057 19/03/27 10057 52
80021 [일반] 서울대학교 난방파업에 대해서.. [547] 아유30356 19/02/09 30356 19
80012 [일반] 기사인가 소설인가 중앙일보 '명절파업 3대 독자' 이야기 [48] 치열하게13669 19/02/07 13669 40
79662 [일반] 오늘 국민은행 노조가 파업을 진행합니다. [70] 及時雨14537 19/01/08 14537 0
79650 [일반] 흡연20년차, 새해 금연기 [41] 피정7493 19/01/07 7493 6
79616 [일반] [잡상] 러시아 2월 혁명과 제1차 세계대전 [6] aurelius5917 19/01/04 5917 1
79414 [일반] 택시 파업 현장의 자유한국당 의원들... [105] 마르키아르15940 18/12/21 15940 7
78769 [일반] [뉴스 모음] No.209. 자유한국당과 지만원씨 사이의 치킨 게임 외 [16] The xian10965 18/11/05 10965 30
78765 [일반] 대기업 못갔다고 실패한 인생이란 소리 들으니 기분 쳐지는군요. [239] 음냐리25884 18/11/05 25884 8
78603 [일반] 올해 방송3사 연예대상 예상. [51] 매일푸쉬업10254 18/10/22 10254 2
78587 [일반] [뉴스 모음] No.203. 출구가 없는 심재철 의원의 망집 외 [39] The xian11725 18/10/20 11725 33
78133 [일반] 게임업계에 노동조합이 생기고 있습니다. [33] The xian9487 18/09/06 9487 22
77060 [일반] PC방 전원차단 실험 뉴스 그후 7년 [68] 즐겁게삽시다17067 18/05/23 17067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