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10/30 14:25:05
Name 이상용
Link #1 http://news.naver.com/main/read.nhn?oid=056&sid1=100&aid=0010087280&mid=shm&mode=LSD&nh=20141030132858
Subject [일반] "국방부, 군 의료인력도 에볼라 퇴치 파견 결정"
얼마전 정부의 우리나라 의료진 서 아프리카 파견 결정에 관해 피지알 자게에서도 많은 논란이 있었죠. 국방부에서는 군 의료인력을 에볼라 퇴치 파견을 보내겠다고 합니다.

"군 의료인력은 모두 지원자로 결정되며 한 차례 파견될 때마다 군의관 2명과 간호장교 3명 씩 모두 세 차례에 거쳐 교대로 파견될 예정입니다."

이전 피지알에서 논의는 크게 국민의 안전을 위해 파견하면 안된다 vs 국민의 안전을 위해 데이터 축적 및 노하우 습득 해야하기 때문에 파견해야 한다는 두 의견으로 나뉘었습니다. 그 댓글 토론 과정에서 의료진 파견에 찬성하시는 분들도 군의관 파견에는 반대하셨던 분들이 계셨죠.

여왕의심복님 글(https://ppt21.com/pb/pb.php?id=freedom&no=54353)과 레지엔님의 댓글에 따르면 "현장 전문가의 치밀한 준비에서 기반한 프로젝트"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선발될 군 의료진이 얼마나 전문성을 가지고 있을지 의문이 들긴 합니다. 2011년 동아일보 보도에 의하면(http://news.donga.com/Politics/3/00/20110514/37220837/1) 장기 복무 군의관은 전체의 4%정도라고 합니다. 2013년 군의관 숫자가 2000명이 좀 넘는다고 하니 거칠게 계산하면 장기복무 군의관은 100명이 안되는거죠. 단기복무 군의관을 보낼리는 없을테니까요.

국방부의 이번 결정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억지로 보내지는 사람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레지엔
14/10/30 14:27
수정 아이콘
아 국방부 이거 또 수작부리는 냄새 나는데-_-...
세계구조
14/10/30 14:28
수정 아이콘
민간에서 지원자가 별로 없나봐요.
허저비
14/10/30 15:42
수정 아이콘
민간 지원자 넘칩니다...그래서 굳이 군인력을 보내야 하는 이유를 모르겠어요
http://www.hani.co.kr/arti/society/health/662068.html
가만히 손을 잡으
14/10/30 14:29
수정 아이콘
만만한게 군인?
중대앞에 제설작업 집합. 아. 지원자들로.
지나가다...
14/10/30 14:30
수정 아이콘
이거 대통령이 말은 꺼냈는데 지원자가 없으니 강제 동원할 수 있는 군의관을 보내는 거 아닌가요..
레지엔
14/10/30 14:32
수정 아이콘
일단 지금까지 나온걸로는 군의관을 팀에 포함시키자라는거라서...
미움의제국
14/10/30 14:31
수정 아이콘
어째 불안한 예감은....
사악군
14/10/30 14:31
수정 아이콘
군의관을 보내서 뭘한다고.. 장기복무군의관이라면 좀 얘기가 다르긴 한데 왠지 그런 느낌이 들질 않네요.
시지프스
14/10/30 14:40
수정 아이콘
임상 능력은 장기보다 단기 대위 군의관이 더 나을겁니다.
장기 군의관은 행정일 한다고 치여서
사악군
14/10/30 16:13
수정 아이콘
단기군의관은 배워와도 나중에 나라에서 쓸수가 없잖아요..
시지프스
14/10/30 16:29
수정 아이콘
기사에서 지원받는 군의관은 임상 군의관입니다.
감염 내과나 내과 전문의 군의관을 실제로 지원 받고 있는데 이들 중 장기는 거의 없죠
코우사카 호노카
14/10/30 14:31
수정 아이콘
의무복무 중인 군의관 보내는건 아니겠죠?;
14/10/30 14:32
수정 아이콘
인력을 파견해도 예방의학과나 이런 관련된 분야 전문의들의 자발적인 지원을 받아서 파견해야 하는거 아닌가요...군의관이면..웬지 전공이 이쪽분야는 아닐꺼 같은 생각이 드는데요...
이상용
14/10/30 14:34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예방의학과가 아닌 다른 전문의가 가도 할 수 있는 것이 있겠지만, 그런 식으로 꼭 파견 할 필요가 있을까요? 그리고 군 의료진에 예방의학 전공한 사람이 몇이나 있을지는 참 모르겠습니다.
좋아요
14/10/30 14:32
수정 아이콘
별로 맞추고 싶지 않은 미래를 맞추게될거 같은 느낌인데 이거..
아이지스
14/10/30 14:33
수정 아이콘
보니깐 서로 가겠다고 난리던데요. 모집 인원을 늘려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이상용
14/10/30 14:35
수정 아이콘
아 그런가요?
원탑임팩트
14/10/30 14:33
수정 아이콘
이 전 글을 보지는 않았는데'국민의 안전을 위해 데이터 축적 및 노하우 습득 해야하기 때문에 파견해야 한다'라고 생각하시는분들은
실제로 저기에 파견간 의사나 간호사가 치료를 위한 데이터를 습득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하시는건가요?
이상용
14/10/30 14:35
수정 아이콘
여왕의 심복님 글 한번 봐주세요.
세계구조
14/10/30 14:35
수정 아이콘
글쓴이가 직접 가시겠다는 분이었던걸로 기억해서 그렇다고 봐야겠죠.
레지엔
14/10/30 14:35
수정 아이콘
할 수 있는 사람을 보내야 하는 거고 애초에 데이터 공조가 목적입니다. 거기에 국제적인 '도의'가 얽혀서 생긴 일이고요. 못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하시나보죠?
14/10/30 14:37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는데 여왕의 심복님 글을 보니 어느정도 이해는 됐습니다.

정부가 정책을 발표할때 좀 설명을 자세하게 해주면 좋겠어요. 이렇게 그 분야 관련 전문가가 친절히 설명해 주기전까진 일반인들은 좋은건지 나쁜건지 필요한지 불필요한 건지..이런걸 알수가 없으니깐요
damianhwang
14/10/30 14:35
수정 아이콘
국경없는의사회쪽도 그렇고 KOICA전문가파견도 비슷한거 같은데;
실제 현장이 필요로 하는 의사나 간호사들의 전문영역이랑, 지원하고자 하는 이들의 전문영역이랑 안 맞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것도 문제가 되지 않을려나 싶어요;
llAnotherll
14/10/30 14:36
수정 아이콘
http://www.huffingtonpost.kr/hyungchan-lim/story_b_6045782.html

저거 보낸다고 국내 대응수준이 올라갈진 모르겠지만, 기존 국내 대응책 미비부터 빨리 제대로 처리해줬으면 좋겠는데...
레지엔
14/10/30 14:39
수정 아이콘
일단 지금 가고 말고는 솔직히 한국의 선택이라고 보기도 어렵고(욕 먹고 고립 좀 당하고 데이터 제한받을 각오한다면 모를까), 가서 뭐 배우는거랑 국내 대응의 행정조직적인 접근은 아예 별개의 문제입니다.
llAnotherll
14/10/30 14:51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그래도 국내 대응이 미비한 상태에서 타의로 보낸다니 걱정이 앞서긴 합니다만...
참여 안하는 나라들은 없는지 모르겠네요. 한국만 억지로 가는건지..
llAnotherll
14/10/30 14:37
수정 아이콘
군에 대해서는 안좋은 이미지밖에 없는데 군의관이나 간호장교는 뭐 가기싫은데 가게 되는 그런건 없겠죠 최소한?
써니는순규순규해
14/10/30 14:50
수정 아이콘
우리 군을 보면 없을리가...라는 생각이 드네요...
원탑임팩트
14/10/30 14:59
수정 아이콘
지금의 의료지원은 모르겠는데 여태까지의 파병은 무조건 지원에 의해서만 선발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14/10/30 14:38
수정 아이콘
지원자가 적지는 않을겁니다. 기존 파병시절과 비교하면 일단 몇달 다녀올 때 원래 봉급 + 수당하면 꽤 받습니다 (평소의 두배이상). 추가로 보통 파병갔다오면 귀국후 '가고 싶은데로 보내준다' 가 더 크죠. 저기 남해 섬사이를 둥둥 떠다니는 해군 군의관은 당장 지원하고 싶을 겁니다. 문제는 솔직히 저기가서 도움이 될만한 인력이 있겠냐죠. 감염내과를 전공이라고 할 사람이 군에 다 합쳐도 10명이 안될텐데 그중에 지원자가 몇명이나 될지...
이상용
14/10/30 14:40
수정 아이콘
문제는 솔직히 저기가서 도움이 될만한 인력이 있겠냐죠. (2)
소독용 에탄올
14/10/30 14:53
수정 아이콘
감염내과 전공자면 지원해도 못보낼 듯 한데요 ㅡㅡ;
군내수요도 못따라가는 숫자일건데...
14/10/30 15:39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감염내과 수요가 아주 많지는 않습니다. 이게 대형 병원에도 내과 분과중에선 가장 작은 편이라.. (교수도 거의 1명). 감염관리실 및 행정적업무와 각종 컨설테이션이 주 업무입니다.
그리고 군대에 감염내과 전문의가 있는지는 좀 회의적이네요.. 단기 군의관은 그 자체가 분과 전문의가 아니고 그냥 전문의이고.. 대형병원 일부에서 고년차 전공의 부터 해당 섹션을 돌기는 하는데.. 감염내과라고 하긴 좀 낯간지럽고.. 앞으로 감염내과 쪽 전임의가 될 인력들이죠.. 서울대 같은경우에는 감염세부 전공 택한 내과 전문의 출신 공보의들은 CDC로 아예 미리 차출되기도 하고.. 그래서 아마 감염 택한 전문의가 있다면 지금쯤은 일선 병원에 쳐박혀 있다가 나름 배운거 써먹을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되면 지원할 지도 모르겠군..이란 생각은 듭니다. (지역 이동의 당근도 크고..) 제 짧은 예측으론 아마 국방부가 그냥 숟가락 얹는 모양새로 늦게 끼이는 것 같다에 한표입니다. 장기 군의관 중에서 감염내과 세부전공 출신이 있을 수도 있지만.. (아마 없거나 1-2명에 한표 입니다.) 전체 의대 교수 중에서도 1%도 안될꺼에요.
여왕의심복
14/10/30 17:40
수정 아이콘
군에도 감염내과가 있으세요. 업무수준을 보니 좀 더있으시면 좋겠지만, 내과에서도 그렇게 많으신 분과는 아니다보니
14/10/30 17:55
수정 아이콘
아 네 그렇군요.. 소령달고 오신 분들이 있으신가.. 제가 너무 군진을 얕봤나 봅니다. 여튼 어느 병원이나 감염 내과 의료진이 많지 않으니 사실 에볼라 파견대에 단장급은 빅4 교수나 김우주 교수님 정도가 맡으실 가능성이 높겠네요. 그 동안에 여기서 자리 지키실 다른 분들도 고생하시겠습니다.
여왕의심복
14/10/30 18:08
수정 아이콘
네 저도 국방퀘스트하러 오기전까진 군의학수준을 마냥 바닥으로 보고있었는데 일해보고 느낀 것은 구조적인 능력은 이미 충분히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단 비효율적 배치와 저같은 단기인력의 비율 등이 주요문제인거죠
소독용 에탄올
14/10/31 02:38
수정 아이콘
구조적인 능력이 충분하다고 보긴 어렵죠,
비효율적인 배치, 높은단기인력 비율 같은 부분이 '구조적'인 문제인데 ㅠㅠ
14/10/30 14:41
수정 아이콘
감염내과 전문의 중 한명과 이야기 해봤는데 상당히 고무적으로 이야기 하더군요. 파견 자체를.
관심이 있으신 분은 podcast 이걸 들으시면 좀 이해가 가실지도.. (뭐 저도 한 5분밖에 안들었습니다만..)
http://www.docdocdoc.co.kr/podcast/podcast.php?id=174157558

파견 관련 분위기는 38분 쯤에 나옵니다..
우리아들뭐하니
14/10/30 14:41
수정 아이콘
음. 의료진 파견에 지원자가 정원의 4배이상 신청해서 넘친다고 뉴스에서 그러더니 갑자기 왜 군의관을?..
유인나
14/10/30 15:04
수정 아이콘
정원자가 4배가 넘치는데 왜 굳이 군의관을 뽑는지는 모르겠지만 지원 군의관이라고 하면 물론 '강제'가 아닌 '지원' 을 통해서 뽑았겠지만, 참가하면 지원한 군의관 부대쪽 지휘관들에게 좋은 평점을 주겠지요 그러면 알아서 ... 군의관들에게 지휘관들이 조언을 하겠지요... 어떤 방식으로든 말이죠. 라는 안좋은 상상을 하게 되네요
스테비아
14/10/30 15:09
수정 아이콘
저번 글 이후로 이 부분은 전문가들에게 맡기고 (포기가 아니라 잘 할 거라 믿는겁니다) 저는 스트레스 안 받기로...흐흐
사성청아
14/10/30 15:26
수정 아이콘
만약 국내에서 에볼라환자가 발생해 극도의 혼란상태가 온다면
경찰만으로 치안을 감당하기 어려워지고 군대가 치안을 담당할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경우 군대 내에 전문가가 있다면 나쁠건 없다고 봅니다.

이런일의 경우 치료도 중요한 문제지만
치안과 방역도 중요한 문제고 이는 의사보다는 경찰이나 군인들이 어울리죠

의료계의 분위기가 나쁜게 아니라면 잘 할거라고 봅니다.
다만 투자좀 제대로 해주고 준비 좀 제대로 해갔으면 하는 바람은 있습니다.
나는 조석이다
14/10/30 15:33
수정 아이콘
예방의학을 전공하신 분들은 임상의가 아니기때문에 파견이 어렵지 않을까요? 예방의학과인 군의관도 전국에 손꼽을 수도 안될겁니다. 아마도 임상의인 내과 군의관에서 뽑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것 참 걱정이군요. 주변의 내과 군의관들이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
여왕의심복
14/10/30 17:36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저는 따지고 보면 군의료인력에 가깝고 단기인력인셈인데 이번 파견은 자원자로 뽑습니다. 군인력중 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은 많지도 않지만 적지도 않고, 보내는 인력수가 워낙 적어서 자원자도 경쟁가능성도 있고 그러네요.

퍄견의 핵심은 내과선생님들이실꺼 같고, 예방의학은 곁다리 정도랄까?
여왕의심복
14/10/30 17:38
수정 아이콘
또 덧붙이자면 이번 파견이 미군의료진에 지원을 하는 형태라 초반부터 국방부와 민간 둘다 파견 계획이 있었습니다. 민간인력이 모자라서 간다는건 좀 어불성설이지요. 들려오는 소식으로는 굉장한 전문가도 몇분 가실듯하고....
도바킨
14/10/30 17:49
수정 아이콘
예전 파병 비슷하게 국제 사회에서 뒤쳐질 수 없어서 불이익 당하기 싫어서 보내는게 아닐까 싶네요.
솔직히 그 인력들이 가서 핵심 의료 기술이나 정보를 입수한다고 볼 수도 없을거 같고 말이죠.

보내는건 어쩔 수 없다고 치면 선발에서부터 심혈을 기울이고
귀환했을시 대책이나 위험 발생시 대책이라도 잘 만들었으면 싶네요.
하얀마녀
14/10/30 20:26
수정 아이콘
하하하하핳하하하핳하핳
Josephine
14/10/30 22:08
수정 아이콘
단 한 명이라도 강제로 착출 되는게 아니기를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617 [일반] 또다른 정당방위 범위에 대한 논란. [182] 토니토니쵸파10355 14/10/31 10355 1
54616 [일반] <삼국지> 삼국시대 인물의 선조들 [9] 靑龍4054 14/10/31 4054 0
54615 [일반] (오피셜) 롯데 16대 새감독 이종운 선임 3년 8억원 [86] 애패는 엄마9668 14/10/31 9668 1
54614 [일반] <삼국지> 태사자 먹튀에 관한 썰. [41] 靑龍8935 14/10/31 8935 0
54613 [일반] S.E.S. 노래 10곡이요. [18] 3947 14/10/31 3947 1
54612 [일반] 광테크노마그네트라는 회사! 정말 대단한게 아닐까요 [33] 제스10302 14/10/31 10302 1
54611 [일반] 신해철 에게 보내는 반성문. [3] 月燈庵3628 14/10/31 3628 9
54610 [일반] 인터넷 동영상서비스 Youtube, 60fps 서비스 시작. [12] V.serum4221 14/10/31 4221 1
54609 [일반] 신해철 부인 "위 축소수술 동의도 설명도 없이 해..." [46] 삭제됨10621 14/10/31 10621 0
54608 [일반] 친구의 놀라운 마법? [27] 삭제됨6879 14/10/31 6879 0
54606 [일반] 애플 사 CEO 팀 쿡이 커밍아웃했습니다. [39] 동지9008 14/10/30 9008 6
54605 [일반] 긴급조치 위헌이어도 수사, 재판은 불법 아니다 [21] 당근매니아4843 14/10/30 4843 0
54604 [일반] [농구] 꼴지 KGC가 1위 오리온스를 잡다! [18] 빨간당근3397 14/10/30 3397 0
54603 [일반] 윤일병 사망사건 이 병장 징역 45년에.. 살인죄는 무죄라네요. [159] for(int Miracle)12764 14/10/30 12764 0
54602 [일반] 형님도 많이 늙으셨네...그래도 반갑소... [16] Neandertal15490 14/10/30 15490 1
54601 [일반] 영화배우 가이 피어스를 아십니까? [12] SwordMan.KT_T7043 14/10/30 7043 0
54600 [일반] 내가 영원히 기억할 신해철 노래 Best 20 [29] 리콜한방19437 14/10/30 19437 9
54599 [일반] 조선의 젖가슴 [53] Judas Pain110139 14/10/30 110139 151
54598 [일반] 제2롯데월드, 또다시 사고. [41] azurespace9239 14/10/30 9239 0
54597 [일반]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다... [25] 삭제됨6043 14/10/30 6043 1
54596 [일반] 총선 선거구의 인구편차가 줄어듭니다 [27] 솔로10년차4667 14/10/30 4667 0
54595 [일반] "국방부, 군 의료인력도 에볼라 퇴치 파견 결정" [48] 이상용13522 14/10/30 13522 0
54594 [일반] 공무원 연금과 국민연금이 비교되어야 하는가? [33] 난폭피쉬5398 14/10/30 5398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