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4/21 23:14:58
Name 자이체프
Subject [일반] 조선시대 대형 재난 사고 - 1

사라지지 않는 슬픔을 느끼면서 과연 이 시점에서 제가 할 일이 뭔가 떠올려봤습니다. 기억하는 것, 그리고 역사를 통해서 비슷한 사례들을 통해서 주의를 촉구하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조선시대에도 당연히 각종 재난 사고들이 있었습니다. 개중에는 잘 처리한 사례도 있었고, 시작부터 사후 조치까지 모두 엉터리로 점철된 경우도 많았습니다. 이번에 언급할 사례는 불행하게도 후자에 속합니다.


태종 14년인 서기 1414년 8월 4일, 초대형 해상 재난 사고가 조정에 전해졌다. 전라도에서 세금으로 거둔 곡식을 실은 조운선이 안행량, 즉 태안반도 앞바다를 통과하다가 침몰한 것이다. 육상교통이 발달하지 않았던 조선시대에는 세금으로 거둔 곡식들은 조창에 모아놨다가 배로 한양까지 운송했다. 문제는 연안을 따라오는 항로를 이용하다 보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에 암초와 급류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남해와 서해가 만나는 진도의 울돌목과 태안반도 앞바다가 대표적이다. 특히 안행량의 경우에는 침몰과 난파 사고가 잦았다. 하지만 이번 사고는 유례없는 초대형 재난이었다. 가라앉은 조운선이 66척에 달했고, 사망자는 2백명, 그리고 물에 빠진 곡식은 5천 8백석에 달했다. 한 두척이 아니고 66척이나 가라앉은 이유는 불명확한데 아마 한밤중에 무리하게 운행하다가 거센 바람때문에 암초에 부딪친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에도 야간 항해는 극히 위험한 쪽에 속한다.



​ 사망자들은 대부분 조운선을 운행하던 수군들이었다. 사고는 부주의와 무관심이 빚어낸 인재였다. 본래 7월은 바람이 심해서 배들이 운행을 회피하는 시기였다. 하지만 호조에서 7월 달에 출발시켜서 8월초까지는 한양에 도착하도록 무리하게 지시했고, 전라도 수군 도절제사는 7월 중에 조운선들을 출발시킨 것이다. 그렇다면 위험한 야간 항해를 시도한 이유도 명백해진다. 호조에 얘기한 8월 초라는 기한을 맞추기 위해 무리한 항해를 한 것이다. 현장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조운선의 운행을 책임진 실무자인 진무는 관기 두 명과 동행했다. 침몰 당시 관기 두 명 모두 물에 빠져 죽었다. 책임자는 위에서 내려온 지시를 별 생각 없이 이행했고, 실무자는 관기와 노닥거리느라 현장을 제대로 돌보지 않은 것이다. 상부에서 얘기한 기한을 맞추느라 바람이 강한 위험한 시기에 암초가 많은 지역을 한 밤중에 통과하다가 초대형 재난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어쩔 수 없던 측면보다는 좀 더 주의하고 조심했다면 충분히 피할 수 있던 사고인 셈이다.



보고를 받은 태종은 호조에서 그렇게 지시를 내렸다고 해도 수군도절제사가 아무 대책없이 위험한 시기에 조운선을 출발시킨 것을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태종은 수군도절제사를 즉시 파직하고 한양으로 올라오라고 지시했는데 역마를 타지 말고 올라오라고 지시했다. 공개적으로 강력한 처벌을 내리겠다고 천명한 것이다. 하지만 그런다고 죽은 수군들이 살아서 돌아오는 것은 아니었고, 유족들의 슬픔이 없어지는 것도 아니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mor fati
14/04/21 23:45
수정 아이콘
무리한 일정, 현장을 돌보지 않은 실무자 그리고 위험한 해역을 통과.. 이번 사건과 유사한 점이 많네요. 잘 읽었습니다.
자이체프
14/04/22 00:10
수정 아이콘
보면서 예나 지금이나 라는 얘기가 저절로 나오더군요. 다음번에는 좀 긍정적인 사례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Je ne sais quoi
14/04/21 23:52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역사는 언제나 반복되네요
자이체프
14/04/22 00:11
수정 아이콘
징그러울 정도죠? ㅜㅜ
14/04/22 02:10
수정 아이콘
배에서 관기와....
자이체프
14/04/22 23:30
수정 아이콘
손만 잡고 잤을 겁니다. 암요. ㅜㅜ
14/04/22 11:25
수정 아이콘
이렇게 해서 안면도가 섬이 된 것인가요? 듣기론 안면도는 원래 섬이 아니었는데 조선시대에 운하를 파서 섬이 되었다고 들었습니다.
자이체프
14/04/22 23:31
수정 아이콘
안면도가 섬이 된 건 먼 훗날의 일입니다. 운하 파는게 실패하자 대체방안으로 나온 것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1242 [일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데이빗 모예스 감독 공식해임 [150] V.serum10157 14/04/22 10157 0
51241 [일반] 우리시대에 문제 해결책이란.... [92] 요정 칼괴기5083 14/04/22 5083 3
51239 [일반] 안전한 대한민국을 바라며... [18] Fallon4048 14/04/22 4048 1
51238 [일반] 늦게 올리는 간담회 후기. [18] 켈로그김4471 14/04/22 4471 0
51237 [일반] 자신을 뺀 모두를 비난하는 박근혜의 천재적 정치감각 [160] 뜨와에므와11128 14/04/22 11128 30
51236 [일반] 네안데르탈들아...너희들 참 힘들었었구나...ㅠㅠ [16] Neandertal5991 14/04/22 5991 11
51235 [일반] 북한 4차 핵실험 징후 포착? [59] PYROS6584 14/04/22 6584 0
51234 [일반] “전용폰 샀는데 안 된다니”… SKT, 수도권·광역시 LTE-A 서비스 중지에 네티즌 ‘황당’ [26] 유리한7846 14/04/22 7846 1
51233 [일반] 대중음악 수난사 - 대중음악의 수익 분배에 관해 [7] 레지엔3759 14/04/22 3759 0
51231 [일반] 독일 한국대사관, Zeit 신문의 재독기자 정옥희 씨에게 압력넣어(펌) [580] Dj KOZE18391 14/04/22 18391 10
51230 [일반] 애드웨어, 이건 또 뭐야? 이 망할것이 내게 주는 씁쓸함 [28] V.serum7027 14/04/22 7027 6
51228 [일반] 아버지에 대하여 [5] HeroeS_No.523715 14/04/22 3715 0
51227 [일반] 뉴스타파 - 드러나는 진실...'수색도 배도 총체적 부실' [36] 어강됴리6779 14/04/22 6779 2
51226 [일반] 여러 가지 의미로 늦게 쓰는 간담회 '공감' 후기 [4] The xian4982 14/04/22 4982 10
51225 [일반] 역사의 IF 시나리오 - 달려라, 이성계! 머나먼 저 대륙으로! [33] 신불해15593 14/04/22 15593 32
51224 [일반] 권은희 의원, SNS에 실종자 선동꾼 글 올려 [47] 될대로되라7002 14/04/22 7002 0
51223 [일반] 각 언론사 시사주간지 표지사진 [97] Duvet7731 14/04/22 7731 3
51222 [일반] 나폴레옹, "나에게는 사람 100만명의 목숨 따윈 아무것도 아니다!" [11] 신불해10311 14/04/22 10311 4
51221 [일반] 오늘 JTBC 뉴스 오프닝, 손석희 앵커의 울컥, 그리고 리더의 중요성. [41] 삭제됨8369 14/04/21 8369 15
51220 [일반] 사고의 경험과 사회의 변화, 보수인가 진보인가 [15] 찬솔3086 14/04/21 3086 0
51219 [일반] 오늘 JTBC 뉴스9에서 세월호 전 항해사와의 전화연결에 나온 내용 요약입니다.(수정) [60] InSomNia8794 14/04/21 8794 3
51218 [일반] 조선시대 대형 재난 사고 - 1 [8] 자이체프5363 14/04/21 5363 1
51217 [일반] [해축] 모예스 경질설이 속속 보도되고 있습니다 [120] Vienna Calling7144 14/04/21 7144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