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3/03 14:11:42
Name 어강됴리
Subject [일반] 노암 촘스키의 47달러


시사인 주진우 기자가 미국의 대표적 진보지식인 MIT의 노암 촘스키 교수를 인터뷰 했습니다.
인터뷰 본문은 시사인 338호에 실린다는데 인터넷으로는 다음주에나 풀리려나.. 

'한국의 노동자들의 현실이 안타깝다며 인터뷰가 끝난후에 주진우 기자에게 47달러를 건네주었습니다. 








노란봉투의 시작은 이러했습니다. 

시사인의 이숙이 편집장에게 편지가 하나 날아왔습니다. 

 



4만7천원에 그저 눈물만 나왔다


쌍용차 노조가 회사에 47억원을 배상하라는 법원의 판결, 노동쟁의를 돈으로 배상하라는 판결에 대한 사회적 연대의 시작이었습니다.
회사의 손배 가압류로 월급, 퇴직금, 주택, 자동차가 모두 압류되는현실에서 노동자들의 가정은 붕괴되어 모진 목숨을 던지는 이들도 있었습니다.





시사인에 보낸 39세 세자녀를 둔 엄마의 편지로 시작된 이 운동은 아름다운재단이 모금에 나서고 
가수 이효리씨가 참여하면서 확산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가수 이효리입니다.


추위와 폭설로 마음까지 꽁꽁 얼 것 같은 요즘 다들 안녕하신지요.
제가 이렇게 펜을 든 이유는 <노란봉투 캠페인>에 동참하고 싶어서입니다.

지난 몇 년간 해고노동자들의 힘겨운 싸움을 지켜보며
마음속으로 잘 해결되길 바랄 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해 마음이 무거웠습니다.
제 뜻과 달리 이렇게 저렇게 해석되어 세간에 오르내리는것이 부담스럽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한 아이엄마의 편지가 저를 부끄럽게 만들었습니다.

아이의 학원비를 아껴 보낸 4만7천원,
해고 노동자들이 선고받은 손해배상 47억원의 10만분의 1,
이렇게 10만명이 모이면 그들과 그들의 가족을 살릴 수 있지 않겠냐는 그 편지가 
너무나 선하고 순수해서 눈물이 났습니다.

그 편지는 '너무나 큰 액수다', 또는 '내 일이 아니니까', '어떻게든 되겠지', 
모른 척 등 돌리던 제 어깨를 톡톡 두드리는 것 같았습니다.


너무나 적은 돈이라 부끄럽지만, 한 아이엄마의 4만7천원이 제게 불씨가 되었듯, 
제 4만7천원이 누군가의 어깨를 두드리길 바랍니다.

돈 때문에... 모두가 모른 척 하는 외로움에 삶을 포기하는 분들이 더 이상 없길 바랍니다.

힘 내십시오..


2014.2.14 효리









 이어서 민주당의 문재인 의원도 4만7천원 모금에 동참하고 전태일 열사의 동생이자 민주당 비례대표인 전순옥 의원도 어머니 이소선 여사의 몫까지 함께 냈습니다. 

 어느새 모금액은 1차 목표치인 4억 7천만원을 돌파했습니다. 이 모금액은 해고노동자들의 생계비와 의료비로 우선 쓰인다고 합니다.

이와 함께 사회 각계에서 노동쟁의 행위에 대한 손배가압류 문제를 바로잡자는 연대인 '손잡고'가 출범했습니다.









한국은 OECD 가입국중에 노동쟁의행위에 대해 손해배상 가압류를 청구하는 유일한 국가라고 합니다. 

노동관계 조정법에 관한 매우 엄격하고 좁은 잣대를 들이대는 통에 임금협상과 노동시간을 제외한 비정규직 처우문제, 정리해고, 회사의 인수나 이전, 인력배치등에  대한 어떤 목소리를 내어도 이는 불법파업으로 낙인찍히고 손해배상의 대상이 됩니다. 

 철도노조도 복귀한뒤 불법파업이라는 이유로 무더기 해고와 정직 처분을 받았습니다. 코레일은 이에 77억원의 손해배상과 116억원의 가압류를 신청한 상태입니다.

 

2014년 현재 전국의 노동조합에 걸린 손해배상을 합한 액수가 996억원에 달합니다. 


담아간 이미지 고유 주소

작년 12월 민주노총 진입 사태 당시의 모습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nic4685
14/03/03 14:18
수정 아이콘
환율계산해보면 4만 7천원 넘겠...
어강됴리
14/03/03 14:21
수정 아이콘
그렇다고 노암촘스키 교수가 43달러 88센트를 낼...
anic4685
14/03/03 14:27
수정 아이콘
그랬으면 나름 깨알재미가...(응!?)
14/03/03 15:34
수정 아이콘
그러다 하루이틀 새 원화 인상되면,
'노암 촘스키, 4만7천원에 못미치는 성금 보내.. 사실 상 모금운동에 반대한 것' 조선(중앙)TV..
라고 뜰지도..
영원한초보
14/03/03 14:26
수정 아이콘
이효리씨가 변화하는 모습을 지켜보면 나중에 저항음악 하실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14/03/03 14:47
수정 아이콘
정말로 안타까운 현실입니다..이 방법이 그저 미봉책임을 아는 것이 더 안타깝습니다.
내는 사람은 한정되어 있고, 그들의 수입도 한정되어 있고...해마다 노측에 부과되는 징벌액수는 더 커질거고..
결국 이 문제는 정치적으로 풀어야 할 거 같습니다. 그게 우리가 바른 정치를 갈망하는 이유기도 하고..
영원한초보
14/03/03 14:58
수정 아이콘
미봉책이라기 보다 이런 일이 정치에 대한 인식을 바꿔주고
표로 연결되고 정치가 변했으면 좋겠네요
14/03/03 15:01
수정 아이콘
네 정확히 그 부분을 말씀드린것입니다.
이런 모든 과정들이 표로 연결되고 정치가 변하길 진심으로 갈망합니다.

미봉책이라고 쓴 건...이 모금운동이 뜻깊지 않다거나 의미없는 일이라는 게 아니라...
노조에 대한 징벌적 손해 배상이 빈번히 그리고 엄청난 금액으로 부과되는 작금의 사태로 보아 .
이런 뜻깊은 모금 운동에도 불구하고 그 액수가 턱없이 적기에 결국 노조의 상황은 크게 바뀌지 않을 거 같다는 말씀입니다.
현실적으로 모든 사건에 매번 이렇게 큰 돈이 모금이 되는 것도 불가능 할 것이고..
설사 10%가 모인들 그 적은 돈으로 이 일이 해결될 수가 없겠지요..

결국 말쓸해 주신대로 징벌적 손해배상을 안당하게 하는 사회가 그리고 그것을 유도하는 정치가 필요하겠쬬..
당근매니아
14/03/03 15:46
수정 아이콘
성금으로 다 해결된다고 해도 그건 사용자가 당연히 감수해야할 비용을 일반 시민들이 분담하게 되는 꼴 밖에 되지 않으니까요. 며칠전에 관련해 글 쓰고 이 논의 보자니 느낌이 새롭네요.
Neandertal
14/03/03 14:57
수정 아이콘
제가 영국에 있을 때 제가 있던 대학에 노암 촘스키 교수가 강연하러 왔었는데 그만 사전에 알지 못하는 바람에 강연을 못 들은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저랑 같이 수업 받던 학생들 대부분이 강연이 있었다는 소식을 듣고 안타까움의 장탄식을 내뿜던 게 생각나네요...
절름발이이리
14/03/03 15:26
수정 아이콘
금액이 모두 모이긴 힘들겠지만.. 실제로 도움이 되면 좋겠군요.
펠릭스
14/03/03 15:46
수정 아이콘
드디어 피지알에 올라왔네요.

노조에 대한 중징계 및 '경쟁체제를 통한 공기업 선진화'를 당당히 정부측에서 외치는데 경악을 했었는데 그나마 이렇게 글을 올려주시니 감사합니다.
소독용 에탄올
14/03/03 16:54
수정 아이콘
사실 이전과의 차이라면 당당히 외칠정도로 뻔뻔해진 것 뿐인데.
관료조직에서 최상위층이 뻔뻔해지면 생길 수 있는 문제를 감안할때 참 ㅠㅠ
14/03/03 15:48
수정 아이콘
노동쟁의에 대해 손배소를 인정하는 저 가공할 야만부터 없애야 합니다.
정말 어처구니가 없죠.
이러고도 이 나라가 노동3권이 보장된 나라라고 할 수 있을지.
커피보다홍차
14/03/03 16:37
수정 아이콘
조금씩이지만 이런 활동이 분명 세상을 바꿀 거라 생각해요. 아니아니 인식의 변화라도 있길 바랍니다.
똘이아버지
14/03/03 17:18
수정 아이콘
촘스키는 언어학자이지 다른데 전문가가 아니라는 글이 생각나는군요.
이쥴레이
14/03/03 18:21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입니다.
콩먹는군락
14/03/04 10:22
수정 아이콘
이게 다 통진당의 병크가 낳은 결과죠 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0225 [일반] 이제 곧 월드컵 H조의 윤곽도 잡히겠네요... [86] Neandertal6284 14/03/04 6284 0
50224 [일반] 86회 아카데미 시상식 개인적인 총평 [42] 슈퍼잡초맨5857 14/03/04 5857 1
50223 [일반] 일본인에 대한 오해? 선입견들 - 1년간의 학교생활정리 [23] coolasice22345 14/03/04 22345 1
50222 [일반] 세상에 무너져도, 우리 가슴에 남은 노래는 잊지말게. [14] nickyo5844 14/03/04 5844 14
50221 [일반] 지식채널e - 더 잃어버리는 방법 [33] 김치찌개6135 14/03/03 6135 3
50220 [일반] 전 세계에서 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국가 Top10 [27] 김치찌개5878 14/03/03 5878 9
50219 [일반] 우리나라 사법부의 권위에 흠결이 가는 소식하나 [16] 곰주6153 14/03/03 6153 0
50218 [일반] [축구] K리그 클래식 2014시즌 유니폼(+ 1R 경기일정&TV중계-내용수정) [25] Manchester United4931 14/03/03 4931 3
50216 [일반] 진화와 관련된 재밌는 사이트를 하나 소개합니다. [9] 삭제됨4265 14/03/03 4265 0
50215 [일반] 안철수 드디어 방귀를 트다 [55] 마빠이9558 14/03/03 9558 1
50214 [일반] 응가 [29] 현실의 현실4521 14/03/03 4521 4
50213 [일반] 침팬지, 대화거부재판, 소통 [23] Marcuse4633 14/03/03 4633 10
50212 [일반] 세상에는 대단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22] 오리꽥7696 14/03/03 7696 19
50211 [일반] 3.3 혁명과 나. (게임과 무관한 내용) [39] 삭제됨3587 14/03/03 3587 0
50210 [일반] 여말선초 4대구라 [35] Duvet7388 14/03/03 7388 2
50209 [일반] 쓸모없는 소년의 호기심 [34] Manchester United5633 14/03/03 5633 5
50208 [일반] 중국 쿤밍시 철도역내 무차별 학살극 [97] V.serum8510 14/03/03 8510 0
50206 [일반] 염전노예 관련 단속 결과 370명 구제. [57] Leeka6887 14/03/03 6887 3
50205 [일반] 케인스 vs 하이에크 [33] yangjyess6720 14/03/03 6720 3
50204 [일반] [계층] 쿠로코의 농구 - 주인공과 기적의 세대가 결별한 모종의 사건 (스포) [14] Duvet6643 14/03/03 6643 1
50203 [일반] 위빠싸나 명상 [11] Acecracker4126 14/03/03 4126 11
50202 [일반] 2NE1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18] 효연광팬세우실4054 14/03/03 4054 0
50201 [일반] 노암 촘스키의 47달러 [18] 어강됴리6161 14/03/03 6161 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