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12/29 19:51:11
Name 신불해
Subject [일반] 강희제 아저씨에 대한 서양 예수회 선교사들의 반응


이번에 글은 제가 자주 칭송하는(....) 강희제에 대한 글입니다. 강희제의 업적이나 인간성을 칭찬하는 말을 제가 자주 올렸는데, 당연히 이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강희제는 황제고, 이는 중국 전역에서 가장 찬양 받는 존재입니다. 현대의 연예인, 국회의원, 대통령 급 되는 인물들도 관련된 곳에서 언급을 한다면 미화가 굉장히 들어갈 것이 뻔한데 중국 사서의 기록에서 중국 황제에 대해 칭송하는 것을 얼마나 믿을 수 있을 것인가?


한 가지 대안이 있긴 합니다.


청나라의 많은 황제들은 여타 예수회 선교사들을 궁중에 거느리고 있었기 때문에, 당연히 그러한 예수회 선교사들의 기록 역시 남아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들은 중국의 전통적인 사서에서는 보기 힘든 황제의 작은 일등에 대해서도 기록에 남겨 상당히 색다른 면모를 주고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기록 역시 프로파간다적인 목적이 전무한 기록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예수회 선교사들은 머나먼 전설속의 초강대국 중국의 신비스러운 현인 황제의 이미지를 이용해서 현 유럽의 군주들에 대한 비판 등을 하는 의도도 있었기에, 그런 목적 때문이라도 어느정도 과장은 있었을 수 있습니다. 다만, 그 정도를 따져보자면 있어 전통적인 중국의 역사서술에서 제국의 주인인 황제에 대한 기록보다는 프로파간다적 목적이 적었을 것입니다. 


강희제에 대한 예수회 선교사들의 시각은 꽤 볼만한데 게중에 몇몇만 한번 보면……


파일:Kangxi-Jagd.jpg









리파와 제르비용의 기록으로 사냥을 하는 강희제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데, 강희제가 직접 몇명의 수행원을 이끌고 풀 속에 숨어 매의 눈으로 사냥감을 노리는 부분 입니다.







평소에 사냥 덕후에 무예를 좋아하던 강희제가 수행원을 이끌고 정력적으로 미친듯이 움직이는 부분에 대한 부베의 기록 입니다. 부베는 황제가 말들이 지쳐서 나가 떨어질 정도로 사냥을 하는데, 그러면서도 사냥이 끝나면 전혀 쉬지 않고 모든 업무를 처리하였다고 묘사하고 있습니다.





파일:Kangxi7.jpeg







뒤알드는 이러한 강희제의 태도에 대해 "거대한 제국의 모든 일을 혼자서 모두 처리하는듯 하다." 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사냥에 나섰을때에 대한 제르비용의 기록인데, 제르비용은 중국의 지배자인 황제가 자신의 아들들을 거느리고 '직접 요리를 하며' 사슴의 간을 정리하고 자신들 선교사들에게 대접해주기도 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파일:Armoured Kangxi Emperor.jpg








조아심 부베는 강희제에 대한 외모를 묘사하면서, 강희제가 몸매가 좋고 키는 위너에 상당한 미남이라고 묘사를 하고 있습니다. 








베르비스트는 언젠가 강희제에게 어떤 새의 벨기에 말을 가르쳐 주었는데, 이후 강희제가 시간이 지난 후 그 새의 이름을 벨기에어로 무엇인지 물어보자 본래 그 사실을 알고 있던 베르비스트는 순간적으로 헷갈려 대답을 하지 못했는데, 강희제가 벨기에 말로 그 새의 이름을 알려주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유명한 수학자인 라이프니치는 강희제를 직접 만난 적은 없지만, 강희제를 만난 예수회 인물들로부터 얻은 정보를 통해 강희제가 놀라운 지식욕을 보이고, 특히 수학과 과학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파일:Portrait of the Kangxi Emperor in Court Dress.jpg



『……중국의 황제는, 혹자는 그가 무궁한 재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혹자는 그의 강토가 광할하고 부유하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가장 세력이 강한 군주라고 말해도 반대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비록 그렇지만, 그는 진정 자신의 몸에 모두 사치와는 거리가 먼 것을 사용했다. 그 개인과 관련된 부분에서 보면, 그의 말은 소박하고 담백함이 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이다. 이에 따라 공봉(供奉)되는 물품을 제외하고, 그는 조금도 사치스러움을 구하지 않았고 매우 일반적인 음식에 만족했으며, 조금도 정도를 지나친 적이 없다. 그의 담백함은 사람들이 상상할 수 있는 정도를 훨씬 넘어선다.

비록 황제가 거주하는 방이라 하더라도, 몇 폭의 서화와 몇 점의 금을 입힌 장식물 및 일부 소박한 주단(紬緞)이 있을 뿐이다. 주단은 중국에서 매우 보편적인 물품으로, 사치품에 속하지 않는다. 간단하고 소박함이 이 방의 거의 모든 장식물에 보인다. 강희제는 북경 근처 3리 떨어진 곳에, 그가 매우 좋아하는 원유(장춘원长春园)를 조성하고, 매년 이 안에서 상당한 시간을 보낸다. 이 안에는 그가 사람들에게 명령하여 개축한 두 곳의 대수지(大水池)와 몇 곳의 하도(河道) 말고는, 부유하고 또한 강성한 군주가 응당 가지고 있어야 할 호화스러운 기백에 어울리는 물품은 거의 볼 수 없다.

그의 의복은 궁정 안에서 매번 볼 수 있는 겨울을 나는 검은 담비 및 은서피(銀鼠皮) 옷을 제외하고, 일부는 중국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항상 볼 수 있지만 일반 백성은 입기 어려운 사주(絲綢) 복장이다. 비가 오는 날에 사람들은 그가 털로 짠 모작물로 만든 외투를 입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중국에서 흔한 거친 의복이다. 여름에 우리는 그가 보통의 마포단괘(麻布段掛 마포로 만든 홑 마고자)를 입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것도 역시 일반 가정에서 항상 입는 의복이다. 경축일 대전을 거행하는 날을 제외하고 우리가 그의 몸에서 볼 수 있는 화려한 물품은 큰 구슬이다. 이 구슬은 여름에 만주족의 풍습에 따라 그의 모자에 다는 것이다. 그는 황성 안팎에서 말을 타지 않을 때에는 가마를 이용한다. 이 가마는 담가(擔架)와 비슷한 물품이다. 나무 재질은 일반적인 것이고 옻칠을 했으며, 몇 군데 동편이나 도금으로 장식한 목조이다. 

총괄하자면, 그의 주변에 모든 것에 대해 사람들은 다른 아시아 군주처럼 사치가 극에 달하는 규모를 전혀 느낄 수 없다. 그는 개인을 위해 낭비하지 않고, 현명하게 절약함으로써 금전을 제국의 진정한 수요에 사용한다. 

군주의 위신과 진정한 위대함은 겉으로 드러나는 호화스러움은 적은 부분이고, 그 외 훨씬 많은 부분은 도덕의 찬란함에서 비롯됨을 강희 황제는 깊이 믿고 있다.』


(강희제 평전 中)


부베는 강희제가 세상에서 제일 부유한 존재 중에 하나이면서도, 놀라울 정도로 검소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파일:Portrait of the Kangxi Emperor in Informal Dress Holding a Brush.jpg




『비록 나이는 어렸지만 나라를 통치하고 정책을 결정함에 있어서 보여 준 모든 것들이, 마치 수십 년간의 통치 경험을 가진 노련한 황제와도 같았다.』

(수신제가 中)


부베는 제위 초기의 강희제가 나이가 아주 어림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노련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 페드리니는 강희제가 서양 음악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자신과 함께 피아노 앞에 마주 앉아 작곡을 하고 연주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예수회 선교사들의 기록이 오직 순전히 강희제를 칭송하기 위해서만은 물론 아닙니다. 이런 강희제의 철인과 같은 면모를 강조함으로써 예수회 선교사들은 유럽의 군주들에게 비판을 퍼붓거나 혹은 정반대로 찬양을 하는 용도로 쓴 면이 있습니다. 이를테면 부베의 경우 강희제가 유럽의 과학에 관심을 가지는것을 말한 뒤, 루이 14세에게 "이것은 프랑스의 과학력에 대한 반증" 이라는 식으로 말을 하거나, 저렇게 강력한 국가의 현명한 황제를 기독교에 관심을 가지게 한 것은 "교회의 보호자로서 루이 14세의 최대의 업적" 이라는 식으로 루이 14세를 높이는 용도로 강희제를 사용한 부분이 있습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일관적으로 강희제를 칭찬하고 있다는 부분은, 강희제가 실제로 그렇게 다재다능한 면모가 있었으니 그러한 용도로 사용했다고 보아도 괜찮을 듯 합니다. 







康熙帝의 淸 帝國 구상과 滿洲族의 정체성 : 예수회 선교사들의 기록을 중심으로 - 송미영
부베와 라이프니츠 - 안종수
강희제 평전 - 왕리쥔 
강희제 - 조너선 스펜스
수신제가 - 등예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알킬칼켈콜
13/12/29 19:59
수정 아이콘
짱짱맨...그 다음도 짱짱맨..근데 그 다음은..음
강가의 물안개
13/12/29 20:12
수정 아이콘
팔방미인 강희제 아저씨(?).
중국 황제의 팬이 될 줄이야!!

강희제의 여성 편력에 대해서도 한번 다뤄주시겠어요?
지금과는 다른 시대지만 저렇게 매력적이며 자신에 대해 엄격했던 사람이 여성관은 어떠했는지 알고 싶네요.

이곳이 여초 사이트니 다뤄도 괜찮을듯 합니다 만.
신불해
13/12/29 20:20
수정 아이콘
아들만 24명을 나았습니다...딸까지 포함하면 어마어마 합니다. 정력까지 극강이었습니다.

다만 순행 중에 미인을 권유 받은 적이 있었는데 그럴 경우에는 권유를 차단했습니다. '자손을 많이 만드는 황제로서의 업무' 에는 충실하고 황실 밖에서 여색을 탐하거나 한건 없습니다.
jjohny=쿠마
13/12/29 20:22
수정 아이콘
하아... 역시 괴물같은 아저씨... 자제력까지...
강가의 물안개
13/12/29 20:27
수정 아이콘
영웅본색?????!!!!!!!
도대체 저걸 언제 다하고 사셨을까요?
어나더 레벨이로다.
13/12/29 20:49
수정 아이콘
역시 올타임레전드..
be manner player
13/12/29 20:51
수정 아이콘
가장 완벽한 통치자에 가깝네요 덜덜;
글 잘 읽었습니다
찬공기
13/12/29 21:03
수정 아이콘
외쳐! 강EE제!!
정 주지 마!
13/12/29 22:19
수정 아이콘
글 내용과는 관계없지만,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강희제가 어린시절 황제가 된 초기, 4명의 장군이 권력을 나눠서 횡포를 부렸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럴경우 보통 그들의 힘이 너무 커서 나중에 황제가 그들을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것 같은데요..

이들을 어떻게 제거 했는지 그 과정이 궁금합니다.
13/12/30 01:37
수정 아이콘
예전에 글쓴분이 연재하신 것중에 나옵니다
맹독은 내핏속을 구르고
13/12/30 11:47
수정 아이콘
위소보가 제거했어요. 농담입니다

그 대목은 아주 흥미로와서 김용이 녹정기에서 주인공 위소보와 강희제가 힘을 합쳐 잡는 장면을 넣게 됩니다.
노름꾼
13/12/29 22:37
수정 아이콘
보통 시대가 근대에 가까워 질수록 아무리 황제라고 해도 약점이나 안좋은 점에 대해 기록이 남게 마련인데 어째 이분은...
13/12/30 04:46
수정 아이콘
세종만 해도 억지로라도 여기저기 파니까 고기덕후로 건강을 망치는 정도의 단점은 존재하는데 대체 이 아저씨는.... -_-;
13/12/30 08:38
수정 아이콘
진짜 현대인이 넘어가도 저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은 손에 꼽을듯요... 근데 그 시절에 저렇게 했으니 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601 [일반]  떠오르는 태양과 저물어가는 달, 명조와 북원의 대격전 [11] 신불해9851 14/09/03 9851 13
53239 [일반] 이성계가 호바투를 무찌르고 동북면을 구원해내다 [8] 신불해8199 14/08/16 8199 11
53104 [일반] '역사' 라는 주제를 다루며 함부로 말하지 말아야 한다고 느꼈던 순간 [39] 신불해9431 14/08/07 9431 32
51849 [일반] 역사에 길이 남을 농구협회와 농구연맹의 무능 [31] 신불해8690 14/05/20 8690 4
51657 [일반] 국내 역사상 희대의 졸렬 군주, 고려의 충렬왕 [17] 신불해13959 14/05/10 13959 27
51225 [일반] 역사의 IF 시나리오 - 달려라, 이성계! 머나먼 저 대륙으로! [33] 신불해14824 14/04/22 14824 32
51222 [일반] 나폴레옹, "나에게는 사람 100만명의 목숨 따윈 아무것도 아니다!" [11] 신불해9869 14/04/22 9869 4
51054 [일반] 쿨가이 이성계, 밭 갈던 사람을 친병대 사령관으로 삼다. [31] 신불해8335 14/04/15 8335 7
50964 [일반] 진격의 이성계 [30] 신불해10290 14/04/09 10290 10
50900 [일반] 정도전 - 늙은 호랑이와 젊은 용의 대결 [39] 신불해9425 14/04/05 9425 10
50868 [일반] 장수 대 장수의 회담이 대규모 전투로 돌변한 이성계 vs 나하추 [12] 신불해7450 14/04/04 7450 7
50824 [일반] 고려 말 2차 요동 정벌 이전에 실제로 요동을 친 제 3의 사례 [13] 신불해10142 14/04/01 10142 5
50776 [일반] 19세기 초 어느 한 인물의 여성 인권에 대한 관점 [10] 신불해6417 14/03/31 6417 2
50758 [일반] 이번 주 정도전 클래스.JPG [29] 신불해12028 14/03/29 12028 7
50752 [일반] 조선시대 판 언더 커버 보스 [13] 신불해10302 14/03/29 10302 4
50668 [일반] 아주 간략하게 살펴보는 위화도 회군 [59] 신불해10329 14/03/25 10329 8
50609 [일반] 고려 말 왜구와의 전쟁사 역사상 최악의 졸전들 [14] 신불해9167 14/03/22 9167 8
50604 [일반] 패망 직전에서 기적적으로 승리한 왜구와의 일전, 해풍 전투 [10] 신불해7575 14/03/21 7575 16
50380 [일반] 위화도 회군 당시 고려 조정이 컨트롤 할 수 있는 병력은 어느정도 였을까? [36] 신불해11918 14/03/10 11918 11
48976 [일반] 고려, 30년에 걸친 왜구의 사슬을 끊어내다 - 이성계의 황산대첩 [14] 신불해8171 13/12/29 8171 4
48971 [일반] 강희제 아저씨에 대한 서양 예수회 선교사들의 반응 [14] 신불해7732 13/12/29 7732 6
48968 [일반] 대동법으로 생각해보는 대중적인 역사 인식의 문제 [32] 신불해7205 13/12/29 7205 20
48318 [일반] 감히 황상의 총기를 어지럽히려 들다니, 무엄하도다! [19] 신불해9261 13/12/08 9261 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