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12/17 14:21:45
Name 김치찌개
Subject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테러가 발생하는 국가 Top10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테러가 발생하는 국가 Top10..

호주 경제 평화 연구소 (Institute for Economics and Peace)의

세계 테러리즘 지수에 따른 세계에서 가장 많은 테러리즘이 발생하는 상위 10개국입니다

매년 경제 평화 연구소에서 발표하는 세계 테러리즘 지수는

테러 발생건수, 사망자, 부상자, 재산피해 등을 산출하여 작성됩니다

2011년 세계 테러리즘 지수가 가장 최근 자료이며, 2012년 지수는 아직 산출되지 않았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이종격투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영원한초보
13/12/17 15:09
수정 아이콘
예멘이나 아프카니스탄 사진보면
여긴 미군이 들어가도 반반 싸움 날것 같네요
중국이 쪽수로 밀어야 할듯;
이보나
13/12/17 16:15
수정 아이콘
2011년이면 좀 옛날 자료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617 [일반] 정부나 언론, 기업... 참 글로벌하게 꼼꼼하군요... [46] 뜨와에므와6082 13/12/17 6082 0
48616 [일반] 중고등생 수업 중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대응책이 나왔네요. [144] 로마네콩티10564 13/12/17 10564 0
48615 [일반] 가투소, 불법 도박 혐의... [37] 요정 칼괴기5518 13/12/17 5518 0
48614 [일반] 생일 선물 뭐 받고 싶니? [6] 지금뭐하고있니3463 13/12/17 3463 12
48613 [일반] KBS 수신료 PC/태블릿이나 스마트폰도 내라! [41] 똘이아버지4607 13/12/17 4607 1
48612 [일반] 연세대학교 인문·사회과학 동아리 목하회 대자보 [41] 삭제됨6372 13/12/17 6372 28
48611 [일반] [야구] 그저 아쉬운 이름 세글자, 조성민 [15] 민머리요정7817 13/12/17 7817 11
48610 [일반] 기아 타이거즈 2013 타격 결산과 내년 전망 [26] 凡人5072 13/12/17 5072 16
48609 [일반] [야구] 넥센. 김병현과 연봉 2억에 협상 완료. [33] Leeka6686 13/12/17 6686 0
48608 [일반] 청춘들을 위한 토닥토닥 글귀와 노래 [2] 김치찌개3766 13/12/17 3766 0
48607 [일반] [지니어스] 제가 생각한 왕게임의 필승법(규칙수정) [18] 순욱5467 13/12/17 5467 1
48606 [일반] 피지알하면 모다? [50] 연필깎이6039 13/12/17 6039 75
48605 [일반] 지하철에서의 노약자석 앉는 문제에 관해서 [210] 타이밍승부10644 13/12/17 10644 1
48604 [일반] 미국의 젊은 직장인들이 가장 행복하게 근무하는 기업 Top10 [4] 김치찌개3723 13/12/17 3723 0
48603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테러가 발생하는 국가 Top10 [2] 김치찌개3073 13/12/17 3073 0
48602 [일반] 오로지 한 아이를 위해 고담시티가되어준 샌프란시스코.jpg [6] 김치찌개4545 13/12/17 4545 2
48601 [일반] 개인적인 2013년 정산 [3] Cavatina3646 13/12/17 3646 6
48599 [일반] 휴대폰 싸게 사기 가이드 1. 용어 설명 + 왜 그들은 무료라고 하는가? [57] 계피11115 13/12/17 11115 34
48598 [일반] 귀 닫은 박근혜…"종국에 가서는 평가받을 것" [137] 당근매니아9813 13/12/17 9813 3
48596 [일반] [K리그] 부천은 답이 없는 구단같습니다(?) [11] 삭제됨3332 13/12/17 3332 0
48595 [일반] 가격이 폭등할 가능성이 있는 민영화는 반대, 그렇다면 합리적인 공공요금 상승을 공론화할 시기(제목수정) [112] 삭제됨6314 13/12/17 6314 0
48594 [일반] 잠이 안와서 써보는 휴대폰 구매기 [4] 장인어른5126 13/12/17 5126 0
48592 [일반] 한국과 비교하는 미국의 현재 체감 물가사정-대중교통 (2013년 12월 16일 현재) [44] 곰주5783 13/12/17 578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