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5/27 11:09:05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195.9 KB), Download : 56
Subject [일반]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나라 10개국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나라 10개국 이네요

1위는 덴마크..

저는 개인적으로 스위스를 가보고 싶네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엽혹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함정카드
11/05/27 11:11
수정 아이콘
학교에서 배울때는 행복지수 1위국가가 방글라데시였던거같은데 몇년사이에 많이 바뀐건가요?
다리기
11/05/27 11:12
수정 아이콘
한국은 실업률이 몇 퍼센트 일까요?
Zakk WyldE
11/05/27 11:16
수정 아이콘
이민자와 유색인종에겐 제일 살기 어려운 나라들이죠.
노르웨이는 물고기 잡는거 외엔 아무것도 없었는데.. 역시 석유가 좋아요...
영원한초보
11/05/27 11:21
수정 아이콘
저는 아일랜드에서 사진에 보이는 백마가 되고 싶네요................
11/05/27 11:26
수정 아이콘
캐나다 추운것만 빼면...좋은 나라죠..

그래도 북유럽쪽은 꼭 가보고 싶네요
바르샤 홧팅!
11/05/27 11:26
수정 아이콘
뉴질랜드, 캐나다를 제외하고는 모두 북유럽이군요. 정말 부럽네요. [m]
11/05/27 11:34
수정 아이콘
행복지수라는건 일종의 허상에 가깝습니다. 북유럽이 행복하니 어쩌니 하지만,
사실 진짜 행복지수로 따지면 방글라데시가 빠질 수 없죠. 왜냐하면 지금은 개판오분전이더라도 내세에 잘 태어날거라 믿으니까요. 아들이 굶어죽어도 신의 축복속에서 내세에 인간으로 태어날거라 위안을 얻고 축복받는 감정속에서 행복지수를
국가별로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종교와 경제, 정치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심리적 상황의 행복지수는 그야말로 가십일 뿐입니다.
- 써놓고 보니, 댓글이 많이 달릴지도 모르겠군요. 하고싶은 말은, 차라리 실업률-GDP 등을 객관적 수치로 비교하는게 타국을 부러워하는게(!) 차라리 나을것 같다는 이야기 입니다.
개의 뿔
11/05/27 11:37
수정 아이콘
이런 통계가 순위를 매길 수 있을 정도로 믿을만한건지..아직도 행복이라는 단어가 뭘 뜻하는지 애매한 저로서는 ..
쉐아르
11/05/27 11:45
수정 아이콘
긍정심리학이나 행복학에 관심이 가서 몇권 읽어봤는데 학문적으로 행복을 '주관적 안도감'으로 보더군요. 방글라데시가 1위를 할 수 있었던 것은 행복이라는게 말 그대로 주관적이기 때문입니다. 행복지수에 관해서 여러 기관에서 조사를 하던데 방글라데시가 1위를 한 것은 그 중 일부일 뿐이죠.

방글라데시가 행복지수가 높게 평가된다해서 우리가 그 나라 국민을 모델삼아 행복을 추구하기는 어렵습니다. 최근 출간된 긍정의 배신에서도 느꼈지만 극단적인 내면의 교정이 반드시 행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요.

최근에 출간된 웰빙파인더에서 비슷한 생각을 볼 수 있었는데, 제가 생각하는 행복의 열쇠는 삶의 중심을 차지하는 몇가지 영역들 -이를테면 건강, 직업, 관계, 경제, 기여 - 등에서 균형을 맞춰가며 행복지수를 높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부자들을 보면서 많은 돈을 가져야겠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경제적 웰빙이란 절대적인 액수에서 나오는 안정감이 아니라 수입과 지출의 관계가 불안감을 주지 않는 안정감에서 온다고 보거든요. 많이 벌어도 불확실하게 돈이 많이 빠져나가는 사람은 심리적으로 봤을때 경제적 웰빙을 누리고 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행복을 단순히 순간적인 감정상태라고 보지 않습니다. 우리는 성취나 어떤 사건에서 높은 즐거움을 누리기도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서 무덤덤해집니다. '적응'을 하기 때문이죠. 이 적응이라는 것 덕분에 우리는 부정적 감정에서 회복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긍정적 감정을 계속 누릴수도 없습니다. 그래서 순간적인 감정을 인위적이고 극단적인 방법으로 추구하는 것은 바보같은 일이죠.

행복은 고차원적인 인지상태로서, 개인의 입장에서 행복지수를 장기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자신이 인지하고 있는 자신만의 세계를 만족스럽게 바꿔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반드시 남이 봤을 때 번듯해야 할 필요는 없겠죠. 만족을 하는 방법에는 성취를 늘릴수도 있지만 욕심을 줄일 수도 있기 때문에...
마늘향기
11/05/27 11:49
수정 아이콘
'현재 삶에 대한 만족도'가 순위의 기준이네요.
이 기준이면 가난한 나라는 낄 수가 없죠.
에휴존슨이무슨죄
11/05/27 11:49
수정 아이콘
하나 궁금한게 있는데...흔히 유럽하면 떠올리는 프랑스 영국 이태리 독일같은 선진국들은 과거 식민지를 통해서 부를 축적한 나라들에 포함되는데, 북유럽도 그런가요?

동유럽이야 과거 소련제국이었을때면 크게 다르지 않을것 같은데 북유럽은 잘 모르겠어서요.
곱창전골
11/05/27 12:00
수정 아이콘
아일랜드는 금융위기까지 겪고 있는 상황이라고 들었는데, 국민들은 행복한가보네요~
Je ne sais quoi
11/05/27 12:14
수정 아이콘
관심있으신 분들은 http://www.oecdbetterlifeindex.org/에서도 재미있는(?) 통계를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대해 간단히 요약드리면 전반적으로 상위권에 위치해 있고 특히 교육 -_-;;; 과 안전도가 많이 높습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는 36%의 한국인들이 삶에 만족한다고 대답해 평균보다 많이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네요.
실루엣게임
11/05/27 12:21
수정 아이콘
저 글에 제시된 4가지 항목, 그러니까 현재 삶에 대한 만족도 / 미래의 삶에 대한 긍정적 기대 / GDP / 실업률..을 기준으로 보면
당연히 방글라데시와 같이 가난하지만 자신들이 행복하다고 믿는 나라들은 낄 수 없겠죠. 저는 방글라데시같은 나라가 행복지수 1위니까 저런 삶의 자세를 배워야 해! 라는 논조에 대해서 매우 부정적입니다만.. 여기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실 거라고 생각하네요.

그건 그렇고, 혹시 "다른 나라 사람들이 생각하는 살기 좋은 나라" 에 관련된 통계가 궁금한데, 이런 자료는 잘 안나오더군요(..) 혹시 찾을 수 있을까요?
최코치
11/05/27 13:04
수정 아이콘
저도 스위스...
왜냐면 제 여친이 스위스 사람이었거든요.
자기 나라로 돌아가는 바람에 지금은 그냥 페북 친구지만 말이죠.
생일 때도 페북으로 축하 편지 보내주더군요.
루크레티아
11/05/27 13:13
수정 아이콘
최소한 나가수 듣기 전의 주말과 일요일은 세계에서 가장 행복합니다.
물론 끝나면 현실은 시궁창...일주일이 안 가요...;;
마이너리티
11/05/27 13:26
수정 아이콘
대부분이 발트해 연안국이군요..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수와 풍부한 천연자원으로 부를 위한 경쟁이 비교적 적은게 원인이지 않나 싶네요..
캐나다나 뉴질랜드도 그런거 같구요.

중동국들도 종교문제만 아니었던들 행복한 국가가 될 수도 있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11/05/27 13:26
수정 아이콘
본문과 맞지않은 덧글이지만 김치찌개님 유게에선 퇴직(?)하신건가요?? 찌개타임은 제인생의 행복지수를 어느정도 올려줬었는데요.. [m]
어떤날
11/05/27 15:53
수정 아이콘
유럽느님의 위엄.jpg
11/05/27 20:54
수정 아이콘
아마 우리나라 사람들을 저기 저 위의 나라에 가져다 놔도
저정도 만족도 안나올걸요..
애초에 우리나라와 민족성들이 달라요.

그게 민족성인지 아님 미국의 영향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물질적, 성공에 대한 욕망 자체가 차이가 큰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각하는 '행복'과 그들의 '행복'이 달라요.
the hive
11/05/27 21:04
수정 아이콘
스위스 자살률이 스웨덴 다음으로 알고있었는데... 아닌가?
그리고 우리도 UN아시아지부라도 수도권으로 유치하면 아시아 5위권 안에는 들듯
그리고 아일랜드는 IMF직전 아님?
무한낙천
11/05/27 22:25
수정 아이콘
현실만족과 미래기대..
우리나라 서민들은 낮을 수밖에 없네요
현실은 돈이 간당간당.. 미래는 불투명..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421 [일반] [제목 수정 요청] [174] 마재곰매니아7131 11/05/29 7131 0
29420 [일반] 박지성! 이제는 스타일 변화를 모색할 때가 아닐까요? [37] 왕은아발론섬에..6792 11/05/29 6792 0
29419 [일반] [불판] MBC 일밤 <나는 가수다> S2 : 2-1차 경연 - #2 [623] 케빈제이10441 11/05/29 10441 0
29418 [일반] [불판] MBC 일밤 <나는 가수다> S2 : 2-1차 경연 - #1 [320] 케빈제이6930 11/05/29 6930 0
29417 [일반] [프로 야구] 2011년 5월 29일 일요일 불판입니다.. [434] k`3342 11/05/29 3342 0
29416 [일반] 히딩크, 첼시 복귀 가능성 인정..."제안 오면 고려" [18] TAMBANG5968 11/05/29 5968 0
29415 [일반] 한가한 일요일에 끼적이는 이야기 [27] 여자동대장5225 11/05/29 5225 0
29414 [일반] [Pgr1, 카오스] 오늘 제3차 베로니카배 PCL 결승이 있습니다. [15] 리버풀 Tigers3314 11/05/29 3314 0
29413 [일반] 바르셀로나의 우승을 축하합니다. [169] Neo8993 11/05/29 8993 0
29412 [일반] 2010/11 챔피언스리그 결승 맨유 vs 바르샤 불판#4 [261] Ben4660 11/05/29 4660 0
29410 [일반] 2010/11 챔피언스리그 결승 맨유 vs 바르샤 불판#3 [533] Ben3859 11/05/29 3859 0
29408 [일반] 2010/11 챔피언스리그 결승 맨유 vs 바르샤 불판#2 [332] Ben4337 11/05/29 4337 1
29407 [일반]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 전반전 시작합니다!!!!! [567] 정용현4993 11/05/29 4993 0
29406 [일반] 2011년 어느 늦은 밤 - 그냥 만남 - [3] fd테란3903 11/05/29 3903 0
29404 [일반]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불판 - 시작합시다. 박지성 선발!!!! [299] 정용현6249 11/05/29 6249 0
29402 [일반] 공기업 면접후기 (부제 바퀴벌레 vs 복숭아) [24] Eva01022487 11/05/29 22487 0
29401 [일반] 시대를 앞서간 기발한 발명품들 [6] 김치찌개6684 11/05/29 6684 0
29400 [일반] [펌] 김진숙, 그녀는 여전히 85호 크레인 위에 있다.-2- [9] nickyo4582 11/05/28 4582 4
29399 [일반] [펌] 김진숙, 그녀는 여전히 85호 크레인 위에 있다.-1- nickyo4690 11/05/28 4690 3
29398 [일반] 왜란이 끝나고 - 왜란종결자 [26] 눈시BB10701 11/05/28 10701 6
29397 [일반] 니가 매일 다니던 골목 그곳만 그대로 있어주면 돼 [4] 뜨거운눈물4978 11/05/28 4978 0
29396 [일반] 야구장에 처음 가봤습니다. [9] Heavy_Gear4704 11/05/28 4704 1
29395 [일반] 우울증을 알아봐 주세요 [41] 드론찌개6609 11/05/28 6609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