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9/08/16 10:18:45
Name ImSoFly
Subject [일반] 신종플루 국내 2번째 사망자 발생.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287177&iid=147609&oid=001&aid=0002814813&ptype=011
이제 더 이상 한국도 안심할 상황이 아니군요...

무섭습니다 -_-;;

동생이 어제부터 감기 기운이 있어서

불안한 나머지 일단 제가 먹던 항생제를 먹이고 (이건 무슨 생각이였는지...)
새벽에 달려가 쌍화탕을 사오는 설레발까지 쳤네요...

A형 간염으로 공포에 빠졌던게 얼마 지나지 않았는데...
여의도 다니기 또 걱정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민죽이
09/08/16 10:25
수정 아이콘
전 지방이라... 그나마 안심하고 있는데
그래도 조심해야겠죠ㅜㅜ
무서운세상
Kristiano Honaldo
09/08/16 10:27
수정 아이콘
신종플루 사망 관련 기사를 읽다보니

의료체계에 구멍이 뚫렸다느니 하는 기사가 있어서 그렇는데

좀 냉정하게 얘기해서 2천명 가까이 걸려서 2명 사망이면 선방아닌가여?
와이숑
09/08/16 10:29
수정 아이콘
Kristiano Honaldo님// 문제는 지금부터죠.
09/08/16 10:34
수정 아이콘
Kristiano Honaldo님// 병의 위험성을 떠나서, 천명에 한명꼴로 죽으면 엄청 많이 죽는거 아닌가요,,??
Kristiano Honaldo
09/08/16 10:38
수정 아이콘
아르헨티나는 2천 5백명정도가 걸려서 60명이 죽었다고 알고있는데;
09/08/16 10:40
수정 아이콘
Kristiano Honaldo님// 그쪽은 남반구라 계절때문에 사망자가 많아졌고, 북반구도 이제 위험해진다는 기사를 본 것 같네요.
그동안은 그래도 사망자는 없어서 안심이었는데 걱정이네요.
09/08/16 10:43
수정 아이콘
미일 조사에 따르면 신종플루의 치사율은 일반 독감의 2배수준이랍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폐 심부로의 침투율이 독감보다 현저히 높고 폐 내부에서의 번식력도 다섯배가량 된답니다.

그래서 실제로 대부분 사망자들이 폐렴을 비롯한 합병증으로 안타깝게도 목숨을 잃었고 말이지요.

8월 말에 좀 늦은 휴가로 애인이랑 필리핀가려다가 그냥 국내 여행으로 바꿨습니다.

부디 모두들 건강하시길...
09/08/16 10:49
수정 아이콘
짱구님// 잘 결정하셨습니다. 아무리 봐도 그 쪽 여행은 정말 위험해 보입니다.
술로예찬
09/08/16 11:02
수정 아이콘
아무리 봐도 해외여행은 좀 무리수 입니다. 언제 어디서 누가 걸릴지도 모르는 상황이라 마지막 여행이 될 수도 있는데
굳이 무리할 필요는 없는거겠죠. 저도 6월에 중국 갔다오면서 상당히 조마조마 했었고 추석 때는 일본이나 갈까 했다가
아예 맘 접었습니다. 지금 의료용 마스크나 글러브 등은 일본에서 싹쓸어가고 있습니다.
Lionel Messi
09/08/16 11:09
수정 아이콘
그런데 제가 궁금한건 해외에 나가는 게 우리나라에 있는거보다 더 위험한 이유가 뭔지 입니다.
전 6월에 유럽여행 다녀오면서도 신종플루를 피해 도망왔다는 분들도 만났고-_-;; 이제 우리나라도 신종플루의 안전지대는 아닐텐데요.
최종병기캐리
09/08/16 11:39
수정 아이콘
푸켓갔다온 후 3일뒤 날라온 문자...

"귀하가 탑승하신 항공편에서 신종플루 감염자가 발생하였으니, 고열 등 이상징후 발견시 보건당국으로 연락바랍니다."
(대충 이런 내용)

이게 한국 신종플루에 대한 한국 보건당국의 대책입니다.

ps. 그나저나 두번째 사망자라니....크게 신경쓰지 않았는데 점점 무서워지네요.
몽키매직
09/08/16 13:30
수정 아이콘
WHO에서 7월에 신종 플루의 전염성 정도를 보아 Pandemic (대유행) 으로 전염력 최고 단계로 설정해 놓았습니다. 알아듣기 쉽게 바꿔 설명하자면 전세계 인구의 대부분이 한번씩 감염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전국민의 70~80% 가 한번씩 신종 플루에 감염 될 것이라고 추산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7월에 질병관리본부에서 신종 플루 관련 대책을 ' 봉쇄, 차단 ' 에서 ' 피해 최소화 ' 로 변경하였습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신종 풀루 사망률은 0.45% 가량 되고 대부분 고위험군에서 사망이 발생하였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확진자 2천명으로 추산하고 있는데, 실제환자는 절대 2천명 아닙니다.... 확진자가 아닐 뿐 확진자에 준하여 치료받고 있는 환자도 꽤 되고, 이번 신종 플루의 경우 증상이 가벼워서 본인이 감기라고 생각하고 넘어가는 경우도 꽤 많습니다. 우리나라도 이미 위험지역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모든 출입국자에 대해서 검사하는 것이 더이상 무의미하고, 확진검사는 질병관리본부에서만 시행하고 있는데, 모든 의심환자에 대해서 확진검사할 여력이 안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또, 의심환자로 분류되지 않은 사람에게서도 신종 플루가 확진되는 사례가 계속 발생하고 있어서 사실상 예방적인차원에서의 검사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강력히 의심되는 환자의 경우 확진 검사 없이 바로 타미플루를 복용시키고 있습니다.

* 고위험군
1. 65이상의 노인
2. 임산부
3. 60개월 미만의 소아
4. 만성질환자

* 의심환자
1. 접촉력 : 위험지역 여행, 신종 인플루엔자 확진 환자와 접촉
(우리나라가 위험지역이기 때문에 사실상 의미가 없는 조항이 되었습니다. 공공장소에 갔다 오신분들은 접촉력이 있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2. 급성열성호흡기 질환
1) 37.8도 이상의 발열
2) 인후통, 콧물 등 호흡기 증상
몽키매직
09/08/16 13:42
수정 아이콘
덧붙여 말씀드리면, 국내 사망자 2분의 케이스를 잠깐 말씀드리면.

1. 55세 남자
태국 여행 후 감기 증세로 보건소 방문하였으나 체온 37.7도 로 의심환자로 분류되지 않아 신종플루 검사하지 않음.
이후 그냥 지내다가 호흡기 증상 악화되어 병원 방문, X-ray 이상소견 보여 흉부 CT 촬영 후 세균성 폐렴 소견보여 입원 치료.
입원 치료 중 환자 악화되어 중환자실로 옮긴 후 신종 플루 검사 시행. 2일후 확진
치료 중 패혈증으로 사망
- 이 경우 신종플루가 직접적인 원인인지 불분명하나, 보조적인 역할은 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언론은 신종플루가 원인인 것처럼 마구 떠들고 있죠...

2. 63세 여자
고혈압으로 치료 받는 중.
1년전 관절 치환술 받음.
해외여행 등 접촉력 없이 갑자기 호흡기 증상 발생하여 중환자실 입원. 이후 신종 플루 확진.
치료중 다발성 장기손상으로 사망.
- 이 경우는 고위험군에 속하는 분입니다. 주변에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분이 있으시면 가벼운 증상이라도 보건소를 찾아서 타미플루를 복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Timeless
09/08/16 14:42
수정 아이콘
몽키매직님// 약 2,000명이 확진자인 것은 맞습니다.

질병관리본부 역학 통계 보시면 8월 14일자로 다음과 같습니다.
의심환자: 7,272명 / 음성: 4,130명 / 검사중 1,168명 / 확진환자 1,970명

항바이러스제제의 효과가 실제 어느정도 인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고(특히나 타미플루는 실험실적 내성바이러스가 보고되는 중), 현재 백신 보급을 기다리는 중입니다.

지금 시점에서는 굳이 사서 걱정하지 마세요(다만, 증상이 있을 때는 적극적인 검사 및 치료 필요하겠죠?).
사실 걱정 해도 현재로서는 뾰족한 수가 있는 것도 아니고..^^;;
몽키매직
09/08/16 16:04
수정 아이콘
Timeless님//
제 글 다시 읽어보시면 확진자 2천명이고 실제 환자는 훨씬 많다는 내용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본부에서 집단감염의 경우 2명의 확진자만 있으면 더이상 확진 검사 하지 않고 의심환자 기준에만 들어도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항바이러스제제의 효과가 실제 어느정도인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타미플루의 경우 현재 신종플루 확진환자에 투여 하면 1일만에 급격히 증상이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타미플루의 경우 복용 이후에 전파력을 급감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의심 환자는 확진 검사가 양성이 나오기 전에도 투여하고 있습니다.
뉴패러다임
09/08/17 14:19
수정 아이콘
토요일에 중국에서 돌아왔는데 아직까지 고열, 구토 등의 증세는 있지않네요..
다만 중국에서 한 식사로 인한 설사 후유증(그야말로 폭풍설사)과
간간히 나오는 기침?? 정도만 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281 [일반] 예전 썼던 글을 다시 읽어봤습니다 [16] wish burn3446 09/08/17 3446 0
15280 [일반] 개그맨(?) 변희재대표의 발끈러쉬.. 상대가 박중훈 ?? [73] 라구요6223 09/08/17 6223 0
15279 [일반] 양용은 선수가 타이거우즈를 이기고 메이저대회를 우승했습니다!!!!!! [34] U.S.ARMY-68Q3887 09/08/17 3887 0
15278 [일반] (미드)웨스트윙을 다본후... [22] 장동건5862 09/08/17 5862 0
15277 [일반] [우결] 하핫... 박재정-유이 커플 재미있네요^^ [14] Xell0ss5207 09/08/17 5207 0
15276 [일반] 송진우 선수의 기록 [17] 모모리3320 09/08/17 3320 0
15275 [일반] 토튼햄 핫스퍼스 vs 리버풀 후반 열어봅니다... [46] SK Lee3340 09/08/17 3340 0
15274 [일반] [잡담_드라마] 신데렐라는 시키는 일이라도 잘했다! [49] Artemis4954 09/08/17 4954 3
15272 [일반] 오늘 허영무 선수를 만났... 아니 봤습니다. [12] 칼 리히터 폰 4893 09/08/16 4893 0
15271 [일반] 나의 영웅이 갑자기 내 앞에 나타난다면? [27] 뜨거운눈물4778 09/08/16 4778 2
15270 [일반] CJ 마구마구 프로야구 08/16(일) 리뷰 [51] 돌아와요오스3387 09/08/16 3387 0
15268 [일반] 방금 기아vs삼성 경기 보셨나요?? [42] 외대김군4924 09/08/16 4924 0
15267 [일반] 2009 ETP 페스티벌 최고의 순간 베스트 5 (후기 포함) [20] 리콜한방4003 09/08/16 4003 0
15266 [일반] 하반기 기대되는 mp3~! [10] sisipipi5066 09/08/16 5066 0
15265 [일반] 회장님 안녕히…… [13] 모모리4480 09/08/16 4480 0
15264 [일반] 기아 vs 삼성 경기 진행중입니다. [289] Grateful Days~3594 09/08/16 3594 0
15263 [일반] 프로야구의 영원한 '회장님' 송진우 선수 은퇴선언. [16] 彌親男3460 09/08/16 3460 0
15262 [일반] 롯데자이언츠의 역사 - 4. 마운드에는 염라대왕, 타선에는 남두오성 [9] 유니콘스5981 09/08/16 5981 0
15261 [일반] 어제 방송된 소녀시대 스페셜 무대 [31] 타나토노트6872 09/08/16 6872 3
15260 [일반] 여러분들의 위닝2009 최고의 포메이션은? [35] 율본좌5285 09/08/16 5285 0
15259 [일반] 만화 원피스. 그 대단한 스토리!(여러분이 감동과 재미를 느끼신 부분은 어디였나요?) [29] 국제공무원4944 09/08/16 4944 0
15258 [일반] [단관공지] 8월 29일 두산 vs 기아 (잠실경기) [25] 달덩이3161 09/08/16 3161 0
15256 [일반] 드디어 대통령이 개헌을 공식적으로 선언했습니다. [21] 마빠이6323 09/08/16 632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