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8 05:11
그러나 대부분의 기업인들에겐 이렇게 삥 좀 뜯기고 가끔은 기업이 삭제될지언정 독재정권이 노사관계에서 기업 일방적으로 편들어주고 기업비리 눈감아주고 기업에 호의적인 금융정책 펴는 게 훨씬 더 만족스러웠던 것 같습니다.
25/10/28 07:39
기업들은 딱 그정도지만 그 밑의 노동자들은 노예개미 취급이니까요 정말 딱 밥만 먹여주면 노예처럼 일했는데 그래도 덕분에 먹고살 수 있다며 고마워했다죠
25/10/28 07:04
지금의 용산 LS타워가 옛날 국제그룹 빌딩이었죠. 여러 각도에서 볼때마다 다르게 보이는 빌딩...수십년 지나도 멋진 디자인입니다.
25/10/28 08:32
정의론으로 보면 피해자가 당연히 국제그룹쪽이지만,
또 반대로 옛성현 말씀대로 지나치게 뻣뻣하면 부러진단 인간관계의 맥락으러 보면 국제그룹이 원인을 제공한게 맞죠. 경영인은 시대에 맞게 살아야죠. 저 시대는 폭력의 시대인데 말입니다. 독재정권만 문제라 생각했는데 글을 읽어보니 시대 흐름을 못읽은 경영자의 과실도 일부 보이네요.
25/10/28 09:00
그러게요 알아서 기면서 독재와 민주주의 후퇴에 돈으로 이바지 했어야 했는데 말이죠.
그러고 보니 일본제국주의 시대에도 비슷한 일이 많이 있었을텐데, 참 역사에서 배울 줄 모르는 사람이었네요.
25/10/28 09:06
근데 당연히 독재자가 잘못한 건 맞는데, 저 정도 기업을 운영하는 회장이면 산전수전 다 겪고 눈치가 엄청났을 텐데 전두환이 어떤 사람인지 몰랐을 리도 없고 나는 새도 떨어뜨릴 만한 권력이 있었는데 왜 그렇게 뻣뻣하게 굴었을까요?
마음만 먹으면 기업하나쯤 날리는 건 일도 아니라는 걸 잘 알고 있었을 텐데요.
25/10/28 12:22
(수정됨) 그건 정말 모를 일입니다. 3선 까지는 국민의 선택을 받은(한번은 부정선거로 역전했다는 의혹이 굉장히 짙지만) 박정희에 비하면 전두환 처럼 급도 안되는 사람에게 돈 뜯기는 게 아니꼬왔을 수도 있고, 부산이면 성향이 YS에 가까웠을 수도 있고... 검색해도 잘 안나오더군요
25/10/28 09:46
양대 재벌이었던 현대와 삼성도 신군부 때 현대양행(현 두산에너빌리티)과 TBC(현 KBS2)를 뺏기다시피 내놨던 것을 봤을텐데
양 회장은 어떤 생각이었는지 모르겠네요.
25/10/28 09:47
이건희 회장이 훗날 전두환, 노태우 재판에 나가서 했던 말이 있습니다.
“3공 때는 청와대에서 전화를 해서 돈을 달라고 했어요. 5공 때는 영수증을 주더라구요. 6공 때는 이심전심이예요.”
25/10/28 12:41
(수정됨) 누구도 신세계 그룹이 해체될 거라고는 생각 안하니 달라진 건 있죠. 국민을 위한 정규직 일자리를 털어내는 것과 친인척과 측근이 촘촘하게 박힌 재단 기부금 털어내는 건 다르니
25/10/28 09:49
제5공화국에서 1편인가 2편 다뤘을겁니다.
눈치가 없었다 라고 말하기엔 재수가 없었던 지점도 있고, 결국 그 별거 아닌거 전부 모아서 일벌백계를 하는걸 보여주겠다의 본보기가 되었을뿐.. 결국 그 결과들로 나온것중에 하나가 정주영 회장의 정치활동과 대선후보 출마가 된거죠...
25/10/28 09:50
야사에는 왕회장이 계산기 두들겨보고 '이 돈이면 차라리 대선 나가는 게 훨씬 싸게 먹히겠다'라고 생각해서 출마했다는 썰도 있죠.
25/10/28 10:17
액수가 적은 것도 그렇고 본문에 ' 일해재단 성금으로 다른 재벌보다 적은 5억 원을 어음으로 내려다' 이렇게 나온 것처럼
어음으로 준거에서 제대로 빡쳤다고 하더군요. 어음이라는게 보통 큰 기업이 하청기업 결제해줄때 쓰는 건데 뭔 생각으로 대통령한테 내는 성금을 어음으로 낸건지...너무 나갔어요.
25/10/28 11:33
한마디로 요약되더라고요 "괘씸죄"
전두환은 대놓고 조찬에 재벌회장들을 청와대로 불러서 성금 걷던 사람인데, 그걸 불쾌해했으니 본보기를 보여야죠.
25/10/28 11:54
당시에도 다들 괘씸죄라고 생각했습니다.
그 정도 기업이 한방에 넘어갈 정도로 문제가 있진 않았고, 당시 한국은 고도 성장기였죠. 저 정도 빚은 몇 년안에 인플레이션으로 사라지는 빚이었죠.
25/10/28 12:29
저항을 한것도 아니고 안한것도 아니라서.. 뭐라고 평가를 못하겠네요. 경영자 입장에서라면 시류를 읽는 것보다 중요한 건 없긴한데(요새 트럼프를 대하는 ceo들봐도) 시민저항운동?의 시작이라고 보기도 애매하고.. 이렇게까지 되겠어?라는 마인드가 아니었을지..
25/10/28 13:44
저도 딱 이정도입니다.
그냥 피해자인거고, 정황상 독재의 피해자라고 해서 딱히 다른 판단이 들어갈 여지도 없죠. 국제그룹 얘기는 군사정권의 패악질을 중심으로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