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1 21:54
제가 사는 지역은 22년 고점을 회복 못하고 아직도 빌빌 거리고 있네요 그래도 수도권이랑 붙어있는 지역이고 지방도시 치고 꽤나 큰 도시인데 대장 아파트라고 불리는곳도 현시세가 고점대비 15프로 정도 낮아요
그래서 그런가 요즘 서울 집값으로 떠들석한데 저같은 지방민은 별로 체감이 안되더라고요
25/10/21 21:58
서울 내에서도 마지막 그래프처럼 U자형입니다. 실제로 돈을 벌었다는 건 구입 당시에 10억 이상 아파트 들로 보입니다. 아니면 23년도에 산 사람들은 높은 수익률을 경험하고 있겠죠. 그리고 큰 돈을 번 사람들은 전체 구입자들의 20% 정도이고, 이 사람들이 산 매물은 비싼 고가 아파트들입니다. 제가 어차피 살 수 없는 자산이라서 가격이 오르거나 내리거나 별 상관없죠.
25/10/21 22:01
좀 더 단순화 시키면 서울에서 가격 순으로 순서를 매긴다음에 상위 30% 이내에 속한 것을 사는데, 사는 가격이 전년도 보다 떨어졌을 때 사면 됩니다. 경제위기는 주기적으로 오고, 서울 아파트 가격도 5-10년에 한번씩 조정을 줍니다.
25/10/21 22:37
엄밀히 말해서 전국 집값은 아직도 보합권이죠.(상승전환을 시작한)
더 세게 말하면 수도권 빼면 아직도 하락 중이라는 거... https://www.imaeil.com/page/view/2025101615314648170 그러니깐 엄밀히 말하면 부동산 상승이 문제가 아니고, 수도권 집중이 문제인 겁니다. 이걸 또 다르게 표현하면 이렇습니다. 부동산으로 돈 버는 시대는 끝났다. 지방은 아예 말이 안되는 이야기고, 경기도도 레버러지 생각하면 목숨 건 돈벌이 입니다. 그래도 주식 적립보다 벌이가 나쁘구요 오직 서울 집값 만 오르는 겁니다. 서울 집은 돈을 벌기위해 사는 물건이 아니고 돈을 벌어서 사는 물건인거죠.
25/10/21 22:46
그걸 수도권 '집중화'라고 부르기도 뭐해요.
정확하게 말하면 '집중된 수도권' 이죠. 전국민의 절반 이상이 서울경기인천에 사는데, 수도권만 빼고 이야기한다는 전제가 성립이 안 됩니다.
+ 25/10/21 23:19
(수정됨) 생활권이 서울/수도권이라면 부동산은 사실 이제 수익률 경쟁이 아니라 그냥 1주택을 가지는게 뉴트럴이라고 생각해요.
2주택 이상부터가 부동산에 롱을 친거고 무주택 분들은...서울/수도권 부동산에 숏치고 인디언 기우제 하는거죠 뭐.. 지금 당장 무리해서 등기칠 필요는 없지만 시장 사이클에 맞게 등기는 꼭 치는게 맞는 트렌드인거 같습니다.
+ 25/10/21 23:30
역시 정상적인 수준인데 거래를 막는 규제만능주의였군요. 거래는 시장에서 알아서 할테니 정부는 할 줄도 모르는 규제 얼음땡 그만하고 지원금인지 국민용돈인지 그거나 뿌리는 게 낫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