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 25/08/09 17:34
(수정됨) 07(만 18세)부터 2군 주전, 06(만 19세)부터 2군에서 눈에 띄게 활약하거나 1군 두들겨보는 그런 느낌이네요. 지니도 만 18, 19세부터 두각을 드러냈으니 얼추 비슷한데...
04,03부터는 1군에서 좌절 겪은 선수들이 상당수인데 이들이 과반은 되는 거 보면 확실히 신규 유입이 적어진 것 같긴 합니다.
+ 25/08/09 17:37
이게 뭔가 2군이 유망주 육성의 장소가 아니라 1군 전력외 선수의 재취업 장소화 되어벼러서 10대 고딩들이 안보이는건지
아니면 10대 고딩들 싹이 말라버리니까 전력외 선수들이 2군에서라도 선수생활 이어갈 수 있는건지
+ 25/08/09 17:48
저도 이 부분이 궁금한데 아카데미 관계자나 3부 정보까지 필요해 보이고 접근이 쉽지 않네요...
개인적으로 관계자들에게 궁금한건 2부리그 성적 좋은 팀은 나이가 있는 경향이 있긴 한데 팀에서 보기에 CL에서 성적이 중요한지 유망주 발굴이 중요한지 우선순위가 잘 정리되었나 궁금증이 있긴 했습니다.
+ 25/08/09 18:33
CL 관계자 얘기가 나와야 하는데 거기까지 관심 있는 사람이 드무니 기사가 나올 리도 없고...
다만 CL 평균 연령이 급상승한건 올해가 처음입니다
+ 25/08/09 18:30
어린 친구들이 LOL을 많이 해야 그 중에 재능있는 사람들이 챌린저도 되고, 프로지망생도 생기고 할텐데, 롤을 안합니다.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서, 롤판 자체가 황혼기 비슷하게 흘러가는거 같습니다.
+ 25/08/09 18:36
올해 LCK 팀들이 대거 투자를 했다는 얘기가 정설인데
CL은 기존에 해외를 돌던 고연차 선수들이 대거 복귀하는 양상입니다 그렇다고 그게 성적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냐면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러한 경향성의 원인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된 내용은 들은 적 없습니다. CL에서 성적 내는 걸 중요시하지 않는다는 얘기는 들었는데 그게 갑자기 바뀌었을 가능성은 낮은데... 요즘 클래스 낮은 고연차 선수들이 뛸 무대가 줄어들고 있는 게 영향을 준 거 같기도 하고
+ 25/08/09 19:01
근데 판이 고도화되면 될수록 고인물이 생기는건 어쩔 수 없는거기도 합니다.
스타1 시절의 드래프트 세대 중 택뱅리쌍이 2007년부터 2012년까지 돌아가면서 해먹었습니다.
+ 25/08/09 19:17
스타판에서 그 때면 손스타 하는 사람이 지극히 줄어들고 신규 유입이 점점 사라지면서 리그가 끝나기 시작한 때죠
이걸 고도화라고 할 수 있을까요 더 이상 스타 프로가 되기를 꿈꾸는 사람이 없어진 리그의 황혼기였던 거지
+ 25/08/09 19:43
그 시절 스타판도 유입이 점점 사라지는 리그가 아니었어요.
유입이 없어지는 거는 판 전체 경쟁력이 떨어지는거고, 그럴거면 최소 지금 스타1, 스타2처럼 최상위권 경기력이 내려와야 하는데, 지금 최상위권 경쟁력은 굳건합니다. 판이 고도화되면서 선수들에게 요구하는 것들이 점점 늘어나고, 이걸 다 소화해야 LCK에 진입할 수 있을 뿐입니다. 쇼쵸비페제 로만 따져봐도 저기서 제일 늦게 데뷔한 제카가 2020년 데뷔한 선수입니다. 최소 6년 최대 13년 동안 해먹은 노하우와 역량을 지금 뉴비들이 단기간에 따라잡기 쉽지 않은것 뿐입니다.
+ 25/08/09 19:50
이번에 스파5>스파6의 변화를 보면 그렇지가 않더라구요..
해먹은 노하우와 역량을 못 따라잡는다> 할배요 당신은 늙었어 로 바뀌어버려서
+ 25/08/09 19:55
아뇨 온세상 그 어느 스포츠를봐도 무슨 판이 고도화되면서 고인물이 해먹고 신인이 진입하기 힘들고 그딴거 없습니다
그냥 유입이 줄고 유망주풀이 줄어서 늙어가는거지
+ 25/08/09 19:56
개인적으로는 판 고도화론에 공감하지 않습니다
수많은 비인기 게임들 보면 1인자들의 수명이 정말 엄청나게 길어요 선수가 마음만 먹으면 30대 40대까지 할 수 있습니다 판이 고도화되서 뉴비들이 단기간에 따라잡지 못하는 게 아니라 따라잡으려고 노력하는 재능있는 뉴비들이 점점 없어지는 거죠
+ 25/08/09 20:17
이 글은 고인물보다는 2군의 정보로 이야기하는 것이라서 6~13년 노하우와 역량을 밀어낼 필요까진 없어보입니다. 2군 정도만 밀어낼 정도의 뉴비면 되는데, 그정도의 뉴비도 적고 현역급 수준으로 물을 먹은 선수가 많죠.
+ 25/08/09 20:36
그게 의외로 그렇지가 않더라구요
고도화가 될수록 코치진의 역량도 늘고 시스템도 좋아져서 기존선수가 몇년걸리던걸 짧은시간에 습득하더군요. 판이 정상적으로 돌아가면 뉴비들이 계속 튀어나와야 정상입니다
+ 25/08/09 20:03
그냥 어렵게 생각할거없이 이스포츠 그러니까 게임대회는 다 똑같습니다
게임이란게 한 종목(게임)이 영원히 갈수가 없고 게임 프로씬이 시작해서 최전성기 피크찍고 한 10~15년정도면 이제 내려옵니다 피크찍을때 게임에 들어온 최고 유망주들을 이제 게임 내려갈 시기에는 유입되는 인원이 줄고 유망주풀이 구려지니 못밀어내는거고 그 피크찍을때 들어온 최고 유망주들이 늙을때까지 해먹다가 마무리하는거죠 지금 롤에서 한 19~20 이때쯤이 딱 월클급유망주들 대거 유입한 마지막세대죠 제카같은 경우만 봐도 롤드컵 우승을 22에 해서 그렇지 처음 중국갔던 20년 이전에도 완전 톱유망주로 꼽히던 선수였습니다 담원 그리핀 T1유스 케리아 이세대가 사실상 마지막이죠 기존 선수+저 선수들이 앞으로 롤 끝날때까지 계속 해먹고(그 사이에 극소수로 한두명 나올수야 있겠지만)끝나겠죠 롤은
+ 25/08/09 20:07
스타판은 그래도 계속 1위하는 선수들이 바뀌었었는데 롤은 5인체제라 쉽지 않을거같네요.. 다음 게임은 무엇이 될까요 아님 계속 판이 다원화 되려나
+ 25/08/09 20:20
좀 싹수 보이는 선수들도 상위클래스 선수들 사이에서 같이 게임하고 성장해가야 뭐가 되지
상위권팀은 s급으로 다 문 닫아놓고 잘해봐야 중위권~하위권팀에서 출발해봤자, 5인게임인 이상 두각을 나타내기 힘들다는게 문제라고 봅니다 (버스 난동객들이 여기저기 있으니까요) 그리핀, 담원 케이스를 많이들 예로 드는데 그야말로 그때 특수했던, 그당시 10인이 최고가 되었거나 지금까지도 활동하는 선수들로 구성된 원석이었던 팀들이고 롤 10년 이상 역사에 딱 한번있었고, 2군 시스템이 갖춰진 이상 다시는 안 나올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