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8/02 12:59:33
Name Dementia-
File #1 커리어랭킹.xls (0 Byte), Download : 90
Subject 양대리그 커리어 랭킹 (모든 라운드 적용 + 수정)
우승 2000     준우승 1000     3위 600     4위 400     6강 300
8강 200           12강 150      16강 100    24강 75      32강 50

이렇게 점수를 바꾸었습니다.  순위 변화가 꽤 많이 일어났습니다.

순위        선수        점수
1        이윤열        18650 (MBC게임 역대 최강)
2        임요환        13550 (온게임넷 역대 최강)
3        최연성        13425
4        마재윤        11575 (MBC게임 역대 저그 최강)
5        박성준(S)        9800 (온게임넷 역대 저그 최강)
6        홍진호        9275
7        강민        8950 (MBC게임 역대 플토 최강)
8        조용호        8450
9        박정석        7800 (온게임넷 역대 플토 최강)
10        김택용        6500
11        서지훈        6225
12        이제동        5375
13        박태민        5000
13        박용욱        5000
15        김동수        4400
16        송병구        4300
17        이병민        3875
18        이영호(T)        3650
19        변길섭        3525
20        오영종        3400
21        전태규        3275
22        한동욱        3150
23        기욤        3050
24        강도경        2850
25        변은종        2650
26        최인규        2600
26        김준영        2600
26        박성균        2600
29        김정민        2550
30        변형태        2500
31        전상욱        2325
32        박지수        2225
33        최진우        2200
34        장진남        2000
35        진영수        1700
35        박경락        1700
37        심소명        1600
38        국기봉        1400
39        박지호        1375
40        박찬수        1350
41        김현진        1300
42        성학승        1250
43        조정현        1200
43        봉준구        1200
43        도재욱        1200
43        김구현        1200
47        이재호        1150
47        박영민        1150
49        안기효        1100
49        베르트랑        1100
49        임성춘        1100
49        나도현        1100
53        장진수        1000
54        박명수        950
54        한웅렬        950
56        신희승        925
57        이성은        900
57        허영무        900
59        박성준(삼)        800
59        이기석        800
61        김성제        775
62        염보성        750
63        이운재        700
63        이재훈        700
63        박신영        700
66        윤용태        600
66        변성철        600
66        박찬문        600
69        한승엽        575
70        이주영        550
71        주진철        500
71        김환중        500
71        김태목        500
71        손찬웅        500
75        고인규        475
75        최수범        475
77        원종서        450
78        김동건        425
79        임정호        400
79        정재호        400
79        나경보        400
79        김민구        400
79        박정길        400
79        한상봉        400
79        안형모        400
79        김상훈        400
79        이근택        400
88        김동준        350
89        안상원        300
89        윤종민        300
89        성준모        300
89        손승완        300
89        박상익        300
89        김근백        300
89        주현준        300
89        손주흥        300
97        도진광        275
97        차재욱        275
97        김대기        275
97        박대만        275
101        서경종        250
101        강구열        250
103        김동구        200
103        박현준        200
103        김완철        200
103        이창훈        200
103        김신덕        200
103        정유석        200
103        조형근        200
103        신정민        200
103        김성기(T)        200
103        김동진        200
103        김남기        200
103        박상규        200
103        김창선        200
103        최지명        200
103        김규형        200
103        김대건        200
103        세르게이        200
103        최가람        200
103        김동우        200
122        장경호        175
123        박성훈        150
123        오충훈        150
123        권수현        150
123        이영호(P)        150
123        장육        150
128        김창희        125
129        김태훈        100
129        김성기(P)        100
129        임우진        100
129        정재철        100
129        빅터마틴        100
129        유병옥        100
129        김슬기        100
129        크리스토퍼        100
129        신우진        100
129        신성철        100
129        박효민        100
129        오삼택        100
129        정완수        100
129        유병준        100
129        김갑용        100
129        김상권        100
129        정대희        100
129        강동원        100
129        한정근        100
129        박경태        100
129        조창우        100
129        김승엽        100
129        김재훈(T)        100
129        이재항        100
129        손영훈        100
129        임효진        100
129        주한진        100
129        조병호        100
129        문준희        100
129        백영민        100
129        김세현        100
129        박정욱        100
129        신상호        100
129        민찬기        100
163        창석준        75
163        문상헌        75
163        이명진        75
163        박영훈        75
163        이재황        75
163        이학주        75
163        임원기        75
163        고석현        75
163        김민제        75
172        장용석        50
172        이승훈        50
172        임동혁        50
172        박대경        50
172        김윤환(T)        50
172        김상욱        50
172        김명운        50
172        김윤중        50
172        한동훈        50
172        문성진        50
172        정명훈        50
172        김윤환(Z)        50

첨부파일은 리그별 진출 선수와 획득 점수, 합계를 알 수 있는 자료입니다. (자동 필터 이용)

리그를 클릭해서 (ex) '06신한1')

1.'필드 값 있음'으로 지정하면 진출한 선수가 나타납니다.
(중복으로 여러 리그에 지정하면 그 리그에 모두 진출한 선수가 나타나겠죠 - '06신한1','06신한2','06신한3' 모두 지정 시 8명의 선수가 나타나는군요 - 박성준(STX),조용호,박태민,이병민,전상욱,한동욱,변형태,박성준(삼성))

2.그 해당 라운드의 점수를 지정하면 그 라운드에서의 탈락자가 나오겠죠.
('06신한1'에서 200 지정 시 8강 탈락자인 변형태,박명수,박성준(삼성),최가람 선수가 나타납니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조합을 이용해서 다양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e)UnderTaker
08/08/02 13:08
수정 아이콘
어떻게 해도 임이최마는 빠지지 않는군요
오늘도슈왈츠
08/08/02 13:08
수정 아이콘
구시영~~
아름다운돌
08/08/02 13:12
수정 아이콘
최강 순위가 테란 - 저그 - 플토 네요
08/08/02 13:14
수정 아이콘
역시 강민 박정석....
구름지수~
08/08/02 13:16
수정 아이콘
역시 임이최마.--
Dementia-
08/08/02 13:18
수정 아이콘
이제 보니
MBC게임 역대 최강들이 온게임넷 역대 최강들보다
높은 순위에 있군요.
키라야마토
08/08/02 13:18
수정 아이콘
3,4위전 하지 않는 리그는 어떻게 점수를 주셨나요??
Dementia-
08/08/02 13:20
수정 아이콘
키라야마토// 3.4위전 하지 않은 리그는 그 리그에서의 승률이 더 높은 선수를 3위로 계산했습니다.
오늘도슈왈츠
08/08/02 13:21
수정 아이콘
Dementia-님// 이 자료를 보고 그런 분석 결과가 나올 수 있다니 희안 하네요.
양산형젤나가
08/08/02 13:24
수정 아이콘
아..... 홍진호..
Kim_toss
08/08/02 13:25
수정 아이콘
역시 프로토스는 아직 강민 박정석..
김택용 선수 무섭네요 ㅠㅠ 박정석 선수 다시..점수 좀 추가해야할텐데..
운치있는풍경
08/08/02 13:26
수정 아이콘
준우승이 우승의 반토막 점수밖에 안되는게 이상하지 않나요?

우승자가 준우승자의 2배포스인가?
08/08/02 13:33
수정 아이콘
포스나 인지도 상승 등으로 따지면야 우승이 준우승의 2배도 넘죠. ^^
오늘도슈왈츠
08/08/02 13:42
수정 아이콘
Dementia-님//" mbcgame최강 > ongamenet 최강" 이라고 쓰셧다가 바꾸셧네요.
누가 제 댓글 보면 오히려 제가 이상하게 보이겠습니다.
Dementia-
08/08/02 13:50
수정 아이콘
오늘도슈왈츠자넨가// 제가 원래 쓴 말도 저 의도로 쓴 것이었습니다만, 다르게 해석하신 것 같아 바꾼 것입니다.
포셀라나
08/08/02 13:53
수정 아이콘
운치있는풍경님// 논쟁이 많지만 보통 준우승을 어떻게 계산하느냐를 따질때

1. 준우승2번이면 우승1번

2. 준우승 10번해도 우승1번만 못함..

이둘이 논쟁이 치열했지.. 준우승2번이 우승1번보다 낫다는 주장하는 사람은 거의 드물었죠.
08/08/02 14:00
수정 아이콘
우승 * 1/2 = 준우승이면 감사해야죠.
붉은악마
08/08/02 14:14
수정 아이콘
사람들이 우승은 기억해도 준우승은 기억 잘 못 해요. 준우승 1000점 주신것도 어떻게 보면 좋게 보신것 같음..
제 생각은 우승 2000점, 준우승 800점
당신은저그왕
08/08/02 14:29
수정 아이콘
언제 한 번 이윤열 선수 제외한 순위표를 봤으면 좋겠습니다. e스포츠의 모든 공식을 얘기할 때 빼놓아야 할 선수인 듯...;;;;...
포셀라나
08/08/02 14:39
수정 아이콘
이윤열 임요환 최연성 마재윤 박성준(S) 홍진호 강민 조용호

이선수들은 양대리그만 기준으로 하면 순위는 변해도 1~8위까지 무조건 들어가는듯
wish burn
08/08/02 15:02
수정 아이콘
좋은 자료네요. 수고하셨습니다
팔세토의귀신
08/08/02 15:05
수정 아이콘
전 오히려 포스있는 준우승자는 더 기억 잘되던 데요..
지금 신한 시즌1의 우승자인 한동욱은 잘 기억되지 않아도..
TG때의 홍진호 선수나.. 올림푸스때의 홍진호 선수.. 코카콜라때의 홍진호 선수..
신한 시즌2때의 오영종 선수나 다음때의 변형태 선수... 그외 송병구 선수나.. 강민선수등은..
준우승을 한 선수들이지만.. 오히려 우승한 선수들보다 더 기억에 남더라구요..
08/08/02 15:25
수정 아이콘
1위부터 20위까지는 다 우승자네요.............한선수 빼고ㅠ
낭만곰됴이
08/08/02 15:27
수정 아이콘
홍진호 선수가 6위인데 우승 한번을 못했다니..
정말 '무관의 제왕' 이네요.
08/08/02 15:29
수정 아이콘
포셀라나님// 이윤열선수의 순위는 변하지 않을것같네요 ^^;
Dementia-
08/08/02 15:31
수정 아이콘
lance// 아....
팔세토의귀신
08/08/02 15:36
수정 아이콘
이런거 볼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팀단위리그는 커리어에 반영되지 않네요..
최연성 선수는 개인리그 팀단위리그 둘다 소화시키면서도 우승을 계속해서
포스가 후덜덜 한걸로 기억하는데..
날으는씨즈
08/08/02 15:37
수정 아이콘
협객님// 거의 뭐 최연성이 다시 복귀해서 그만큼 포스를 뿜지않는다면야....
08/08/02 15:38
수정 아이콘
lance님// 덧글 보고 홍진호 선수 생각나 한번 웃고, 실제 확인 작업중 dlqudals 보고 한번 더 웃고.
08/08/02 15:54
수정 아이콘
62 염보성 750

와우..... 염보성 선수 ㅠㅠ
이젠민방위
08/08/02 16:07
수정 아이콘
팔세토의귀신님// 확실한 스탯보다, 막연한 느낌과 기억이 주는 오류죠
최연성 선수 팀리그 총 성적이 18승 6패입니다. 물론 LG ibm 리그만 보자면 정말 놀랍지만, 팀리그 전체가 최연성의 리그처럼 말하기엔 많이 부족한 성적입니다.
서지훈 선수의 22승 7패는 아무도 언급하지 않죠. ^^;

이윤열 선수가 엠겜 3연패 하던시절에, 마재윤 선수가 3연패 할때, 이영호 선수의 올해 6월 전까지에서 팀리그가 있었더라도 사람들 기억에 남는 올킬 포스를 보여줬을듯 하네요.

한 선수의 엄청난 포스시기가 6개월 이상 지속되기가 어렵다고 본다면 딱 그때에 맞춰 좋은 리그가 펼쳐지는것도 그 사람의 커리어에 중요한 몫을 차지하는듯 합니다.
이젠민방위
08/08/02 16:22
수정 아이콘
얘기가 나온김에 팀리그에서 가장 큰 활약을 한 세 선수의 기록을 뽑아보죠

서지훈 22승 7패 올킬 2번 결승전에서만 7승3패 팀을 우승으로 3번 이끌었죠
최연성 18승 6패 올킬 1번 결승전에서 8승3패 팀을 우승으로 2번 이끌었습니다
이윤열 선수도 못지않게 잘했는데 20승 10패 올킬 우승은 없구요.

서지훈 선수의 팀리그 시절이란 얘기도 들어보고 싶네요. 지못미...
08/08/02 17:05
수정 아이콘
서지훈 선수의 팀리그도 대단했죠. 다 기억해요. 변은종 선수도 역시요.
08/08/02 17:46
수정 아이콘
이젠민방위님// 팀리그 활약에서 변은종 선수가 빠지면 섭할 듯. 23승 12패로 soul의 핵심선수였습니다. 올킬도 몇 번 했었던 것으로 기억하구요. 워낙 이미지가 튀는 선수가 아니라서 그렇지 전체적인 팀리그 하면 서지훈과 변은종 두 명을 꼽습니다. 최연성 선수는 LG IBM 팀리그를 제외하면 아주 좋은 건 아니었던 것 같구요.

이윤열 선수는 전성기(라고 하기엔 약간 어긋나긴 하지만) 시절 프리미어 리그가 있었고 마재윤 선수는 슈퍼파이트가 있었습니다. 그런 것들이 맞물려서 본좌 포스를 더해주었죠. 5대 본좌가 공석인 이유는 님 말씀대로 포스를 발휘할 만한 리그가 딱히 없어서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전설의황제
08/08/02 18:06
수정 아이콘
814//이윤열 선수한테는 itv랭킹전이 더 맞는말일듯 겜tv나 ..
낭만토스
08/08/02 18:46
수정 아이콘
확실히 공인 본좌가 얼추 맞네요.

1~4위 임이최마

그를 따르는 홍진호 박성준 강민 조용호 박정석 등의 준본좌 선수들
08/08/02 20:30
수정 아이콘
lance님// 아... 우리 dlqudals 선수...
마요네즈
08/08/02 22:39
수정 아이콘
이리님// 송병구 선수도 있네요...--;;;;;
Dementia-
08/08/02 22:48
수정 아이콘
마요네즈님// 아 종족별로 한명씩...
아다치 미츠루
08/08/03 03:22
수정 아이콘
너무 넘버원인 레드나다....
안티세라
08/08/03 07:35
수정 아이콘
이 랭킹 기준으로 10000점 이상이면 본좌라고 해도 될듯.
Flyagain
08/08/03 08:39
수정 아이콘
팀리그 이야기에서 나도현 선수가 빠지면 섭하죠,,,

나도현선수도 올킬꽤나 했습니다!! ㅜㅜ
Dementia-
08/08/03 09:58
수정 아이콘
Flyagain님// 나도현 선수도 팀리그 통산 16승 8패로 좋은 성적을 보여줬네요.
팀단위 리그를 가지고 어떻게 랭킹을 해볼지 생각해봐야겠습니다.
가우스
08/08/03 15:20
수정 아이콘
아무리봐도 홍진호 선수는 최소한 준본좌
할루시네이션
08/08/03 16:10
수정 아이콘
가우스님// 준본좌로 쳐주지 않나요? 그렇게 꾸준했는데... 저그가 아무도 없었을때 다른 본좌,준본좌들에게 치이면서도 혼자 살아남았는데요.
포셀라나
08/08/03 23:38
수정 아이콘
임이최마의 4명일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이건 양대리그 기준이니까요

기타 다른 메이저 추가하고 하면, 순위 많이 바뀔겁니다. 어쩌면 저 4명이 10위권에 없을수도..
포셀라나
08/08/03 23:46
수정 아이콘
보면 이최임마.. 의 본좌라인, 다시 박 홍 강 조 의 준본좌라인.. 이 있긴 있는거 같아요. 양대리그에서만큼음
본좌라인 준본좌라인 각각 은퇴자가 1명씩 있다는 공통점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835 역대 양대리그 간 동일 시즌 대회 분석 [7] 개념은나의것4216 09/09/02 4216 0
38616 주요 개인리그 역대 결승 결과 정리 [10] 개념은나의것6108 09/08/17 6108 1
37595 역대 양대리그 간 동일 시즌 대회 분석 [19] 개념은나의것5494 09/04/22 5494 2
37147 뻘 글이지만 스타리그 클래식 대전 같은 프로그램 생겼으면 좋겠네요. [40] CakeMarry4972 09/02/26 4972 0
36928 그들은 얼마나 기억될까? [16] 오만과나태4971 09/02/11 4971 0
36359 So1 <2> [23] 한니발8501 08/12/18 8501 20
36202 양대리그 통산 커리어 랭킹 [16] Dementia-4442 08/12/06 4442 0
36130 16인의 이야기1. - 김동수 [11] 王非好信主5746 08/11/26 5746 0
36114 양대리그 커리어를 기준으로한 이것저것 [24] 王非好信主5916 08/11/24 5916 0
36110 홍진호 선수를 위한 점수제 통산커리어 랭킹 [25] 스카웃가야죠6196 08/11/23 6196 1
35977 역상성 최강 9인. [54] 펠쨩~(염통)11514 08/11/07 11514 0
35767 여러분은 스타 왜 보십니까? [14] 무한병구교3942 08/10/11 3942 0
35753 프로토스 유저들은 봐주세요 [91] 신우신권5838 08/10/10 5838 0
35452 모든것을 불태운 그들이여... [10] 신우신권4653 08/08/12 4653 3
35348 양대리그 커리어 랭킹 (모든 라운드 적용 + 수정) [47] Dementia-4873 08/08/02 4873 0
35319 펌)<U>역대 프로게이머 연도별 전적 (2000년 ~ 2008년) [58] 전설의황제8195 08/07/28 8195 1
35310 양대리그 통산 커리어 랭킹 (모든 라운드 적용) [21] Dementia-4502 08/07/27 4502 0
35180 양대리그 통산 4강 진출횟수 [25] 오만과나태4432 08/07/13 4432 1
34840 커리어 PP랭킹 TOP150 [29] 프렐루드5375 08/05/30 5375 0
34712 Zergology 5 - 목동저그 조용호. [6] 펠쨩~(염통)5714 08/05/12 5714 1
34693 이야깃거리의 부재... [6] SCV러시4047 08/05/10 4047 0
34613 펌] Zergology 2. - 12앞마당의 발견. 그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7] 펠쨩~(염통)5234 08/04/27 5234 2
34603 펌] Zergology 0편과 1편 [6] 펠쨩~(염통)6108 08/04/24 6108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