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0/11 17:22:42
Name 아홉꼬리여우
Subject 북핵- 또다른 시선

북핵은 매우 충격적입니다.
좋은 의미든 나쁜의미든 한국에 살고 있는 현재의 또는 미래의 나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니까요.
흥미로운 기사가 있어서 옮겨 봅니다. 가디언의 기사를 프레시안이 실은 겁니다.
조금은 다른 시각을 한번 보는 것도 신선하네요.
우리의 다양한 시각을 위해.
.........................................................................................................................


가디언 "북한 핵정책, 미치기는커녕 매우 이성적"
[프레시안] 2006년 10월 10일(화) 오후 12:19 가  가| 이메일| 프린트
[프레시안 이승선/기자]  북한이 끝내 핵실험을 강행하자 강대국들의 주요 언론들은 북한 지도부가 제 정신이 아니라며 일제히 비난하고 나섰다.
  
  그러나 영국의 진보성향 일간 <가디언>은 10일 "북한의 핵정책은 전혀 비이성적이지 않다(North Korea's nuclear policy is not irrational at all)'는 제목의 논평을 실어 주목된다. 필자 댄 플레시는 <세계평화에 이르는 아름다운 길>의 저자이며, 현재 영국 킬 대학교 등의 펠로우로 있다.
  
  다음은 이 논평의 전문이다(원문보기)<편집자>
  
  핵강대국들의 이중잣대
  
  북한의 핵실험은 서구 정책의 실패를 보여주는 최근 사례일 뿐이다. 또한 이번 사건은 다자간 군비축소라는 검증된 체제로 복귀할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미치기는커녕 북한의 정책은 매우 이성적이다.
  
  공산정권은 지도에서 사라져야 한다고 믿는 미국 정부에 맞서 북한은 억지력을 구축해 왔다. 조지 부시는 북한의 핵프로그램을 중단시키기 위해 빌 클린턴 시절 합의된 석유공급을 중단했다. 부시는 이미 '악의 축'이라고 지칭한 정권에 대해서 이라크에서처럼 선제공격을 할 수 있다는 위협을 가한 바 있다.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한 배경에는 냉전이 끝난 이후 핵보유국들이 보여준 이중잣대가 있다. 자기들과 동맹국들은 핵무기에 매달리면서 다른 나라들에게는 핵무기 보유를 용납하지 않는 행태다.
  
  마치 10대 청소년들이 음주를 한다고 비난하는 알콜중독자처럼, 핵강대국들은 핵무기 확산을 이 시대의 테러로 규정하면서 자기들의 행동에 대한 주의를 분산시켰다.
  
  서구 지도자들은 다른 나라들이 그들의 행동을 따라 하도록 부추기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북한이 행동함으로써 핵무기 보유국은 이제 9개로 늘어났다. 미국, 중국, 프랑스, 러시아, 이스라엘, 그리고 영국 등 핵보유국 대열에 1998년 이후 인도, 파키스탄, 그리고 이번에 북한이 합류했다.
  
  그 '도미노 효과'는 너무나 확실하다. 영국은 프랑스가 핵무기를 보유하는 한 핵무기 보유를 원한다. 인도는 다자간 군축회담이 이뤄지지 않는 한 핵무기 보유를 원한다는 입장을 밝혔고, 파키스탄도 곧바로 뒤를 이었다.
  
  이스라엘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란과 아랍권 국가들을 핵보유로 이끄는 유인제가 되어 왔다. 이란에게 파키스탄의 핵보유는 '핵없는 영국'과 '핵실험을 하는 벨기에'에 비유할 수 있을 정도로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동아시아도 다를 게 없다. 2002년 당시 일본의 후쿠다 야스오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세계 정세로 볼 때 주변 여건과 여론이 일본의 핵무기 보유를 요구하는 쪽으로 흐를 수 있다"고 말했다. 그의 발언에 이어 당시 관방 부장관이었던 아베 신조 현 총리는 "일본이 소형 전략적 핵무기를 개발하는 것은 허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식의 상황전개는 기대와 다르다. 냉전 종식 무렵 군축협정들이 잇따라 체결되고 1996년 강대국들은 1945년 이래 처음으로 핵실험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전세계 인민들과 압력단체들, 언론들은 모두 크게 안도하면서 핵폭탄 문제에 신경을 쓰지 않게 됐다. 모든 사람들이 소련의 붕괴와 함께 다자간 군축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여론의 관심이 다른 곳으로 향한 가운데 미국과 러시아, 그리고 프랑스에 있는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의 주인공으로 여기서는 뒷감당 못하는 일을 저지르는 강대국들의 수뇌부를 가리킨다 : 역자)들이 군축을 위한 협의를 중단하고 새로운 핵무기를 필요로 하는 새로운 구상을 들고 나왔다.
  
  10년 전 클린턴 시절의 펜타곤은 '비국가 행위자'(테러리스트)들을 미국의 핵무기를 사용할 대상들로 지정했다. 기존의 핵보유국들은 이제 새로운 핵무기들을 구축하고 있다.
  
  부시 행정부는 사태를 악화시켰다. 무엇보다 부시 행정부는 지난 1918년 이래 전임 대통령들이 준수했던 군비통제협정에 따르는 정책을 거부했다.
  
  두번째, 부시 행정부는 (대량살상무기) 확산을 막기 위한 선제공격에 핵무기를 포함한 군사력을 사용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런 정책은 이라크를 침공하는 구실로 사용됐으며, 이란이나 북한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인도, 이스라엘, 파키스탄에 대해서는 아무런 조치도 하지 않으면서 선제공격이 추가로 이뤄진다면 고통과 혼란이 가중될 것이다. 군비통제를 위한 검증된 방법 대신 거들먹거리는 (미국의) 정책만 지켜보는 상황이 된 것이다.
  
  유엔 군축 논쟁에 침묵하는 언론들
  
  다행히, 현실적인 방안이 남아 있다. 로널드 레이건 시절 핵 협상가로 활동했던 막스 캄펠만은 미국의 최우선 정책은 미국이 보유하고 있는 대량살상무기를 포함해 모든 대량살상무기들을 폐기하는 일이 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현재 유엔에서 진행되고 있는 군축 회담에서 대다수 회원국들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단계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제적인 감시활동이 가장 예민한 상황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는 증거로는 유엔 이라크 사찰단이 거둔 성과를 들 수 있다.
  
  그린햄(영국의 미사일 기지 : 역자)에서 해당 미사일을 제거한 '중거리 핵전력협정(INF)'은 아무도 완벽하게 적용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한 합의가 이뤄진 본보기다. 냉전 시대에 이뤄낸 이러한 유산들은 전세계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그렇게 되어야 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아일랜드를 포함한 영국의 동맹국들은 전세계적인 군축을 위한 중재에 나섰다. 영국이 이를 지원할 의지가 없다는 것은 비극이다.
  
  정당과 언론들이 이런 구상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 영국의 3대 주요정당들은 모두 미국과 유사한 접근방식을 따르고 있다. 그들은 영국이 미국의 핵무기 정책과 보조를 맞추지 않는 한 어떤 미국 정부도 트라이던트(미국의 핵잠수함) 후속 모델을 영국에게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알고 있다.
  
  영국의 언론들은 유엔의 군축 논쟁에 대한 보도를 거의 하지 않고 있다. 군축은 '상류사회'에서 감히 말해서는 안되는 단어가 되었다.
  

  영국의 정치권이 작금의 핵 위기로부터 연착륙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기 전까지 우리는 또다른 선제공격이나 일본의 핵무장을 지켜보기만 해야 하는 것인가?

이승선/기자

.........................................................................................................................

현실이라는 측면에서 글쓴분이 굉장한 이상주의자 같으시긴 하지만, 어쨌든 나름대로 영향력 있는 언론의 주장치곤 신선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0/11 17:59
수정 아이콘
10대 청소년이 음주를 한다고 비난하는 알콜중독자.. 호홋
재미있는 비유네요...
다만 지금 핵개발 않고 가만있는 나라들이 이 글에 나온 얘기를 몰라서 가만있는 건 아니죠...
알콜중독자야 술을 얼마나 마시든 말든, 십대 자기 자신을 위해서라도 술은 안마시는게 나을 테니까요.
06/10/11 18:02
수정 아이콘
북핵문제.. 빨리 좋은쪽으로 해결되었으면 좋겠네요
공안 9과
06/10/11 18:15
수정 아이콘
모든 국민이 평등하게 총기소유의 권리를 누리고 있는 미국과, 제한된 일부 집단에게만 총기소유가 허가되는 한국... 어느 나라가 '학생이 안심하고 학교에 갈 수있는' 나라입니까?
IntiFadA
06/10/11 20:57
수정 아이콘
머릿속에만 멤돌았지만 정리하고 있지 못하던 생각을 영국 사람이 적절히 풀어주는군요~
될대로되라
06/10/11 22:31
수정 아이콘
공안9과/당연히 한국이죠. 잊을만 하면 터지는 교내 총기난사사건의 미국아닙니까. 학교에 금속탐지기설치해야 할 정도로 심각한데요. 게다가 마약도 제법 유통되고 말입니다. 인구압과 경쟁이 심해 정신적인 면에서 한국학생들이 고통을 받긴 합니다만...
06/10/11 23:10
수정 아이콘
뭐, 이 상황은 북한이 '우리에게 공격 들어오면 우리는 어디든 핵을 쏴제끼겠다'고 선언한 상황이니까... 전쟁은 안 일어나겠지요?
06/10/12 00:10
수정 아이콘
글쓴이가 이상주의자인게 아니라 보는 눈이 정확하시네요.
>>
공산정권은 지도에서 사라져야 한다고 믿는 미국 정부에 맞서 북한은 억지력을 구축해 왔다. 조지 부시는 북한의 핵프로그램을 중단시키기 위해 빌 클린턴 시절 합의된 석유공급을 중단했다. 부시는 이미 '악의 축'이라고 지칭한 정권에 대해서 이라크에서처럼 선제공격을 할 수 있다는 위협을 가한 바 있다.
두번째, 부시 행정부는 (대량살상무기) 확산을 막기 위한 선제공격에 핵무기를 포함한 군사력을 사용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런 정책은 이라크를 침공하는 구실로 사용됐으며, 이란이나 북한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
이렇게 붙여 놓으면 현 미 행정부의 정책이 왜 되려 북한을 핵개발로 몰고 가는지 잘 보여 주네요.
북한이 “이왕 죽게 된 거 깨끗이 혼자서 죽겠소” 할 집단이 아니란 건 누구나 동의 하실 테고 미국이 그 엄청난 군사력으로 선제 공격하겠다는데 핵무기 아니고는 답이 없죠.
문제는 북한이 미국에 압박 당하면 본의든 아니든 우리를 인질로 삼을 수 밖에 없다는 거죠.
그리고 전세계적 핵 군축은 필자의 이상론이 아니라 당연한 얘기입니다. 나는 핵무기 들고서 너는 핵무기 포기해라 하는 정책이 되려 핵무기 보유국을 늘린다는 걸 지금 우리가 눈 앞에서 보고 있지요.
모두가 같이 핵을 포함한 대량 살상 무기를 포기하는 길 밖에는 답이 없죠. 그런다 하더라도 강대국의 군사적 우세는 유지 되는거구요.
06/10/12 00:13
수정 아이콘
공안 9과님/
모든 국민이 평등하게 총기소유의 권리를 누리고 있는 미국과, 아주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에게 총기소유가 금지되는 한국... 어느 나라가 '학생이 안심하고 학교에 갈 수있는' 나라입니까?

이렇게 되는게 더 적절한 비유가 아닐까요?
글쓴이의 주장의 일부만의 핵소유가 아니라 모두의 핵포기니까요.
06/10/12 00:13
수정 아이콘
글쓴이의 주장의 -> 글쓴이의 주장이
오타 죄송합니다.
에헤라디야
06/10/12 09:56
수정 아이콘
추가로, 프레시안에 올라온 기사를 하나 더 링크합니다.
위의 가디언 기사를 포함해 '다른 시선'에서 이번 사태를 보는 해외언론의 기사를 모았군요...
http://news.media.daum.net/foreign/asia/200610/10/pressian/v14295767.html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280 죄송합니다. 공부 열심히 하세요. [13] 두번죽다3820 06/10/14 3820 0
26279 우연히 만난 the marine... [26] 설렁탕4623 06/10/14 4623 0
26278 [파이팅] 염보성 선수 .. 스타리그 멋진 플레이 잘 보았습니다. [6] 견우3679 06/10/14 3679 0
26277 온게임넷 신한은행 스타리그 8강에 대한 기대감 [8] Chris Nam3503 06/10/14 3503 0
26276 Supreme의 엉뚱한 게임토론 - 손노리와 포가튼사가 - [27] Supreme4791 06/10/14 4791 0
26275 스타리그 8강이 모두 정해졌네요. [56] SEIJI6789 06/10/13 6789 0
26274 WCG2006 스타크래프트 조별 선수 [16] LKJ*4265 06/10/13 4265 0
26272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열아홉번째 이야기> [14] 창이♡3733 06/10/13 3733 0
26270 WCG 2006 이탈리아 그랜드 파이널 경기스케줄 나왔습니다~! [26] 구우~4627 06/10/13 4627 0
26269 죽은 천왕의 노래 [3] 포로리4156 06/10/13 4156 0
26268 오늘 드디어 벌어지는 신한은행 16강 최종전! [573] SKY926711 06/10/13 6711 0
26267 스타를 모르는 사람과 나눈 대화 몇토막. [18] 볼텍스3698 06/10/13 3698 0
26266 실시간 서울 교통정보 화면 [11] [NC]...TesTER6797 06/10/12 6797 0
26264 어저께 투니버스 케로로 보신 분 있나요? (수정) [16] 스타벨3918 06/10/13 3918 0
26263 @@ PgR 평점 ... COP 선정 횟수에 대한 간단 리포트 ...! [7] 메딕아빠4027 06/10/13 4027 0
26262 10월에 보는 첫눈...그리고 어른이 되어간다? [5] 잠자는숲속의3835 06/10/13 3835 0
26259 2005년 11월 임성춘 해설 인터뷰 (팀리퀴드) [11] SDI8519 06/10/13 8519 0
26258 [감상] 요즘 힘들고 지치시나요? [4] 히로4753 06/10/13 4753 0
26255 영화와 소설 그리고 현실의 차이점이랄까요.. [16] 스머프3843 06/10/13 3843 0
26252 제가 보는 라이벌 아티스트 한동욱vs투신 박성준. [7] Fim3693 06/10/13 3693 0
26251 [분석] 재미있는 역대 MSL, OSL 기록들 [27] 리콜한방5108 06/10/13 5108 0
26248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열여덟번째 이야기> [14] 창이♡3771 06/10/12 3771 0
26247 넥슨 카트라이더 4차 리그, 그 재미를 아시나요? [9] Lucky_Tyche4270 06/10/12 42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