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0/07 14:33:07
Name Boxer_win
Subject 슈퍼파이트... 이런건 어떨까요?
1회 슈퍼파이트를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1:1 다전제 경기는 언제봐도 재미있긴 하지만, 1회성 이벤트 경기의 연속이라는
슈퍼파이트의 특성상 이런 형식은 어떨까 하는 생각에 한번 글을 적어봅니다.


테란 vs 저그   혹은    테란 vs 플토  의 컨셉으로 (저그 vs 플토는 조금 힘들거 같고;;)

테란전 잘하는 저그 게이머 4명 vs 저그전 잘하는 테란 게이머 4명 정도를 섭외해서
예전 팀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해보는 겁니다.

상대종족과 맵이 정해져있기 때문에 선수들이 연습을 하기 그리 어렵지 않을꺼 같고,
또 팀리그 형식의 특성상 나름 흥미진진하게 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예를 들어 저그 vs 테란이라면 개인적으로는...

마재윤, 박명수, 김준영, 박성준  vs 최연성, 전상욱, 한동욱, 이윤열



테란 vs 프로토스 라면..

전상욱, 이윤열, 이병민, 서지훈 vs 강민, 오영종, 박지호, 송병구


저그 vs 프로토스라면..

박성준, 마재윤, 조용호, 박태민 vs ...........이건 역시 힘들겠네요;



이와 같은 라인업에, 맵은 전반적으로 양쪽 종족의 성적이 비등한 맵으로 선정한뒤
경기를 치르면 하루에 이루어질 수 있는 이벤트 경기로써는 굉장한 매치가 많이
생길 수 있을것 같습니다.


물론, 저렇게 화려한 선수들을 캐스팅 할 수 있을런지의 문제와;;;
행여나 올킬이라도 발생한다면 그밖의 다른 선수들이 준비한 것을 전혀 보여주지
못하고 끝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을거 같긴 합니다.(이건 서로의 종족에게 조금
유리한 맵을 중간즈음에 끼워두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만)


그래도 예전 팀리그를 그리워하는 분들이나.
또 하루에 여러번의 각종종 스페셜리스트들의 경기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는
이같은 매치를 슈퍼파이트에서 볼 수 있다면 참 좋을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체념토스
06/10/07 14:35
수정 아이콘
(저/테)저그중 누군가 한명 삘 받으면 올킬나올것 같아요.....;;;

그나마 해볼만한건 테란/프로토스정도...
06/10/07 14:35
수정 아이콘
정말 저렇게 섭외해놓고 올킬 나오면 대박이겠군요 -_-;;
06/10/07 14:37
수정 아이콘
저그/토스는 아무리 생각해도 저 4명을 이길만한 선수들을 프로토스에서 찾기가 힘들다는 -_-;;
수비형 전성기일 때의 강민 선수, 무당스톰일 때의 박정석 선수, 한참 날릴 때의 박지호 선수, 박대만 선수? 혹은 김택용 선수 정도?
영웅의물량
06/10/07 14:38
수정 아이콘
전 슈퍼파이트는 원래 취지에 맞게 1대1 대진 형식으로 쭈욱 나갔으면 좋겠고요.
그냥 겜비씨 시절 무한종족 최강전을 부활시켰으면.. 하는 바람이 있네요ㅠ.ㅠ
거기에 팀리그 방식을 도입하던지, 팀리그도 부활시키던지... 후우-_-;

개인적으론 엠겜의 예전 방송들 정말 재밌고 괜찮았던 프로그램이 많았다고 생각하는데,
이번에 스타뒷담화의 방송에 영향을 받았는지.. 2002년 TPZ의 삐삐토크를 재방송 해주더군요; (마치 우리가 먼저다! 라는 듯한 분위기로-_-;;)

결론은 TPZ나 어바웃 스타크래프트는 다시 하면 좋겠습니다. 응-_-?
06/10/07 14:41
수정 아이콘
KTF vs SKT 팀리그 방식으로 5vs5 해봤으면...
GrandBleU
06/10/07 14:43
수정 아이콘
매회 온겜과 엠겜의 우승자를 붙이는 것도 재밌겠죠.
바포메트
06/10/07 14:51
수정 아이콘
온겜 엠겜 우승자 대결이 가장 재미있을듯...
06/10/07 14:55
수정 아이콘
한동욱이 마재윤한테 지긴졌지만, 다전제로는 아직 안해봤죠? 희망을 겁니다. ㅠㅠ
청수선생
06/10/07 15:1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역대 OSL, MSL 우승자 & 4강 이상 실력자 = 모아서 팀 나누고 팀리그

온겜vs엠겜 우승자 [이렇게 하면 엠겜이 질은 높은데 숫적을 좀 열세에 놓일것 같네요.]


테란 : 이윤열, 최연성, 이병민, 전상욱, 한동욱, 서지훈
플토 : 박정석, 강민, 박용욱, 박지호, 오영종 + 송병구(4강 경력이 없어서 ㅠ]

저그 : 마재윤, 조용호, 홍진호, 박성준, 변은종, 박태민

동족전 않나오게 그냥 확 저그vs테란, 테란vs플토, 저그vs플토[;;;]
06/10/07 15:19
수정 아이콘
구 IS VS 구 한빛 VS 구 GO
06/10/07 15:30
수정 아이콘
영웅의물량 님// 어바웃 스타크래프트는 부활이 힘들듯 보이네요.
인투더엠에쓰엘이 선수들 개인화면 방송문제로 접은지 얼마 안되었거든요 -_-;
TPZ 같은 아이템도....... 그당시 임진수만큼의 포스를 보이는 선수가 지금은.. ;;;
경기력은 안 떨어지는 선수들이라도 스타성에 관한 문제가 조금 있다고 봅니다. ;;;
결론은 모...... 이래저래 아쉬움만 커지는거죠 ;;;;;;;
06/10/07 15:32
수정 아이콘
진지한 글인데도 불구하고 '박성준, 마재윤, 조용호, 박태민 vs ...........이건 역시 힘들겠네요;'에서 너무 웃었습니다 *ㅠ_ㅠ*
강민선수 네명이 출동해도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헤르세
06/10/07 15:35
수정 아이콘
한동욱 선수와 마재윤 선수의 전적은 1:0으로 한동욱 선수가 앞서고 있습니다.^^;;; 프로리그에서 이겼죠. 다전제 보고 싶긴 합니다;; 저도 op Has-님과 같은 부분에서 웃음과 함께 토스 팬으로서의 비애를 함께 느꼈습니다;;;
포도밭몰래멀
06/10/07 15:51
수정 아이콘
對 타종족 스페셜리스트 vs 해당종족 집단
연승할수록 상금은 쭈~욱
하이맛살
06/10/07 15:54
수정 아이콘
종족최강자전 하듯이 하면 재밌겠던데...........
저그vs테란...... 테란vs플토 .....저그vs플토....
다하죠뭐............
06/10/07 16:05
수정 아이콘
vs z... 전성기의 김동수 선수, 김환중 선수, 강민 선수, 박정석 선수면...-_-;
06/10/07 16:11
수정 아이콘
한동욱대 마재윤 노텔에서 시종일관 마재윤선수의 운영에 한동욱선수가 밀리다가 막판한방러쉬때 디펜시브 마린 한마리 던지는 컨트롤로 역전했는데 한동욱 선수 컨트롤도 좋았지만 마재윤선수의 방심도 컸다고 평가됐던걸로..
06/10/07 16:40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지금처럼 1VS1이 좋습니다.
두선수간의 5판3승제가 가장 재미있는데 보기 힘들잖아요
준결승이나 결승 아니면 보기 힘들기 때문에... ...
거기다가 슈퍼파이트는 빅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

최근 양대리그 우승자면 한동욱대 마재윤 정도... ...

근데 토스는... ... 약하군요
희망은 없는 건가요?
마재윤같은 괴물이 나올수 있는... ...
종족의 한계란 말인가요?
리키안
06/10/07 17:08
수정 아이콘
글쎄요.. 방식 자체가 나쁘진 않은데 한달에 한번열리는 매치이기 때문에 조금 부적절한 감이 있네요.. 아무래도 팀리그 방식대로라면 아예 경기를 못 보여주는 선수가 있을 수도 있고 또 어떤 선수는 단 한판만 지더라도 더 이상의 경기를 보여주지 못할 수도 있고;; 그냥 지금 팬투표로 가장 원하는 5판3선승제 1vs1매치 두개 하는게 가장 나아보이네요; 슈퍼파이트가 앞으로도 기존의 한달에 한번열리는 방식을 고수한다면요.
스타대왕
06/10/07 17:14
수정 아이콘
플저전 스폐셜리스트들 나왔다가,

올킬 당하면 난감-ㄱ-;;
버관위_스타워
06/10/07 17:52
수정 아이콘
그냥 추억의 올드게이머를 초대해서 경기를 하거나 이윤열vs최연성 같은 라이벌구도의 선수를 초청해서 5전 3선승제 하는게 훨씬 나을듯 싶습니다.
남들과다른나
06/10/07 18:05
수정 아이콘
글쎄요. 종족간 대결에서 언밸런스는 이렇게 하면 될 거 같습니다.
플토vs저그에서 플토 선수 한명이 지면 테란 한 선수가 나오고, 테란선수가 이기면 다음 플토 선수가 나오고.. 마지막에 살아 남는 종족이 승리하는..
이런 식으로 3파전을 동시에 진행하면 해결 될 듯 합니다. 경기수가 너무 많아짐은 나눠서 방송하거나 오전 오후로 방송하면 될거 같구요.
착한밥팅z
06/10/07 18:17
수정 아이콘
한달에 한번 ㅠㅠ 너무 기다리기힘들다죠...ㅠ
글의 내용과는 상관이 없는 이야기 일수 있겠습니다만 경기방송도중 개인화면으로 넘어갈때 뜨는 그 멋진; 슈퍼파이트 로고 좀 어떻게 했으면 좋겠습니다 -_-; 로고 지나간뒤 전투가 끝나있을때의 그 황당함은;
스타대왕
06/10/07 20:04
수정 아이콘
구 GO, IS, 한빛 멤버들 모여서 팀리그를-ㄱ-;;
06/10/07 20:35
수정 아이콘
플,저전에는 섬멥두개 넣으면 됩니다.
№.①정민、
06/10/07 21:22
수정 아이콘
그렇죠, 홀오브 발할라와 패러독스2를 넣으면 됩니다.
Spiritual Message
06/10/07 21:39
수정 아이콘
팀리그 방식은 출전 못하는 선수가 생기기 때문에 이벤트전으로서의 의미가 떨어져서 좀 무리일것 같네요..
팬이야
06/10/07 23:11
수정 아이콘
팀리그 방식보단 1vs1 5전 3선승제가 훨씬 더 좋을 것 같네요.
경기하는 선수나 보는 사람이나 주최하는 기업이나..
06/10/08 13:04
수정 아이콘
바이오리듬 탄 박용욱선수가 대저그전엔 특효약이라고 생각합니다.
덜덜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183 [영화]가문의불황_스포일러 약간 [26] [NC]...TesTER4102 06/10/09 4102 0
26181 Supreme의 엉뚱한 게임토론 [15] Supreme4773 06/10/09 4773 0
26178 다리를 만들자!Bridge Builder [15] 짤짤이 소년3725 06/10/09 3725 0
26177 [알림] 스타리그 16강 진출 이벤트 결과 [8] homy4086 06/10/09 4086 0
26176 북한이 핵실험을 공표했네요. [273] spin8479 06/10/09 8479 0
26175 PGR 메뉴를 좀 정리하는 게 어떨까요? [17] Velikii_Van4032 06/10/09 4032 0
26173 잘 다녀오너라!!! 요환아~. [16] 김주인3665 06/10/09 3665 0
26171 게이머 임요환 [2] 명랑3856 06/10/09 3856 0
26168 TL.net과 임요환 선수의 인터뷰 원문 번역입니다. [9] 리니짐5020 06/10/09 5020 0
26167 '바바리안' and '레지스탕스' [5] legend3854 06/10/09 3854 0
26165 [잡담] 타짜 감상기 (스포일러?) [31] My name is J4476 06/10/08 4476 0
26164 [절대!!개인적인 끄적거림] 스타방송이 재미없어졌다?! [10] Hero3802 06/10/08 3802 0
26163 기적을 만드는자, 새로운 기적을 만들기 위해.... [4] 혀니3656 06/10/08 3656 0
26162 혹시 저만 느끼는건가요? [5] 아브락사스4083 06/10/08 4083 0
26161 [L.O.T.의 쉬어가기] 황제 Forever.. [34] Love.of.Tears.4712 06/10/08 4712 0
26160 [Kmc의 험악한 입담] 발견 [21] Ntka4694 06/10/08 4694 0
26158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열다섯번째 이야기> [21] 창이♡3811 06/10/08 3811 0
26157 [sylent의 B급칼럼] <파이터포럼> 유감 [52] sylent6244 06/10/08 6244 0
26156 [설탕의 다른듯 닮은]'The Perfect' 서지훈과 솁첸코 [21] 설탕가루인형4415 06/10/08 4415 0
26155 여러모로 의미있었던 지난 9월 25일 [3] 백야3782 06/10/08 3782 0
26154 [Kmc의 험악한 입담] 추락한 맵 [26] Ntka5806 06/10/07 5806 0
26153 함께 쓰는 E-Sports사(7) - C&C 제너럴리그 본기. [20] The Siria4536 06/10/07 4536 0
26152 제 나름대로 듀얼+스타리그 방식 수정해봤습니다. [12] Fim3895 06/10/07 389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