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3/09/26 11:52:06
Name 미남불패
Subject [레슨]당근
제 권유로 프로터스라는 험난한 비포장도로를 걷게된 친구와 대저그전 극복방법을 논합니다.

언덕위 럴커, 무탈 게릴라, 본진 히럴드랍, 가디언의 하템포토 히트&런등등 프로터스가 가장 짜증날만한 플레이에 농락당한 끝에 지고 나온 친구...

친구 : 나 프로터스 못하것네. 성질 배리것어.
나 : 그러다 보면 나중엔 '시련은 있어도 패배는 없게' 될날이 올걸세.
친구 : 프로터스는 인내의 종족인가? 어찌 막다가 끝나.
나 : 여유를 가지고 차분히 대처해서 공격들을 피해없이 막는게 중요하네. 그러면서 차츰차츰 병력을 모아야지. 자네 병력이 쌓이기 시작하면 상대한테 조바심을 이끌어 낼 수 있을걸세. 상대가 자네한테 짜증을 끌어 냈듯이 말이야.
친구 : 조바심이 난들 뭐하나. 저그는 온통 멀티 뜨고 돈이 썩어나는데 나는 꼴랑 본진하고 앞마당 뿐인데 어떻게 이겨.
나 : 마인드의 차이일세. 저그는 상황을 실제보다 낙관적으로 보고, 자네는 비관적으로 봤지. 실제 그렇게 쉴새없이 몰아치면서 모든 멀티 다 먹고 활성화까지 시키기는 쉽지 않네. 프로터스가 저그한테 초반외에 강할 타이밍이 안나온다는건 힘에서 밀리기 때문이 아닐세.
친구 : 응?
나 : 정면대결이 안되기 때문이야. 발빠른 저글링, 날아다니는 무탈, 안보이는 럴커... 이렇게 소수유닛의 기동성과 효율을 이용한 겐세이 플레이가 프로터스에게 러쉬타이밍을 안주는 걸세. 사이오닉스톰앞에 강력한 저그의 조합은 존재하지 않네. 서로 정면대결을 했을때 말이야.
친구 : 그렇군. 저그는 아주 비겁한 종족인거군.
나 : 에.. 뭐... 종족의 특성을 잘 활용한 플레이지 뭐. 그런데 말이야... 프로터스한테도 극초반 외에 한차례의 러쉬 타이밍이 있기는 하네.
친구 : 뭔가?
나 : 무슨 러쉬겠나?
친구&나 : 젤럿이지~!!
나 : 질럿의 초기 공격력은 16, 저글링 멧집은 35... 원래는 세번쑤셔야 죽지. 근데 질럿이 공1업이 되면 사시미 하나에 1씩 보태져서 18이 되네. 저그의 체력 회복치를 감안하더라도 두번에 죽게돼. 질럿 공1업해준것만으로 저글링상대할때의 효율이 1.5배이상 상승하는거지.
친구 : 대단하군.
나 : 빌드를 잘 선택하면 질럿 한부대정도 모였을때 공1업과 발업이 동시에 된다네. 그때 저그의 상황은 다수의 저글링과 성큰.. 럴커쪽을 선택했다면 히드라가 몇 있을것이고, 무탈을 선택했다면 아직 변태중일 공산이 크네. 저그가 멀티를 떴다는 가정하에 말이야.
친구 : 반격이 시작되는거군.
나 : 그렇지. 근데 상대가 히드라 다수를 모았다면 대략 난감하네. 정찰이 중요한거지. 저그가 정면대결을 안하고 치고 빠지니까 힘들다고 얘기 했었지?
친구 : 그랬지.
나 : 일단 정면대결을 유도할 수 만 있다면 저그는 단지 불구텅이에 뛰어드는 불나방일 뿐이네. 저그가 대규모 병력싸움을 못하고 겐세이로 프로터스의 힘을 깍으려는 것도 다 하템의 스톰이 무서워서거든.
친구 : 근데 어떻게 정면대결을 유도하지?
나 : 꾹 참고 한방을 터뜨리는거지. 본진에 태크건물 다 있는데 거기로 프로터스의 병력이 진출한다면 저그로선 겐세이고 나발이고 일단 막아야 할거 아닌가.
친구 : 그렇지.
나 : 드라마로 치면 반전의 시작일세. 계속 공격만 하면서 주도권을 잡고 있었다고 생각했던 저그는 주도권을 내줬다는 필이 꽃히는 순간 심리적인 패닉상태에 빠지거든.
친구 : 오~~~
나 : 순수 병력만으론 저그를 압도하기 힘들지 몰라... 그런데 말도 안되게 프로터스가 승리할 수 있게 해주는 요인이 있다면 하이템플러일세. 치고 빠지는 병력 잡기는 힘들지 몰라도 싸우려고 달려드는 병력 사뿐히 즈려밟는건 매!우! 쉽지.
친구 : 그렇군... 자네 말을 들어보니 프로터스한테도 희망은 있는듯 허이.
나 : 실제 해보면 결코 녹록치 않다는걸 알게 될걸세. 한방을 터뜨릴때의 타이밍 잡기도 힘들거니와, 한방 병력을 모으는 것도 결코 순탄할수는 없거든.
친구 : 역시 그렇지?
나 : 하지만 실망할거 없네. 자네 '웨버의 법칙(Weber's law)'을 아나?
친구 : 그건 또 뭔가?
나 : 예전에 '어느 테란병사의 이야기'라는 소설에서 본건데... 상병 말호봉이 이등병을 갈굴려고 한대를 때렸다 치세.
친구 : 요즘은 구타는 커녕 욕도 못한다던데.
나 : 아따.. 그리 개판되기 이전의 군대서 그리 했다 치세.
친구 : 엉
나 : 근데 나중에 또 그 상병말호봉이 이등병에게 같은 갈굼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두대를 때려야 한다는 이론일세.
친구 : 상병애들 집합시켜놓고, 이등병 교육 똑바로 시키라고 하면 쉬울텐데..
나 : 흐미.. 군대에 비유한 내 죄지. 아무튼, 갈굼에 내성이 생긴다는 내 말뜻은 알겠지?
친구 : 엉.
나 : 저그의 겐세이도 갈굼과 마찬가질세. 오늘 이렇게 갈굼만 당하다가 졌지만 오늘 자네에게 늘어난 것은 패(敗)와, 짜증뿐만 아니라 겐세이에 대한 내성까지일세... 다음에도 또 이렇게 겐세이를 당한다면 조금은 더 여유있게 대응할 수 있는걸세. 오늘 처참하게 게임에 지며 가슴속에 응어리진것은 훗날 승리의 원동력이 될거라 믿어 의심치 않아.
친구 : 훗~! 자네가 내 가슴속의 불꽃을 봤나 보군.
나 : 반딧불일세. 불도 아닌것이 불인줄 알지.
친구 : 켁~!!

친구에게 당근이 필요할 때입니다. 초보 프로터스가 저그를 상대하기는 정말 힘들죠.
좀더 쉬운 상대를 붙여줘야 겠습니다.


짜투리 하나. 웨버의 법칙을 심하게 망가뜨린거 여러 경제학도분에게 사죄드립니다.^^ 제대로된 웨버의 법칙을 알고 싶으신 분은 검색해서 찾아보세요. 저대로 알고 있다간 큰일납니다..^^
짜투리 둘. 어제 축제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황기'라고 우리가 술먹고도 못할일들을 맨정신으로 해내는 넘이 있는데 그넘과 몇몇 친구들과 주막에서 '술'을 먹었습니다.-언제나 그렇듯이 불알잔치... 황기란 넘이 서빙하는 아가씨(물론 대학생)를 잡아다가 '우리가 술도 많이 묵고 안주도 많이 시켰는디 걍 가믄 섭섭하지요이..'이러더니 우리 일행중에 누가 제일 잘생겼는지 찍어보라더군요. 스스로 무덤을 팠죠. 일행중에 잘생긴 애들이 많아서 저는 생각도 않고 있었는데 저를 찍더군요. 헤헤... 촛불이 가까이 있어서 조명발이 잘 받았나 봅니다. 덕분에 아직도 기분이 좋네요..^^ 저를 지목했던 그 이쁘장한 아가씨.. 국문과 02한번.. 그녀가 나를 지목할때.. 그녀의 네번째 손가락에는 커플링이 있었답니다..ㅠ_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전제일
03/09/26 11:58
수정 아이콘
저희 언니님께서 저에게 적용했던 이론이로군요.으하하하
(생각해보니 언니님께서는 경제학도였군요.쿨럭.)
프로토스의 험난한 길을 가시게된 친구분에게 응원하고 있다고 전해주세요!
bilstein
03/09/26 12:00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인데 프로토스 암울론이 너무 남발되는 것 아닌가 합니다. 사실 고수레벨이 아니면 실력으로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거든요.테란이 저그에게 강하다지만 초보에게 럴커가시는 공포의 존재입니다. 프로토스도 마찬가지죠.
난폭토끼
03/09/26 12:02
수정 아이콘
흐음, 웨버의 이론을 그렇게 실증적인 곳에 적용했다면 충분하죠...-회계학 전공, 경제학 복수전공자-

커플링에 애도를...
bilstein
03/09/26 12:03
수정 아이콘
즉, 막 스타를 시작한 초보에게는 종족의 상성은 별로 통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분수=하비365전
03/09/26 12:07
수정 아이콘
어디 학교죠? 저 학교 다닐때 저희 학교 국문과 동기들 및 선후배중에 이쁜 아가씨는 없었는데. T.T 사실 저도 국문과에 이뿌장한 아가씨가 많은 줄 알고 다녔답니다. ^^;
그리고
03/09/26 12:22
수정 아이콘
미남불패님 이때까지의 글을 모으면 추게에 가도 되겠단 느낌이 듭니다.
글 모으셔서 책 한권 내보시죠 ^^

"프로터스. 한달만 하면 미남불패 친구만큼 한다!" ^^ (유머 -_-v)
천재여우
03/09/26 12:57
수정 아이콘
잘 보고 있습니다. 미남불패님...pgr작가로 등극하실 날이 머지않은 듯....
미남불패
03/09/26 13:29
수정 아이콘
bilstein님//암울론이 남발됐다면 암울함을 극복했을때의 기쁨이 커지겠죠..^^
안전제일님//친구가 님 리플보고 좋아라 하네요..^^(바부팅)
분수님//애도를..^^;;;
난폭토끼,그리고,천재여우님// 감사를..^^
게으른새
03/09/26 17:26
수정 아이콘
아아..오늘도 변함없이 올라왔군요 ^-^ neogeese 님의 스타 가르치기와 함께 요새 정말로 즐겁게 읽고 있는 글입니다..특히 두분의 말투가 너무 재미있어요..다음편이 더더욱 기대되네요 ^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3342 [잡담]스타리그가 오랫동안 계속되었으면 좋겠네요 [6] 시즈더데이1627 03/09/26 1627
13340 [잡담 순도100%]write 버튼을 누르기는... [4] spin1606 03/09/26 1606
13339 [레슨]당근 [9] 미남불패1532 03/09/26 1532
13338 카툰레이스를 아시나요.. [6] 이홍림1552 03/09/26 1552
13337 [잡담]3개 방송국 통합랭킹 진척도 30% [7] Altair~★2737 03/09/26 2737
13336 이번 프리미어 리그에 쓰이는 맵과 선수구성은? [9] 세츠나2258 03/09/26 2258
13334 이윤열 선수 꽤나 급했나보군요... [9] 미사토4698 03/09/26 4698
13332 2% 부족한 선수들... [20] Ace of Base4376 03/09/26 4376
13331 온게임넷에서 대학생 스타대회를 한다는군요 [5] Daydreamer2401 03/09/26 2401
13330 프리미엄리그 선수선발 따라잡기! --; [22] 信主NISSI3182 03/09/26 3182
13329 저그만 한다.. 거듭나기.. [1] 저그매니아1408 03/09/26 1408
13328 떨리는 마음으로 첫글을 적어봅니다. [6] Promise1432 03/09/26 1432
13326 인페스티드 테란과 28일후 [4] indiabeggar1981 03/09/26 1981
13325 [잡담] 모기... 그리고 내 인생에서 인상깊었던 음악적 경험 [1] Marionette1518 03/09/26 1518
13324 스타 가르치기 ....세번째 이야기... [18] neogeese2275 03/09/26 2275
13323 [프리뷰]마이큐브 스타리그 8강 2주차 [12] Daviforever2043 03/09/26 2043
13322 [잡담] 외로움 [2] 엘케인1424 03/09/26 1424
13321 스타크 전문 방송국은 어떨까요? [6] 막군1700 03/09/26 1700
13320 스타 가르치기 아류작 3편!!! [2] stay1493 03/09/26 1493
13318 KT-KTF 양대 리그제에 대한 몇가지 생각 [47] unifelix3223 03/09/26 3223
13317 테란대프로토스는 스타크의 역사를 뒤흔드는 명승부의 산실인가... [16] 초보랜덤2871 03/09/26 2871
13316 [펌] 한 LG팬이 남긴 글.. [26] 마요네즈2583 03/09/25 2583
13315 밑에 이승엽선수의 홈런글 리플을 보고... [45] 류창성2311 03/09/25 231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