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6/07/16 02:45:16
Name
Subject 공부 상담 ..
고2 이과생입니다.

정말 저는 공부방법이 잘못된건지 ...

앉아있는 시간도 꽤 되고 맹탕 놀지도 않고

꾸준히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저는 학교 한번 빠진적 없고 야자 한번 빠진적 없고

수업시간에 졸린걸 빼곤  집중했고 방학보충도

한번 빠진적 없이 성실히 다녔구요..

야자떄 떠들고 놀거나 하지도 않구요..

그런데 모의고사 점수는 항상 제자리... 230점대 -_-

쭉 이점수 였습니다. 주위에 전교 1,2 등 하는 제 친구녀석들이

너는 공부방법이 잘못됐다 라고 합니다.

제 공부방법은 ....

언어는 비문학 문제집 풀고 있구요..

수리는 정석유제만 풀고  학교에서 내준 프린트(내신에 들어가는거라

어쩔수 없이 ;; 문제가 200문제)

풀고 교과서  풀어주고.. 따로 문제집을 풀진 않았구요..

연습문제는 풀려고 해도 도저히 발상이 안된다고 해야하나 ..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안잡힌다는 ..

영어는 인강 듣고 야자때,쉬는시간에 복습 좀 해주고 ..

따로 독해문제집을 풀거나 그런건 아직 ...

과탐은 그날배운거 복습합니다.. 교과서랑 보충교재요..

근데 솔직히 이해가 잘 안갑니다 ..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단순히 읽기만 해서 그런건지.. 제가 문제를 많이 풀진 않았거든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주말까지 반납해가며 독서실을 오가곤 하지만...

약간의 응용부분에선 막힙니다.. 어떡하나요

이대로 성적 갈까봐 두렵습니다..

방학때 영어,수학 꼭 잡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7/16 03:35
수정 아이콘
공부를 하다보면 벽을 느끼기 마련입니다.
특히, 수학쪽이 여러번 ...
수학 응용이 안되는 학생을 보면, 가장 많은 실수가 바로 문제 풀이 자제를 외워버리는 것에 있었습니다.
학교 수업이나 정석 예제 유제를 풀면 유형이 항상 거기서 거깁니다.
몇년째 같은 유형이죠. 물론, 그 문제들이 나쁘다는 것이 아닙니다. 기본 예제, 교과서는 기본 중 기본입니다. 즉 앞에 내용정리가 된 부분의 수업을 1시간만 듣거나 30분만 훑어보고 외워버려도 풀 수 있는 문제들이죠.
그 문제들은 공식을 외우고 바르게 쓰는 연습을 하는 것이지, 수학 문제를 풀 수 있게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죠.
근데 학생들은 예제 유제 교과서 다 풀고 수학 공부 많이 했는데, 왜 점수 안 오르냐고 묻곤합니다.
항상 본 문제들만 풀고 같은 방법으로만 푸는 연습을 하고 있는 건 아니신지요? 그건 수학 공부가 아니라 공식을 외운 것 밖에 안되는 거죠.
(비단 수학에 한정된 이야기가 아닙니다.)
왜 이 공식을 써야 하는지, 이 공식은 왜 이렇게 되는 것인지 이 두가지만 잘 기억하면 용용의 벽을 넘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말은 쉽지만...가장 힘든 부분이죠.
학생때 선생님들께 가장 많이 들었던 공부할때는 왜?를 생각해라.
정말 지금 학생들 가르쳐보니까, 왜? 왜? 제가 가장 많이 하는 질문입니다. 문제 풀어보라고 시키면 외운대로 풀고 왜?하고 물어보면...항상 그렇게 풀었어요.... 할 말이 없습니다.
사소한 문제라도 그냥 생각 없이 풀지말고, 왜 이렇게 푸는 지 머리속에서 정리 잘 하시면서 푸는 습관을 기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공부를 좀 어렵게 하시는 것이 필요할 듯 합니다.
난이도 있는 문제들을 많이 풀어보는 연습이 필요하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복습은 그날 하는 것은 별로 좋지 않습니다. 나쁘지는 않은데 효율성면에서 일주일 후에 하는 것보다 좋지 않다는 말입니다.
그 주에 배운건 주말에 정리하고, 평일엔 학교에서 숙제 및 자기 공부를 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안티테란
06/07/16 06:13
수정 아이콘
가르치는 것을 배운다는 느낌이 아니라, 스스로 탐구한다는 느낌으로 공부해보세요. 수학 공부 할 때는 아마추어 수학자가 되는 겁니다. 새로운 수학 문제를 보면, 탐구 정신을 가지고 자신이 알고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서 해결해보고, 그것도 안되면 새로운 아이디어를 응용해보는 겁니다.
과학도 마찬가지입니다. 달달달 외워봤자 별 쓸모 없습니다. 실생활에 항상 적용시키면서 공부해보세요. 과학은 실생활에 적용이 정말 잘되는 과목입니다.
콜라박지호
06/07/16 07:25
수정 아이콘
문제를 풀때 원리를 생각하거나 방식을 외우거나 하는거는 내신에서나 적용이 되죠. 문제를 볼때 출제자의 의도를 생각하고 푼다라고 생각하면 한결 쉽게 할수 있을겁니다.
새벽바람
06/07/16 13:28
수정 아이콘
안티테란님 말씀이 맞습니다. 혼자서 힘드시다면 공부잘하는 학생이나 과외선생님 한분 구해서 같이 공부해보시면 공부를 할때나 문제를 대하는 태도의 차이를 느끼실 수 있을껍니다.
미라클신화
06/07/16 16:58
수정 아이콘
230점이라면.. 좀 심각하네요.. 저는 공부방법이 잘못된거같아요.. 공부는 안하면 안나왔지 하면 안나오는게 아니거든요.. 혼자공부하는건 좋은데 과외나 학원 그리고 님이 하시는거보니 꽤 성실하니깐 유명한 인터넷강의 들어보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844 컴퓨터가 갑자기 다운되면서 부팅이 안 됩니다. [4] 오늘도한껀했1603 06/07/16 1603
18843 김정민 3만년 조이기 [7] 슈로대 짱2879 06/07/16 2879
18842 저작권과 관련된 질문 하나.. [1] 마르키아르1587 06/07/16 1587
18841 오늘 경제야 놀자에서 ㅁㅁㅁㅁㅁ가 뭐였죠? [4] 소년1582 06/07/16 1582
18840 글 실력을 늘리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5] 카시야신1628 06/07/16 1628
18839 일산 킨텍스(MSL결승전 하는곳) [1] 버관위_스타워1537 06/07/16 1537
18837 맨유가 몰락(?)한 이유? [17] 루니2168 06/07/16 2168
18836 오늘 결승 인터넷으로 보는 방법. [10] 한동욱최고V1588 06/07/16 1588
18835 아 유게에 있는 바티스투타 동영상요;; 워크초짜1536 06/07/16 1536
18834 축구에서 프리킥 상황에 어시스트.. [4] 권대현1554 06/07/16 1554
18833 3~6월까지 개봉했던 영화들 질문 [3] 쿠니미히로1624 06/07/16 1624
18832 컴퓨터가 자꾸 재부팅 돼요.. [3] 용호동갈매기1558 06/07/16 1558
18831 라인트레이서 로망1637 06/07/16 1637
18830 월드컵 게시판 어디있죠? [2] 워크초짜1646 06/07/16 1646
18829 사운드가 전혀 안 나옵니다.. [2] Sports_Mania1568 06/07/16 1568
18828 컴업글을 할려고 하는데 그래픽 카드 추천요. [9] 권혁준1675 06/07/16 1675
18827 디아이 맵... 다음™1776 06/07/16 1776
18824 컴퓨터 블루스크린 문제입니당. [5] kmh103121578 06/07/16 1578
18823 벙커링이 금지되었다고 하는데.. [17] 클레오빡돌아2154 06/07/16 2154
18822 비오는날 고속버스요~ [1] 호나우담요2390 06/07/16 2390
18821 비오는 날 데이트 코스좀 추천해주세요. [5] 꿀돼지3559 06/07/16 3559
18820 시작 프로그램 제거에 관한 질문을 좀 드릴게요. [1] 천검살라딘=ㅁ=1524 06/07/16 1524
18819 공부 상담 .. [5] 1557 06/07/16 15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