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0/10/29 01:35:30
Name 참글
Subject 스타2를 잘 모르는 분들이 방송을 볼때 좋은 간단 정보 <테란편> (이미지 추가)
스타크래프트 1은 아는데, 스타크래프트2를 별로 안해보신 분들을 위한.. 방송을 볼 때 알아두면 좋은 점들입니다.

아래 Leeka 님 패러디로 올려봅니다.

- 테란
: 본진 사령부(커맨드 센터)는 2가지 방향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병영(배럭)을 지을 경우 미네랄 150원에 이용가능한 궤도사령부,
  공학연구소(엔지니어링 베이)를 지을 경우 미네랄 150, 가스 150에 이용가능한 행성요새.
  
: 궤도 사령부는 200의 최대마나를 가지며 건설 시 기본 50 마나로 시작합니다.
  궤도 사령부로 사용할 수 있는 마법은 총 3가지로, 각각 한번 사용시 50의 마나를 소모합니다.
  
  
  스캐너 탐색 - 전작의 스캔과 같습니다.
  
  지게로봇 투하 - 지게로봇은 한 번 소환시 궤도사령부 마나가 약 50 모일 시간 동안 지속되며, 한 번에 30 미네랄 씩,
  지속시간(1분) 동안 총 240~270의 미네랄을 캡니다. 건설로봇이 캐고 있는 미네랄도 동시 채취 가능합니다.
  일꾼의 광물 채취 효율은 60Mineral/min, 지게로봇의 광물 채취 효율은 270Mineral/min 입니다.
  가스는 채취불가능하며 시야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소환 가능합니다.
  공격력은 없지만 수리는 가능하기에 급하면 전투현장에 소환하여 수리에 활용하기도 합니다.

  추가보급고 투하 - 보급고(서플라이 디팟)에 사용가능한 마법입니다. 사용시 그 보급고는 파괴되기 전까지 인구수 8을 추가 공급해줍니다.

: 행성요새는 기본으로 3의 방어력을 가지며 공격력 40, 사거리 6의 스플래쉬 공격을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기동력이 취약한 테란이 제 2멀티 등에 이를 건설할 경우 저글링, 광전사의 공격으로 부터 쉽게 멀티를 지킬 수 있게 해줍니다.

: 건설로봇의 체력이 45로 변경되었으며, 전작과 달리 다른 종족의 일꾼과 같은 공격력을 가집니다.

: 전작과 테크트리 중, 부속건물(Add-On) 과 사이언스 퍼실리티에 대해 큰 변경이 있었습니다.
1.  전작의 부속건물(Add-On)은 팩토리는 머신샵, 스타포트는 컨트롤 타워가 있고, 이를 달아야 고급유닛 생산이 가능했습니다.
     스타2에서는 병영(배럭), 군수공장(팩토리), 우주공항(스타포트)의 부속건물이 모두 통합되었습니다.
     부속건물에는 반응로와 기술실, 2가지 종류가 있으며 기술실을 달면 고급 유닛 생산과 해당 유닛들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반응로를 건설시 기본 유닛을 동시에 2기씩 생산가능합니다. (반응로 단 배럭은 기술실을 달지 않은 2배럭과 동일합니다. )
     다만, 생산 건물들의 부속건물이 동일하기에 군수공장에서 반응로를 단 후, 그 반응로를 우주공항이 이용하는 등의 스위치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2. 병영에도 기술실이 생기면서 아카데미가 사라졌습니다. 아카데미의 기능은 병영의 기술실로 옮겨갔으며 메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3. 사이언스 퍼실리티는 삭제되었으며 사이언스 퍼실리티의 애드온으로 존재했던 피직스 랩은 융합로라는 독립 건물이 되었고,
    또 다른 사이언스 퍼실리티의 애드온인 코버트 옵스는 병영(배럭)테크에서 올릴 수 있는 유령 사관학교로 독립되었습니다.
    사이언스 퍼실리티의 기능은 우주공항 기술실에 포함되었습니다.


병영(배럭)
: 해병의 기본체력이 45, 기본 사거리가 5로 향상되었습니다. 사거리업은 없어졌으며 대신 해병의 전투방패 업그레이드를 하면
  체력이 55가 됩니다. 반응로 부착 시 해병을 2기씩 생상할 수 있습니다.

: 불곰(영문이름 Marauder:약탈자)이 추가되었습니다. 병영에 기술실을 부착할 경우100/25의 가격에 생산가능합니다.
  체력 125에 경장갑(소형유닛)에 10의 데미지, 중장갑(대형유닛)에 20의 데미지를 줍니다.
  해병과 같이 전투자극제(스팀팩)을 가지고 있으며 전투자극제 사용시 20의 체력을 소비합니다.
  충격탄이라는 패시브 스킬을 업그레이드(50/50)를 통해 가지며, 충격탄은 불곰의 공격에 맞은 상대의 이동속도를 느리게 해주는 효과를 가집니다.

: 사신(영문이름 Reaper:사신)이 추가되었습니다. 사신은 기본으로 언덕뛰어넘기의 능력을 가지며 (2단 언덕은 동시에 넘을 수 없습니다.)
  50/50의 가격과 병영유닛치고는 조금 긴 생산시간을 가집니다.
  경장갑(소형유닛)에 강한 면모를 보이지만 낮은 체력으로 현재는 언덕 뛰어넘기를 이용한 상대 일꾼 견제, 정찰의 역할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신 관련 업그레이드로는 니트로 추친기 업그레이드(50/50)이 있으며 이 업그레이드는 선행건물로 군수공장을 필요건물로 합니다.
  경장갑 이외에, 건물에도 강한 특수데미지를 줍니다. 대 건물 공격력 40.

: 유령의 역할이 달라졌습니다. 유령은 병영에 기술실을 단 후, 유령사관학교 건설시 생산이 가능합니다.
  전작의 베슬이 가졌던 EMP(마나 75 소모, 일정한 범위 내의 적에 쉴드 100과 모든 마나를 없앱니다.)와 저격이라는 스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격은 마나 25를 소모해 '생체' 유닛에게 45의 데미지를 줍니다. 기계유닛에겐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유령사관학교
: 병영 이후에 건설가능합니다. 유령의 은폐업그레이드, 초기마나 업그레이드, 핵미사일 개발을 할 수 잇습니다.
  핵은 100/100의 가격과 0의 인구수를 가지며 유령사관학교 1개당 하나의 핵 미사일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그에 따라 핵이 건물에 주는 데미지가 매우 약해졌습니다.


군수공장(팩토리)
: 화염차(영문이름 Hellion:지독히 말을 안듣는 아이)가 벌쳐 대신 추가되었습니다. 클로즈베타 초기 이름은 무법차였습니다.
  100/0에 생산가능하며 빠른 이동속도를 가지며 경장갑에 강한 특성을 가집니다. 아쉽게도 스파이더 마인(거미 지뢰)은 없습니다.
  사거리 5의 직선형 스플래쉬 공격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벌쳐에 비해 살상력이 부족하지만, 스플래쉬 유닛이기에 컨트롤 여하에 따라
  소위 말하는 '대박'을 터트릴 수 있습니다.
  기본 유닛이기에 반응로 부착 시 동시에 2기 생산가능합니다.

: 공성전차에 작은 변경이 가해졌습니다. 150/125 에 생산가능하며 3의 인구수를 차지합니다.
  경장갑 유닛에게 35의 데미지, 중장갑 유닛에게 50의 데미지를 줍니다.
  유닛의 공격AI가 좋아져서 질럿 하나에 10기의 공성전차가 포격하는 일이 없어졌습니다.
  딱 유닛이 죽을 만큼의 공성전차만이 포격하기에 죽은 유닛 또 때리는 경우가 없습니다.

: 토르가 추가되었습니다. 400의 체력, 300/200의 가격, 6의 인구수를 차지하는 거대로봇병기입니다. 무기고(아머리)를 요구합니다.
  경장갑 공중유닛에게 강력한 스플래쉬 공격을 합니다.
  지상공격력도 강력하고, 특수 기술인 250mm 포를 업그레이드로 사용가능합니다.
  250mm 포는 시전한 상대 1기를 스턴걸고 500의 데미지를 약 10초에 걸쳐서 줍니다. 시전하는 동안 토르도 다른 행동은 못합니다.
  강한 체력을 가졌기에 초반에 빠르게 생산하여 토르 탱, 건설로봇 힐, 해병 딜이라는 전술(일명 건담테란)로 활용되거나,
  우월한 사거리와 스플래쉬를 가진 공중공격으로 대 뮤탈 방어용으로 사용됩니다.

: 군수공장은 특히 우주공항의 애드온셔틀로 자주 이용되며 애드온 셔틀 이후 날려서 정찰용으로 써먹기도... 합니다. 일명 감시공장.


공학연구소(엔지니어링 베이)
: 공학연구소는 더이상 띄울 수 없습니다.
  공학연구소에서는 바이오닉 유닛의 공업, 방업, 미사일포탑(터렛) 등의 사정거리 업그레이드(사거리+1), 테란 건물 방어력 업그레이드(방어력+2),
  벙커 수용인원 증가 업그레이드(4칸 > 6칸)가 가능합니다.
  
  공학연구소를 건설 시 방어건물 3종 세트인 미사일포탑(터렛), 감시탑, 행성요새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미사일 포탑은 이제 100의 미네랄을 요구하며 전작의 10+10 형태의 공격에서 유닛 종류 불문하고 12x2의 강한 데미지를 줍니다.
  공격속도는 여전하기에 뮤탈 등을 상대로 굉장히 강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감시탑은 125/100의 자원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건설시 꽤나 넓은 범위의 적을 '감지'해 줍니다.
  보이는 건 아니고, 감시탑의 범위 내지만 시야가 없는 곳에 적이 있을 시, 미니맵에 적이 점으로 표현되며 화면 상에서도 빨간색 느낌표로 표시됩니다.
  드랍 등을 미리 대비하거나, 센터에서 적의 움직임을 미리 파악하는 용도로 쓰입니다.


우주공항(스타포트)
: 전작에서는 드랍쉽, 사이언스 베슬 등의 유닛 생산으로 전투 보조 유닛을 생산하는 기지였지만 스타2에서는 그 중요도가 더욱 올라갔습니다.
  기본유닛 : 의료선, 바이킹

: 의료선이 추가되었습니다. 100/100/2 의 생산비용을 가지고, 드랍쉽과 메딕이 합쳐진 형태입니다.
  바이오닉과 함께 조합하여 정면 힘싸움에도 도움을 주고 견제해도 도움을 주는 효자유닛입니다.

: 바이킹이 추가되었습니다. 150/75/2의 생산비용을 가지며 중장갑 공중유닛에게 강합니다. 공대공유닛중 가장 긴 9의 사거리를 가지며
  돌격모드로 변신할 수 있습니다.
  전투기모드 시에는 날아다니는 골리앗(대공만 가능), 돌격모드 시에는 걸어다니는 골리앗(지대지만 가능) 정도의 스펙을 가졌습니다.

: 벤쉬가 추가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스타2 최고의 사기유닛이며, 150/100/3 의 생산비용과 긴 생산시간을 가집니다.
  공대지 공격만 가능하지만 12x2 = 24 라는 무시무시한 공격력을 가지고 있는데다 기술실에서 200/200의 비용으로 은폐(클로킹)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 밤까마귀(영문이름 Raven: 큰 까마귀)가 추가되었습니다. 전작의 사이언스 베슬을 대체하는 유닛으로 디텍팅 기능을 가집니다.
  밤까마귀는 총 3가지의 마법을 가집니다.

  1. 첫 번째는 50의 마나를 소모해 사용하는 자동 포탑입니다. 해병 정도의 화력에 150의 체력을 가집니다. 활용도가 높지는 않습니다.

  2. 두 번째 마법은 국지방어기입니다. 마나 100을 소모하여 200의 마나를 가지는 국지방어기를 소환합니다.
      국지방어기는 미국의 미사일 디펜스 시스템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 같은 건물로, 레이저를 이용해 마나 10당 상대의 미사일형 공격 1번을
      무력화 시킵니다.
      전투 시에 소환하면 20번의 미사일 공격을 막아줍니다. 해병과 같은 인스턴트형 공격은 막아 주지 못합니다.
       (해병이 쏘는게 총알이 아니었나?)

  3. 세 번째 마법은 추적미사일로 기술실에서 업그레이드 후 사용가능합니다.
      125의 마나를 소모하여 타겟팅한 적을 추적하는 미사일을 발사합니다.  
      적중 시 100의 데미지와 주변에 방사피해를 줍니다만, 타겟팅 된 적이 도망갈 경우 무효화 되기에 활용도가 높지 못한 편입니다.

  전작의 베슬과 달리 밤까마귀는 저그전보다 토스전에서 유용하게 쓰입니다. 특히 국지방어기는 -_-b.

: 전투순양함(배틀크루져) 가 변경되었습니다. 융합로 건설시 생산가능하며 야마토포 등 전투순양함 관련 업그레이드 또한 우주공항 기술실이 아닌
  융합로에서 하게 됩니다.
  전작 25의 공격력에서 공대공 6, 공대지 8의 레이저빔을 매우 빠르게 발사합니다. 야마토포는 동일합니다.


기타
- 보급고(서플라이 디팟) : 보급고를 땅속에 넣거나, 다시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 각 건물마다 좌, 우, 상, 하의 빈칸 크기가 다른 스타1과 달리, 모든 건물은 붙여지을 경우 유닛이 통과하지 못하기에 심시티가 상대적으로 편합니다.
  (대각으로 붙여지으면 붙은게 아니라서 거대 유닛을 제외하면 대부분 통과됩니다.)

- 건설로봇의 수리(리페어) 등과 같은 몇몇 스킬의 경우, 스킬에 우클릭을 하여 오토캐스팅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수리를 오토 캐스팅으로 설정하면 자동으로 근처의 메카닉 유닛을 수리합니다.
  프로토스 유닛이나 건물도 수리가능합니다. (쉴드는 당연히 수리불가)

- 테란 방어의 상징, 벙커의 경우 100의 미네랄과 게임시간 35초의 건설시간을 가지며, 건설 완료 시 '회수'가 가능합니다.
  회수 시 미네랄 100을 그대로 돌려받습니다.

아래는 스크린샷입니다.

<건물 사진>

왼쪽 위부터 감시탑, 벙커, 융합로, 무기고(아머리), 유령사관학교

미사일 포탑, 엔지니어링 베이, 우주공항(기술실) 군수공장(반응로), 병영

보급고, 추가보급고 투하된 보급고, 행성요새, 궤도사령부, 사령부 입니다.



의도치 않고 찍은거지만, 왼쪽 하단에 건설로봇 그림이 나오고 12라고 적혀있는 것은 놀고 있는 일꾼이 12마리가 있다는 겁니다.

F1을 누르면 그 중 한마리가 선택되며 Ctrl+ F1 을 누르면 놀고 있는 일꾼 전체가 선택됩니다.


<유닛 사진>

왼쪽위부터 국지방어기, 밤까마귀, 의료선, 벤쉬, 바이킹(전투기모드), 바이킹(돌격모드)

자동포탑, 토르, 공성전차(공성모드), 공성전차(전차모드(?)), 화염차

전투순양함, 유령, 사신, 불곰, 해병, 건설로봇 입니다.




<벤쉬 확대 사진>

마지막 짤은 제가 너무나 좋아하는 벤쉬의 확대샷! 입니다. 상어의 이빨을 가지고 있죠. 가서 물어 뜯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성유리
10/10/29 01:30
수정 아이콘
와.. 정말 대단 하시네요.. 저그도 빨리 올려주세요
zephyrus
10/10/29 01:45
수정 아이콘
추가.

본진 사령부에는 5기의 SCV를 태울 수 있습니다. 섬으로 날아갈 때 태워서 이동할 수 있죠.
궤도사령부로 업그레이드 시 SCV를 태울 수 없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공중으로 띄워서 이동이 가능합니다.
행성 요새로 업그레이드 시에는 더 이상 띄울 수 없습니다.
장난감
10/10/29 01:48
수정 아이콘
사신의 리퍼는 그 자체가 '사신'이라는 뜻입니다.. 강습병은 알파떄 정보공개되면서 현지화로 번역되었던 유닛명이구요..
쇼미더머니
10/10/29 01:40
수정 아이콘
화염차 기술실에서 업그레이드 가능한 지옥불이 있고,
벙커를 짓고 난후, 나중에 다시 회수해서 자원으로 바꿀수 있습니다.
사신의 경우 건물을 상대로 강력한 공격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건설로봇의 수리를 자동으로 전환할수 있습니다.
팀플시 테란은 플토의 기계유닛과 건물(이건 안해봤는데)을 수리할수 있습니다. 등등 생각나는게 있네요
10/10/29 01:52
수정 아이콘
일꾼은 원래 다들 5 아니었나요?
장난감
10/10/29 01:52
수정 아이콘
추가.
공학연구소의 포탑사정거리 업글, 건물 방어력업글은 밤까마귀의 자동포탑에도 적용이 됩니다
10/10/29 01:54
수정 아이콘
저도 몇가지 추가합니다.

일단 기본적인 정보를 얻는 곳부터 소개해드립니다.
http://kr.battle.net/sc2/ko/game/

여기를 보면 건물 테크트리 비롯해서 모든 유닛들 설명이 기본적으로 그림과 더불어 되어 있습니다.
방송을 보고 이해하기 매우 좋습니다.

----------------------------------

추가건물에 대해서: 기술실과 반응로.

불곰, 사신, 유령은 모두 기술실이 달려있어야 생산이 가능합니다. 그냥 병영 상태에서는 해병밖에 생산 못합니다.

반응로는 한가지 유닛을 한꺼번에 2기씩 생산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
반응로를 지으면 2기씩 생산하는 유닛은,
병영은 해병, 군수공장은 화염차, 우주공항은 바이킹, 의료선 입니다. 이외의 유닛은 반응로를 달아도 2기씩 생산이 불가능합니다.

즉 테란이 5병영 체제에, 3개는 반응로가 달리고, 2개는 기술실이 달렸다고 합시다.
이렇게 되면 한방에 생산할 수 있는 테란 바이오닉은 2불곰+6해병입니다. 덧붙여 여기에 우주공항에 반응로가 달리면,
한번에 의료선을 두기씩 뽑거나, 바이킹을 두기씩 뽑죠.
즉 프로토스의 병력을 상대로 바이오닉을 구성할때는 반응로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한번에 2기씩 바이킹을 뽑아내니까요.

또한, 모든 부속건물은 호환이 됩니다.
즉 병영에 지은 기술실은 군수공장에 끼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는 적의 기술실을 내 병영에 끼우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방송에서 그래서 생산건물끼리 스위치가 종종 보이는거죠.
기술실 가격은 50/25, 반응로는 50/50이라 가스를 조금이라도 절약하기 위해 스위치를 많이 합니다.


이건 테란만 그런게 아닙니다.
저그는 애벌레 펌핑이 있고, 프토는 차원관문과 시간증폭이 있죠. 즉 모든 종족 고유의 병력폭발 방법이 있습니다.
테란도 반응로 때문에 병력이 한방에 많이 쏟아져 낼수가 있죠.
즉 이윤열 선수의 경우 그 만은 해병 개떼가 가능한 것은 반응로 때문입니다.
(물론 그와 동시에 개떼 탱크까지 나오는 건 좀 이해불가)
성유리
10/10/29 01:52
수정 아이콘
추적미사일에 대해서 추가하자면 클로즈 베타 시절에 칼질이 들어가서 사용을 잘 안하게 된 경우 입니다.
원래는 융합로에서 업그레이드를 하게 되어 있었지만 기술실로 오게 되면서 밤까마귀가 추적 미사일을 사용할수 있는 사거리가
감소 하게 되었습니다. 정확한 사거리는 잘 모르겠지만.. 클베 시절 한창 추적 미사일이 유행할 당시에는..
밤까마귀가 먼 거리에서 추적미사일을 다수 사용하여 적의 유닛을 효율적으로 공격할수 있었지만..
패치 이후에 사용할수 있는 사거리가 감소 하면서 사용 빈도수가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즉.. 함부로 추적미사일 사용하려고 했다가는 밤까마귀만 조공하는 경우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타겟팅 된 적이 도망갈 경우 무효화 되기에 활용도가 높지 못한 편입니다." 이말은 조금 아닌것 같네요
다수가 부대지정 되어 있는데 타겟팅 된 유닛을 빼기란 정말로 쉽지가 않습니다. 그리고 타겟팅 된 유닛이
속도가 빨라야 날아오는 추적 미사일 피할수 있습니다. 속도가 느린 유닛은 그냥 맞아 죽습니다..
즉 추적미사일은 타겟팅이 일정 사정거리 이상 벗어나야 무효화가 됩니다.
흐미미쵸
10/10/29 01:57
수정 아이콘
스타2에서 스캔사용은 스타1에 비해 상당히 신중히 써야합니다. 스캔의 1회 사용은 지게로봇 하나를 포기하는 겁니다.
즉 스캔1회 사용값은 미네랄 270입니다.

스2에서는 미네랄을 5씩 캐고 스1에서는 미네랄을 7씩 캐지만.. 스2나 스1의 미네랄 채취효율은 같습니다.(채취 시간이 스2가 짧음)
스2는 5초만에 미네랄을 캐고, 스1은 7초. 일꾼은 초당 1씩 미네랄을 캐고 있는 겁니다.

적이 처들어와서 일꾼 4마리랑 광전사랑 같이 30초간 방어했다면 4*30= 120 미네랄을 캐지 못한 것이 됩니다.
손해를본건지 아닌지 쉽게 계산이 가능해요. 일꾼 15기 가지고 수비하고 있으면 미네랄 초당 15씩 손해보고 있는 거지요.
정형돈
10/10/29 02:17
수정 아이콘
예전에 pgr에서 본 국지방어기 설명이 생각나네요.
탕! 슉~ 퍽! 은 막아주고
탕! 퍽! 은 그대로 데미지가 들어온다는 그 설명..
세잎클로버
10/10/29 03:38
수정 아이콘
이렇게 자세하게 정리해 놓으시다니 좋네요 정성이 느껴집니다 ^^
좀참자
10/10/29 07:12
수정 아이콘
좋은글 감사합니다. [m]
마이러버찐
10/10/29 09:37
수정 아이콘
마지막짤
'엔진소리 죽이는데 ~ !!'
10/10/29 09:44
수정 아이콘
테란 최고 몸짱이신 밴쉬 누님 초상화도 실었으면 더 좋았을것 같네요[응??????]
PGR끊고싶다
10/10/29 09:55
수정 아이콘
벤시가 이빨을가지고있는건 처음알았네요.크
RealWorlD
10/10/29 10:03
수정 아이콘
사신 - 경장갑(소형유닛)에 강한 면모를 보이지만 낮은 체력으로 현재는 언덕 뛰어넘기를 이용한 상대 일꾼 견제, 정찰의 역할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신은 이외에 유닛공격은 만만한 공격력인데 건물때릴때 공격력이 30인가 그렇습니다. 건물때리기 좋은 유닛이죠(폭탄같은 미사일 던짐)
RealWorlD
10/10/29 10:14
수정 아이콘
벙커 회수시 100원으로 그대로 환급받는것은 레알 사기입니다 90원으로 환급받아도 사기일까말깐데-_-;

그리고 저도 벤시가 이빨가지고있는거 첨알았네요 크크 (아물론 스타2 오늘처음해봤지만 크크)
RealWorlD
10/10/29 10:23
수정 아이콘
그리고 유닛간 상성이나 건물,업글,고급유닛 등
태크트리가 보고싶으시면 스타크래프트2 홈페이지가시면 태크트리그림까지 자세히있어염
그..후..
10/10/30 00:47
수정 아이콘
팩키지 구입후 한달동안 드문 드문 캠페인 완료한 유저로써 굉장히 고마운 글입니다..
너무 감사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댓글잠금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377224 0
공지 게임게시판 운영위원회 신설 및 게임게시판 임시규정 공지(16.6.16) [3] 노틸러스 15/08/31 447808 4
공지 공지사항 - 게시판 글쓰기를 위한 안내 [29] 항즐이 03/10/05 610884 13
79799 [기타] EWC 중계권 소식 [2] Rated306 24/06/29 306 1
79798 [LOL] 데프트의 6분 젠지론 [23] Leeka3580 24/06/29 3580 4
79797 [LOL] 악당 출현! 티원 홈에 케이티의 깃발을 휘날리다 [241] Leeka8217 24/06/29 8217 15
79796 [PC] (스포)엘든링 dlc 후기 [11] 타시터스킬고어1645 24/06/29 1645 1
79795 [LOL] 사우디컵은 14.13으로 진행됩니다 [27] Leeka3943 24/06/29 3943 2
79794 [스타1] (종합) 2024년 상반기 스타크래프트 방송 결산 [5] 김재규열사3387 24/06/29 3387 4
79793 [LOL] 젠지 올해 성적에 따른 역체xx 변화 [77] 잘생김용현6418 24/06/28 6418 1
79792 [LOL] 젠지, 서머 최단시간 기록 갱신과 함께 사우디컵 휴식기 전 전승 달성 [32] Leeka5577 24/06/28 5577 0
79791 [LOL] e스포츠팀 마케팅에서 T1홈그라운드가 가지는 의미 [17] 노틸러스4889 24/06/28 4889 8
79790 [LOL] T1 홈 그라운드의 묘미. 치어리더 대전 [51] SAS Tony Parker 7396 24/06/28 7396 2
79789 [LOL] T1 홈그라운드 관련 E스포츠 공정위 문의 결과 [101] Leeka7603 24/06/28 7603 1
79788 [LOL] 정부, e스포츠 토토 부정적 입장 전달 [26] 종말메이커7442 24/06/28 7442 6
79787 [모바일] 이번 여름은 설산이다.. (명조 1.1업데이트 승소산에서 울렸던 경칩 소리) [22] 대장햄토리2932 24/06/28 2932 0
79786 [스타2] 이스포츠 역사에 남은 짤이 1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12] MiracleKid4140 24/06/28 4140 8
79785 [LOL] 재미로 보는 젠지 경기를 제외한 픽들의 승률 [21] Leeka3861 24/06/27 3861 3
79784 [LOL] EWC 한국어중계 중계진이 확정되었습니다. [70] Rated8368 24/06/26 8368 9
79783 [LOL] 타도 젠지를 잠시나마 꿈꾸게 해준 한화생명. 고생했다 [156] Leeka12810 24/06/26 12810 4
79782 [LOL] 사우디컵 아프리카 뷰잉파티 상세 안내문 [5] 매번같은5750 24/06/26 5750 1
79781 [LOL] SOOP ( 아프리카 tv ) EWC 중계합니다 치지직은 중계 x [25] Rated5408 24/06/26 5408 2
79780 [LOL] 현 시점 기준 사우디컵 우승 배당 & 8강 매치 배당 [15] Leeka5685 24/06/26 568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