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07/04/15 22:51:51
Name 붉은낙타
Subject 한국,유럽,중국,기타.. 워3 수준?
워3 를 하는 세계(?)는 아마 한국,중국,유럽 크게 3지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3지역간에 격차와 순위에 대해선, 예전부터 많은 논란이 있었죠.

기타 지역도 있긴 하다만.. 크게 두각을 보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여튼, 이 3지역간에 순위를 매겨본다면..

개인적으로 장재호를 필두로한 나엘라인과 6언데 라인을 확보한 한국이 최강이라고 합니다.(개인적인 것도 있지만, 객관적으로 말이죠.)

그리고 2순위를 보자면.. 유럽으로 볼 수 있는데..

일단, 유럽의 최고의 팀... 4Kings의 주축 멤버인 토드와 굴비가 있는 유럽이 2위라고 생각합니다.

최근에는 토드와 굴비가 분위기가 별로 안좋지만.. 여러 유럽선수들이 꾸준한 성적을 내주고 있기 때문인지라..


3위는 중국이죠..

솔직히 중국은 단박에 1위로 치고 올라 올 수 있는 기량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Star War 에서 봤는데.. 종족 분포가 휴먼이 압도적이더군요;;

하지만, 시간이 갈 수록 휴먼을 제외한 타 종족의 비율이 높아지면..

중국의 워3 유저의 숫자를 감안 했을떈.. 앞으로 정말 두려워 해야 될 상대는 중국이 아닐까 합니다.

또 모르죠.. 스카이 이상의 선수가 나올지도.. (갠적으로 영삼이하고 인피 기대중!!)

나름대로 허접한 분석이였는데..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워크초짜
07/04/15 22:5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팀배틀 형식으로 치러지면 다른 것은 몰라도, 중국과 유럽간의 경기에서 중국이 이길 수 있을 것 같네요........

스카이 원맨쇼로.....................
DeepImpact
07/04/15 23:21
수정 아이콘
한국 = 유럽 > 중국
07/04/15 23:26
수정 아이콘
원래 한국과 유럽이 양분하던 워3계에 중국이 급부상하면서

한국 유럽 중국이 삼분하고 있는 상황인데...

위에분 말처럼 지금은 중국보다는 한국이나 유럽이 더 강한선수가

많다고 생각하는데... 잠재력은 중국이 더 높다고 보기때문에

차후에는 중국이 가장 앞서 나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추측해봅니다;;
07/04/15 23:45
수정 아이콘
유럽 vs 아시아 뭐 이렇게 지역별로나눠지지 않는 이유가
한국이 독보적이기 때문이죠
토드가 있는 프랑스, 굴비가 있는 네덜란드 등유럽국가를 다합쳐도 한국이라는 만만치 않죠
개인적으로는 한국>유럽>중국순일거 같습니다
앞으로 발전 가능성은 중국이 최고겠죠
앞으로 보다많은 중국의 개개인들이 컴퓨터를 보유할수 있게 되면 무시무시 할거 같은데요
아침해쌀
07/04/15 23:50
수정 아이콘
영삼이
07/04/16 00:06
수정 아이콘
저도 개인적으로는 한국 > 유럽 > 중국인거같네요..
한국 > 유럽 + 중국 까지도 가능할듯.. 중국에서는 머 스카이빼고는 없으니..
07/04/16 01:22
수정 아이콘
초 s급 선수는 우리나라가 더많지만 그냥 잘하는선수들로 치면 중국이 많죠
찡하니
07/04/16 02:30
수정 아이콘
토드나 굴비의 실력이 예전만 못하고 중국의 잘하는 선수가 늘어나면서 모르겠네요.
한국 휴먼 부활해라 얍!
하만™
07/04/16 03:07
수정 아이콘
그냥 잘하는선수도 우리나라가 뒤진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우리나라의 각클랜의 고수분들도 뛰어난 실력을 가지고있고
(이분들이 베넷에서 프로들과 경기해서 이긴적도 많죠)
대부분의 유럽팀에서 에이스로 한국선수를 보유하고있는것만 봐도
적어도 아직까지는 한국이 독보적이라고 생각됩니다.
Paisano5
07/04/16 03:19
수정 아이콘
지역 인구수에 비하면 한국은 정말 대단한 나라입니다..
역시 대한민국 국민이라는게 자랑스러울뿐..^^
찡하니
07/04/16 03:21
수정 아이콘
요 조그만 나라에서 유럽과 중국과 맞장뜨고도 남을 수 있다는건 정말 대단
하하하
07/04/16 11:05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지금까지는 최강이죠 -_-)b
하지만 문제는 얇은 선수층이죠. 저번에 영삼이 리플중에 옵하던 노재욱선수가 했던말중에 "우리는 우리끼리 하는데 중국은 이런애도 나온다고" 던가 비슷한 말씀을 하셨던...
다시 워3이 부흥기를 맞아서 우리나라도 선수층마져 두꺼워 지면 좋겠어요
07/04/16 11:05
수정 아이콘
그런점도 있지만 한국만큼 게임하기 최적화된 나라가 없습니다
스타에 비해 워크를 많이 안쳐주는건 사실입니다만
회선의 속보/성능비 가격이라던가, 게임방송 문화라던가
개개인 PC보급률 그리고 게임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등등이
아주 최적화 되어있죠
중국인 친구에게 전해들은 말로는 중국쪽 PC보급률은 안습이거든요
중국은 워크랑 스타가 거의같은 시간대에 붐을 이루웠는데 이유는 워3 나온 이후에야 어느정도 PC가 보급이 되어서라고 들었습니다
많이 보급되어 봤자 중국 청소년 20중 1명꼴도 안되겠지만요
대신 프로게이머들의 대한 국가적 대우가 좋다고 들었습니다

유럽쪽은 많이 양호하겠지만 한국처럼 겜방이 많은것도 아니고
프로게이머를 목표로 게임만 전념하기보다 취미로 병행해야하는 분위기라... 상금좀 많이 타고나면 이해해 주시려나
초보저그
07/04/16 11:05
수정 아이콘
프로게이머들 실력이나 초고수층의 실력으로 본다면 아직 우리나라가 워3 최강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인구대비로 작은 나라 하나가 중국이나 전 유럽에 맞먹을 만큼 실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도 대단합니다. 중국이 우리나라를 넘어설 수 있는 잠재능력을 갖고 있는데, 실제로 실현될 지는 모르겠습니다. 중국이 우리나라를 넘어선다면 군대에 가야하는 우리나라 현 프로게이머층이 은퇴하고 신규유저 유입이 없어서 그 뒤를 이을 초고수층이 없어서 중국이 앞지를 가능성이 큽니다. 하여튼 이번 스타워즈가 한, 중, 유럽 실력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해봅니다. 그 어느 때보다도 스타워즈에 초청된 한국 선수들이 장재호 선수를 비롯해서 분위기가 굉장히 좋고, 예선전에서 올라오는 선수들도 나름대로 최근 포스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큰 이변이 없다면 한국이 압승할거라고 생각합니다.
07/04/16 11:12
수정 아이콘
압승은 힘들 것입니다. 저도 이번 스타즈워를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는데, 작년 스타즈 워 때보다 중국이 더 강해졌습니다.

스카이 원맨쇼로 유럽을 이겼던 작년과 달리 이번 시즌엔 더 탄탄한 전력으로 유럽과 상대할 것으로 보입니다. 오히려 지금 유럽이 한국을 못따라오고 있는 것 같고, 한국이 중국과 상대한다면...우세는 점쳐지지만 압승까지 보기에는 힘들지 않나, 하고 전망합니다.
07/04/16 12:17
수정 아이콘
바둑을 생각해보세요 :)
루크레티아
07/04/16 19:34
수정 아이콘
그래도 아직까진...앞으로 적어도 3년은 워3의 주도권을 한국이 쥐고 있을 것 같습니다.
단...워3도 공군처럼 게임단이 생긴다는 전제조건 하에 말이죠 -_-;;
07/04/16 23:20
수정 아이콘
하지만 필연적으로 우리나라는 중국에게 밀릴거라고 봅니다. 지금의 슈퍼스타들에겐 군복무의 문제가 남아 있고, 중국은 워낙 인재풀이 넓은 곳이기 때문이죠.
누리군™
07/04/17 09:37
수정 아이콘
선수층이 얇다는게.. 현재는 몰라도 앞으로 문제가 될 듯합니다.
새로 유입된 워3 선수가 그나마 소주 선수, 샤이 선수, 최근에 wNv.Soccer(윤덕만 선숟던가요?) 정도 밖에 안되고 나머지 보이는 선수들은 오리지널이나 프로즌 초기부터 보이던 선수들이라..(물론 실력이야 최강이지만) 새 게이머 유입이 거의 없다는게 문제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980 [WC3L XI] mouz vs NoA (오루 11시30분) [1] 우리동네안드1900 07/04/17 1900
1979 [소식]MaDFroG 되돌아오다. [5] 우리동네안드2199 07/04/17 2199
1978 일본에서 워크레프트3를 만들었을 경우 by 구리박 [12] 우리동네안드3979 07/04/16 3979
1977 [소식] triMble Fnatic떠나다. [2] 우리동네안드1969 07/04/16 1969
1976 한국,유럽,중국,기타.. 워3 수준? [19] 붉은낙타4020 07/04/15 4020
1975 [Incup] #2 Spring Season 2007(오후9시) [5] 우리동네안드2174 07/04/15 2174
1974 [소식] ReMinD 인터뷰 [3] 우리동네안드2180 07/04/15 2180
1973 [StarsWar IV] 한국예선 8강 [3] 우리동네안드1959 07/04/15 1959
1972 [NGL S3] 4k vs mouz(새벽0시) MYM vs Prae(새벽0시) [1] 우리동네안드1950 07/04/15 1950
1971 2가지 잡다한 질문들 [3] 불타는부채꼴2212 07/04/14 2212
1970 워갤눈팅 3개월하면서 느낀 워갤의 분위기 by 구리박 [24] 우리동네안드4035 07/04/14 4035
1969 [WC3L XI] wNv vs WE.IGE(오후9시)Kow4 vs MYM(오후11시)prae vs sCt(새벽 3시) [2] 우리동네안드2057 07/04/14 2057
1968 [NGL S3] Fnatic vs NoA(오후10시) WE.IGE vs sCt(새벽0시) SK vs Tek(새벽3시) [2] 우리동네안드1927 07/04/14 1927
1967 [소식] mouz 중국으로 확장 [2] 우리동네안드1916 07/04/14 1916
1966 팀플 전략을 알려주십시오 ~ [6] 지하생활자2480 07/04/14 2480
1965 [소식] 밝혀진 Season 4의 최고 선수 [4] 우리동네안드2253 07/04/13 2253
1963 [소식] StarWar IV 중국 예선 발표 [9] 우리동네안드2404 07/04/12 2404
1962 [WC3L XI] SK vs WE.Just.Int(새벽 2시 15분) 우리동네안드1933 07/04/12 1933
1959 [소식] StarsWar IV : 초대된선수들 [8] 우리동네안드2642 07/04/11 2642
1958 [소식] Kings of WarCraft 3는 두선수를 잃었다. [4] 우리동네안드3058 07/04/11 3058
1957 [WC3L XI] WE.IGE vs mouz MYM vs Prae(오후 11시부터) [1] 우리동네안드1996 07/04/11 1996
1956 W3, 2007 - Season 3 출전 선수, 일정 [18] kimbilly3051 07/04/10 3051
1955 [소식] 충격과 공포의 영삼이 wNv.TH000 인터뷰 [13] 우리동네안드3199 07/04/10 319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