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Date 2010/10/24 00:16:43
Name 빼꼼후다닥
Subject 팀플하면서 느끼고 있는 것.

음 오늘은... 나름 다른 분들도 공감될 수 있는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오늘의 주제는 초보부터 고수까지의 모습이랄까요? 사실 저는 그 중간 쯤에 해당된다고 믿고 있지만 그래도 이야기나 누구든지 해볼 수 있으니까요. 아이디가 특이해서 가끔 pgr 분들하고 레더를 만나면 알아보셔서 깜짝 놀랍니다. 역시 아이디는 독특하고 볼 일입니다. (그래서 여성 팬을 얻은 과일 장수를 보시라...)

아무튼 첫번째 단계는 단정 짓기입니다. 저도 자신감에 넘칠 때마다 하는 행동이며, 대부분의 초보가 저지르는 행동이죠. 무슨 빌드를 가든, 상대가 뭘 하는지 관심이 없죠. 나름 정찰 중독이란 글까지 썼던 탓에 팀플레이 프로토스로 불사조나 환상까지 뜨워가며 정찰하고 있어서 요즘은 좀 덜하긴 합니다만... 정말 다 이긴 것 같은데 이미 다 캐내고 바닥을 보이는 풍부한 광물로 뽐아져 나오는 적 병력을 보면 '아!'란 말이 절로 나오지요. 결국 이 단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정찰 부재입니다.

그 다음 단계는 봤으니 단정 짓기입니다. 이 단계의 가장 큰 문제는 정찰을 하지만, 초반 이후로는 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이게 얼마나 치명적이라면, 결국 궤도 사령부에서 굳이 지게로봇을 투하하지 않을 정도, 관측선을 뽑을 때까지, 감시군주가 나올 때까지의 시간까지 적진에 대한 정찰이 완전히 차단된다는 점입니다. 결국 흔히 말하는 날빌이 이 시간 쯤에 결정난다는 걸 생각하면 조금 꾸준하고 부지런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은 보고 나서 단정 짓기입니다. 윗 단계와 뭐가 다르냐면 흔히 말하는 몰래 건물에 대한 안일함입니다. 본진만 정찰하면 됐지, 한 진영만 정찰했으니 내 몫은 끝났어 등을 들 수 있겠고 아무리 팀플레이 전적이 좋고, 자신 있어 하는 유저라도 세 진영 모두 정찰할 생각을 품지 않습니다. 하기도 힘들고요. 결국 대부분 저그의 대군주에게 이 책임이 이양되곤 하는데 바람직하진 않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는 안 봐도 파악하기입니다. 가장 휼륭한 유저분들이며, 스타2 레더 내에서도 높은 순위를 달리는 '고수'들입니다. 대충 안 봐도 뭘 할지 예상하며, 최소한의 움직임만으로 파악하려 하며, 가장 최적화된 형태로 이끌어나가는 분들입니다. 팀플레이시 같은 편이라면 크게 안심이 되는 존재들이며, 반대로 적이면 무서운 존재들이죠.

결국 예전처럼 늘상 강조하는 것이지만, 정찰은 꼭 해줘야 합니다. 상대 부화장에 애벌레가 몇마리 남았는지, 뭘 뽑았는지, 병영에 달리는 것은 기술실인지, 반응로인지, 시간 증폭은 어느 건물에 걸어줬는지 아는 것은 정말 반쯤은 이기고 들어가는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요즘 빠른 번식지를 가자마자, 감시군주보단 대군주&감시군주 이동 속도 증가 연구를 늘려주는데, 시간상으로는 조금 뒤쳐지긴 하지만 감시군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는 유저들이라면 이 쪽이 더 효율적인 것 같습니다. 단점은 밴시나 암흑기사에 위험하다는 점인데, 이건 뭐 지상 병력으로 상대 병력 파악하는게 우선이니까요.

또 요즘 프로토스가 팀플레이에서 각광 받으면서 광자포 러쉬가 대세가 되었습니다. 찜찜하다 또는 운영으로는 내가 이길 수 있다라고 판단되면 첫 수정탑, 추가 대군주, 보급고 완성 전 쯤에 앞당겨서 정찰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미리 본진 주변 정찰해주는 것도 좋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0/10/24 00:49
수정 아이콘
요즘은 1:1에서도 캐논러쉬하시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성공 후 앞마당 먹기가 수월해서 인지..
입구막고 캐논, 스1의 광전사캐논러쉬(GSL에서 정민수선수가 했었나요?델타사분면에서..), 맵지형을 활용한 캐논심시티 등등..

저그입장에서 막는 법이 익숙해 지니 그저 감사할 뿐입니다..흐흐....
10/10/24 01:09
수정 아이콘
4:4무작위 400게임정도 하면서 1300점 조금 넘게 찍었는데요.
고수2+하수2 vs 중수4가 붙으면 중수4가 이길확률이 훨씬 높은거 같아요.

결론은 4:4무작위는 3인파티가 진리.. 크크
달과바다
10/10/24 03:45
수정 아이콘
제 경험으로는 오히려 광자포 러쉬가 줄어든 것 같은데요. 워낙 할게 없었기 때문에 어쩔수없이 광자포를 갔다면 요즘에는 그럴 필요가 없어서....

랜덤을 주로 하는데 패치이전에는 토스만 나오면 털려서 토스 고수분은 어떻게 하나 유심히 봤거든요. 토스로 팀플 500승이상 찍은 분들은 거의 대부분 광자포 러쉬를 깔끔하게 성공시키고 다크, 혹은 공허로 전략적인 선택을 많이 하더군요. 그래서 저도 3:3 맵 뒤져서 광자포 포인트를 열심히 체크하고 개발도 하고 했습니다만....바로 패치.... 그래도 잘 써먹고 있습니다. 광자포러쉬도 프로토스한테만 먹힌다는게 좀 문제긴하지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스타2 게시판 규정 : 10줄 준수 부탁 드립니다. [2] Toby 10/08/08 24542
2753 테니스) 조코비치 US 오픈 우승! [7] 사상의 지평선21862 18/09/10 21862
2752 스타2는 요즘 잠잠하는 느낌이네요04-2-2018 19:17:10.499 Zynga21842 18/02/04 21842
2751 [배그] KSV_NTT 벤츠의 APL 본선 리뷰 [3] Archer23161 17/12/13 23161
2740 철권 7 PS4판 구형 컨트롤러(PS3 스틱) 지원 + 다이렉트 게임즈 철권7 예판 개시 [22] 레이오네31123 17/05/11 31123
2739 오늘 이승원 해설이 스타2 방송에 출연합니다. [1] 엄마,아빠 사랑해요38227 11/07/02 38227
2738 오는 7월 5일 시즌2 승급마감 -> 19일 시즌3 시작 [1] 엄마,아빠 사랑해요28124 11/07/02 28124
2735 스타2 게시판이 없어진건가요? [2] 플루토아톰31246 11/06/22 31246
2734 [PvT]노관문더블 [2] nameless..29198 11/06/15 29198
2733 테란의 비정상적인 강세의 이유 [22] Optus33797 11/06/15 33797
2732 TvZ] 해탱 정석으로 쓸만한 빌드입니다. [4] 스카이바람36506 11/06/15 36506
2729 [유즈맵소개]스매쉬 크래프트 [5] 엄마,아빠 사랑해요36349 11/06/14 36349
2728 맵핵 사용자가 많나요? [16] 형님37586 11/06/13 37586
2727 슈퍼tm 4테란의 위엄, 원인이 무엇인가요??? [28] 사람two36799 11/06/13 36799
2726 [Mixing Texture Set] [16] winpark36787 11/06/12 36787
2725 군단의 심장 미리보기 [19] 김연우39366 11/06/07 39366
2724 가면 갈 수록 거신이 불필요하게 느껴집니다. [16] nameless..40590 11/06/07 40590
2723 오늘 새벽 마무리 된 MLG 콜럼버스 대회 한국선수 리플레이입니다. [4] GODFlash37385 11/06/06 37385
2722 TvZ] 밤까더블 리플레이 [6] azurespace35593 11/06/06 35593
2721 팀플레이는 랜덤만 추구합니다. (도움요청글) [13] RookieKid35411 11/06/04 35411
2720 간단한 팀플레이 팁들 (2) [8] kkong37672 11/06/03 37672
2719 스타2의 재미를 맛 보지 못하고 입대합니다. [31] Rukawa37869 11/06/01 37869
2718 군단의 심장 스크린샷 공개 [20] 빌리헤링턴40575 11/05/31 405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