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9/18 11:33:13
Name 전기쥐
Link #1 국민일보, TV데일리, 아시아경제, 일간스포츠, 뉴스1
Subject [연예] 연예계 1인 기획사 미등록 운영 관련 이슈가 있네요.
성시경·옥주현 적발에…문체부, ‘기획사 등록’ 계도기간 운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803099?sid=103

성시경 사무실 가보니 세무회계소, 기획사 간판 없었다 [TD현장]
https://www.tvdaily.co.kr/read.php3?aid=17580802141763509002

성시경·옥주현 적발에…문체부, ‘기획사 등록’ 계도기간 운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803099?sid=103

[단독]강동원·송가인·김완선까지…1인 기획사 미등록 파문 확산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653824?sid=001

강동원 측 “1인 기획사 미등록 문제 인지, 등록절차 진행 중” [공식]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241/0003466845

송가인 1인 기획사 미등록 논란…"인지 못해, 오늘 신청 예정"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421/0008493779


연예계 1인 기획사들이 기획사 등록 의무를 이행해야 하는데, 이행하지 않다가 적발되는 사태가 많이 발견되어서 문체부가 기획사 등록 계도기간을 운영하고 자발적 등록을 독려하고 나섰습니다.

대중문화예술산업발전법에 따라, 대중문화예술기획업자가 등록 없이 영업시 2년 이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 벌금을 물린다고 합니다. 등록하기 위해서는 대표자 및 임원 결격사유 검증, 2년 이상의 실무 경력 및 교육 이수, 범죄 전력 조회, 독립된 사무소 확보와 임대차계약서 제출 등을 충족해야 합니다. 이 규정은 연예계 전속계약 분쟁과 연예인 사망 사건을 계기로 연예인 권익 보호, 산업 투명성 확보, 기획사 난립 방지를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사실상 업계에서 묵인되어 온 관행이라고 하네요. 기사에 따르면 국세청은 미등록 운영 과정에서 수익 지출 내역이 불투명하게 처리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일부 연예인 기획사의 세금 탈루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고 합니다.

성시경 측은 법인 설립 이후에 대중문화예술기획업 등록 의무가 신설되었기 때문에 해당 규정을 인지하지 못해 등록하지 못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옥주현 측은 관련 법령이 여러 번 바뀌어서 놓친 부분이 있었으며, 의도적으로 회피하거나 불법 운영한 것이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강동원 측은 홈페이지를 개설해야 등록 절차를 할 수 있는데 별도의 홈페이지가 없어서 인지하지 못했고, 관련 이슈가 불거진 이후 뒤늦게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고 등록 절차를 위한 교육 신청을 했다고 밝혔습니다.
송가인 측도 인지하지 못했고 오늘 중으로 등록 신청 하겠다고 해명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강동원
25/09/18 11:40
수정 아이콘
죄송합니다
Winter_SkaDi
25/09/18 12:09
수정 아이콘
네 앞으로 열심히 활동하는 것과 좋은 작품으로 보답 부탁드립니다
엘브로
25/09/18 12:12
수정 아이콘
전우치2좀....
최종병기캐리어
25/09/18 11:43
수정 아이콘
등록하는 것도 몰랐을정도니 세금도 몰라서 안낸게 있을 수 있으니 세무조사한번 해주면 될듯
25/09/18 11:43
수정 아이콘
계도기간 주는거보면 어느정도 정상참작 해주는 느낌이네요.
문제가 더 커지지는 않을듯요.
산밑의왕
25/09/18 11:45
수정 아이콘
보통 저런 1인 기획사는 가족이 하는 경우가 많아서 법령변경을 다 못따라가는거 같긴 하더군요..
그래도 벌금은 내야..
전기쥐
25/09/18 11:51
수정 아이콘
제가 덕질하는 어떤 연예인도 1인 기획사인데 연예인 본인도 서류 봐야하고 가족에게 일 맡기고 그러더군요 가족기업이 하는거라 행정적인 거 다 처리하는 게 힘들다고 토로하더군요
25/09/18 11:47
수정 아이콘
저 규정이 왜 도입 되었나를 생각해보면 1인 기획사들이 이득을 본 것도 없는데 이렇게까지 이슈가 되는 이유를 알 수가 없습니다
잠이오냐지금
25/09/18 11:49
수정 아이콘
다들 개인사업자나 법인으로 사업자를 냈을거니까 업태에 추가 등록을 하라는 건데 안해서 그런거죠?
업태에 따른 세금 반영이나 그런 게 다르진 않을 거 같긴한데
25/09/18 11:51
수정 아이콘
1인 법인을 왜 하냐면 제가 알고있는 지식한도 내에서
연애인들(우리가 대충이라도 이름알고있는 사람들)의 경우 수익이 어마어마해서 세율구간이 최대 세율로 들어갑니다(4x% 정확히 기억이 안남)
근데 1인 법인으로 하면 법인세율 구간인 20%대에서 세금이 먹히게 되죠.
즉 100억을 벌었다 그러면 40억을 토해내야하는데 법인으로하면 20억만 토하면 되는거로 되는거죠.
카미트리아
25/09/18 16:53
수정 아이콘
배당 받을때 또 세금내야 하긴 하죠..
그래도 이익이니까 하긴 하겠지만
유료도로당
25/09/18 11:53
수정 아이콘
[규정은 연예계 전속계약 분쟁과 연예인 사망 사건을 계기로 연예인 권익 보호, 산업 투명성 확보, 기획사 난립 방지를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애초에 저 등록하라는 규정의 취지가 아무나 소속사랍시고 만들어서 애들 끌어모아서 연습생/신인 괴롭히고 뭐 그런걸 막기위함이라... 중견연예인 1인 기획사를 규제하기위한건 아니긴합니다. 물론 규정은 규정이니 다 지켜야되지만 그래서 계도기간 주는 등 당국에서도 참작하는 모양새고요. 뭐 세금 회피같은거랑은 전혀 무관해보입니다.
전기쥐
25/09/18 11:55
수정 아이콘
2009년에 무슨 큰 분쟁, 사건이 있었나보더군요 그걸 계기로 도입되었다고 하네요. 1인 기획사는 그런 거랑 거리가 멀긴 하죠.
25/09/18 12:27
수정 아이콘
기억나는 큰 소속사 분쟁건은
SM과 동방신기 전 멤버들과의 분쟁이 있네요
전기쥐
25/09/18 12:38
수정 아이콘
아하.. 그때 그 뉴스가 어렴풋이 기억나는 거 같습니다.
25/09/18 11:55
수정 아이콘
1인기획사 차릴정도면 돈을 쓸어담으실텐데...법률자문이라도 좀 받으셨어야...
오컬트
25/09/18 12:09
수정 아이콘
저걸로 절세나 탈세를 못했을 겁니다. 오히려 손해본게 많을겁니다. 대중예술 지원사업도 제한되었을것이고, 대중예술로 받아드려질만한 법인사용내역도 제한되었을수도 있거든요. 어쨋든 위법은 위법이니까.
25/09/18 12:10
수정 아이콘
세금 회피랑은 다른 문제입니다.
옹호하는 건 아니고, 저도 작게 사업하는 입장에서 돌이켜보면
정부 젇책 변화를 그때그때 대응하기가 참 쉽지 않긴 합니다.
대기업 쯤 되면, 그것만 전담하는 부서가 있어서 꽤 빠르게 대응하던데,
소규모 사업장은 확실히 쉽지가 않긴 해요.
이달 벌어 다음달 먹고 살아야 하다보니... 현생이 정말 너무 바쁘거든요 ㅠㅠ
전기쥐
25/09/18 12:16
수정 아이콘
이해합니다. 저도 비슷한 입장이라..
시라노 번스타인
25/09/18 12:11
수정 아이콘
그냥 등록해야 하는 걸 무지했던 거지 저렇게 파문 이라는 단어까지 쓰면서 난리난 것처럼 이야기할 건덕지인가 싶긴 합니다.
쵸젠뇽밍
25/09/18 12:16
수정 아이콘
무인상점하고 유형이 비슷한 문제라 봅니다.
그런 의미에서 연예인들은 그냥 기존 기획사와 계약하는 것이 여러모로 이득이라 생각해요.
전기쥐
25/09/18 12:17
수정 아이콘
제가 덕질하는 1인 기획사 연예인에게 직접 물어봤더니, 자유롭게 스스로 스케쥴을 짜는 게 좋다고 답하더군요.
쵸젠뇽밍
25/09/18 13:32
수정 아이콘
그런 취지라면 적어도 기존 기획사와 업무 계약 같은 걸해서 행정적 문제를 외주 주는 방법이라도 써야 할 것 같은데 말이죠.
그게 아니면 직원을 한가득 고용해야 하는 건데.
No.99 AaronJudge
25/09/18 12:20
수정 아이콘
계도기간 내에 잘 등록하면 되는 문제같긴 하네요
작은 회사들은 컴플라이언스가 진짜 어려운것같아요
전기쥐
25/09/18 12:22
수정 아이콘
생각지 못한 데에서 행정적 구멍이 나곤 합니다..
25/09/18 12:26
수정 아이콘
연예계 1인 기획사라는게 되게 애매한 것 같긴하네요. 연예인이라는게 라이센스가 발급되는건가요? 요새 유튜버들도 지상파나오고 유명하면 다 연예인으로 볼수 있는건가.
전기쥐
25/09/18 12:40
수정 아이콘
등록 여건에서 "2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어디에서의 경력을 말하는지 모르겠더군요. 꼭 TV, 영화에 데뷔해야 하는건지 아니면 소극장 연극 등도 쳐주는 건지.
25/09/18 12:35
수정 아이콘
제가 2015년도쯤 영세한 곳에서 저 대중문화예술업 등록 준비를 했었는데
그때는 저거 안하면 불이익이 되게 많던가 특정 일을 못하던가 그래서 했던걸로 기억하는데
관련 기사들을 읽다보니 별 페널티가 없었던거 같네요
아니면 거기만 호들갑을 떨었던 건지..
전기쥐
25/09/18 12:41
수정 아이콘
저걸 모를 정도였다면 실상 활동에 별 페널티가 없는 게 아니었을까요..
VictoryFood
25/09/18 12:38
수정 아이콘
세금 감면같은 1인 기획사의 장점을 취하려고 하면 복잡한 법규 준수 같은 단점도 감수해야죠.
PolarBear
25/09/18 12:43
수정 아이콘
과거 5년간 추징잡아서 세금때리면 될것같네요
아스날
25/09/18 13:05
수정 아이콘
세금이랑은 딱히 상관없지않나요?
그냥 무지의 결과인데
PolarBear
25/09/18 13:40
수정 아이콘
조세탈피목적이면 세금때리면될거고 무지했으면 과징금 맞으면될거구요
미카엘
25/09/18 12:49
수정 아이콘
모르면 맞아야죠
슬이아빠
25/09/18 12: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없음),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젤리곰
25/09/18 13:00
수정 아이콘
세금과 관련없는건 맞는거 같지만 이렇게 급발진하시는 이유가?
뭐 억울한일 있으세요?
25/09/18 12:54
수정 아이콘
뭔가 시스템의 문제 같은데
응 아니야
25/09/18 12:59
수정 아이콘
세금을 모른척 안내고 싶으니 등록도 모른척 한거죠. 이 참에 제대로 조사하면 되겠죠
윤니에스타
25/09/18 13:02
수정 아이콘
자 다들 안 낸 세금 내시면 됩니다. 지금이라도 잡았으니 정말 다행이네요.
25/09/18 13:21
수정 아이콘
악의를 가지고 한 일들은 아닐 거 같은데... 뭔가 나올 때까지는 지켜봐야겠네요.
서쪽으로가자
25/09/18 13:21
수정 아이콘
댓글들에도 언급되었지만 일단 탈세랑은 관련 없는 부분으로 보이네요. 미리 세금 더 내라 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요. 
대신 가족/1인기획사의 경우 운영이 미흡할 가능성은 있고 몰랐던 알았던 탈세/누락 부분이 있으면 조사해서 후속조치를 하면 되겠죠. 
25/09/18 13:40
수정 아이콘
저게 그렇게 달달했나보구나...
Far Niente
25/09/18 14:03
수정 아이콘
세금 얘기는 1도 없는데 일단 덮어놓고 패기
아님? 말고
김건희
25/09/18 15:34
수정 아이콘
탈세 목적이 있는지 없는지는 전문가들이 설명해주시겠죠.

입법 취지를 생각해보면 탈세 목적은 아니지 않았을까 싶네요.
D.레오
25/09/18 16:26
수정 아이콘
근데 저러면 법인카드는 어케 쓰는거죠??
25/09/18 16:31
수정 아이콘
계도기간 준거면 뭐 가십 정도로 적당히 넘어가도 되지 않나 싶습니다.
+ 25/09/18 20:27
수정 아이콘
딱히 탈세 목적은 아니었지 않나 싶습니다.
어차피 수익관련해서(광고주 등 돈 준 쪽으로부터의 증빙을 위해서라도) 관련서류는 있을 것이고.. 세금 낼 건 내고 있겠죠.

성시경 씨 같은 경우는 최초 설립 땐 법이 없었으니 몰랐다.. 쪽이 맞을 듯 하고요.
추후 설립된 다른 1인 기획사의 경우에도 탈세라기 보다는
귀찮은 교육;;; 같은 거를 면해보고자 연예인 본인보다는... 기획사 대표가 등록의무를 해태한 쪽에 가깝지 않나 추측해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0041 [스포츠] [축구] [오피셜] 브라질전, 파라과이전 티켓 오픈 일정 [15] TheZone4625 25/09/18 4625 0
90040 [스포츠] [MLB] 오타니 시즌 51호 [16] kapH4646 25/09/18 4646 0
90039 [연예] '케데헌' 흥행의 이유 [25] 카페알파7562 25/09/18 7562 0
90038 [스포츠] KBO 선수협이 악플 강경대응을 선언했습니다. [52] Lz6520 25/09/18 6520 0
90037 [스포츠] 쿠팡플레이 F1 계약연장 + 26시즌부터 4K 중계 + 현장중계 10경기 예정 [11] kapH3606 25/09/18 3606 0
90036 [스포츠] [축구] 손흥민, 미국 진출 후 첫 해트트릭 달성! [36] TheZone4799 25/09/18 4799 0
90035 [연예] 연예계 1인 기획사 미등록 운영 관련 이슈가 있네요. [47] 전기쥐6409 25/09/18 6409 0
90034 [스포츠] [KBO] 야구는 원래 잘하던 사람이 잘한다 [23] 손금불산입4086 25/09/18 4086 0
90033 [스포츠] [KBO] 사실상 정해진 홈런왕 타이틀 [32] 손금불산입3717 25/09/18 3717 0
90032 [연예] 미야오 출국길 비주얼 [10] 여자아이돌3518 25/09/18 3518 0
90031 [스포츠] [해축] 챔스 개막전 22연승.mp4 [12] 손금불산입2423 25/09/18 2423 0
90030 [스포츠] [해축] 이건 뭐 절대로 의도한건 아닌데....gif (용량주의) [16] SKY924440 25/09/18 4440 0
90029 [스포츠] [KBO] 9월 17일 프로야구 순위.jpg [46] 밥도둑6248 25/09/17 6248 0
90028 [스포츠] [K리그] 아시안챔피언스리그도 개막하였습니다. [3] TheZone3275 25/09/17 3275 0
90027 [스포츠] [KBO] 2026 신인 드래프트 최종 지명 결과 [36] 윤석열7017 25/09/17 7017 0
90026 [스포츠] [KBO] 신인드래프트 대참사... [66] TheZone11091 25/09/17 11091 0
90025 [스포츠] 위기의 다저스를 구하러 50번째 오타니가 간다.mp4 [30] insane7921 25/09/17 7921 0
90024 [스포츠] [KBO] ??? : 와이스도 미국행 응원합니다 [36] 손금불산입7061 25/09/17 7061 0
90023 [스포츠] [해축] 빅이어 무관 득점왕이 된 음바페 [25] 손금불산입6452 25/09/17 6452 0
90022 [기타]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월드 와이드 5억불 돌파 [28] 윈터3250 25/09/17 3250 0
90021 [스포츠] 칼 랄리 좌타로 55호 우타로 56호 연타석 홈런.mp4 [32] insane3786 25/09/17 3786 0
90020 [스포츠] [해축] 한때 별명이 가마신이었던 남자.mp4 [10] 손금불산입2717 25/09/17 2717 0
90019 [연예] 호시노 겐 - 2 (feat. 이영지) [5] 어강됴리4545 25/09/17 454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