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3/10/19 13:37:46
Name 윤석열
Link #1 스타뉴스
Subject [스포츠] [KBO] KBO "피치클락, 내년부터 도입한다" 자동 볼 판정 시스템(ABS)도 실시 예정
한국야구위원회(KBO)는 19일 "팬들에게 보다 공정하고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선보이기 위해 2024시즌부터 KBO 리그에 abs와 피치클락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KBO는 18일 2023년 제4차 이사회를 열고, 그동안 실행위원회 및 해당 실무 부서에서 심도 있게 논의를 지속해왔던 abs와 피치클락의 KBO 리그 도입 시기를 2024 시즌으로 계획하고 관련 설비 및 시스템을 구축해나갈 예정이다.


----------------------------
https://v.daum.net/v/20231019133324251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윤석열
23/10/19 13:37
수정 아이콘
김민우 오열
에바 그린
23/10/19 13:40
수정 아이콘
피치클락이야 도입될거 알았는데 ABS까지 도입된다는게 놀랍네요.
라멜로
23/10/19 13:41
수정 아이콘
허구연이 여러모로 말도 많지만
이런 제도 빨리빨리 도입해 오는 거에는 아주 진보적이에요
23/10/19 15:40
수정 아이콘
저는 결과와 무관하게 과정에 대해서는 납득이 되는 부분이 많아서 지지합니다.
김연아
23/10/19 22:24
수정 아이콘
허구연이 한국야구를 사랑하고 발전시키려는 마음은 진짜죠
23/10/19 22:44
수정 아이콘
큠팬이고 허구연이 큠 싫어하는거 알지만 자런거때문에 미운생각은 안들어요 물론 싫어하시는 큠팬도많지만 나룸 중계할때 승률도 높았구 말이죠
Pzfusilier
23/10/19 13:42
수정 아이콘
에 이럼 유강남은 먹튀가 되버릴수도
23/10/19 13:57
수정 아이콘
프레이밍 2년은 더쓸수있을줄알았는데
윤석열
23/10/19 13:42
수정 아이콘
MLB도 안하는 ABS를...덜덜
내년엔아마독수리
23/10/19 13:44
수정 아이콘
자동 볼판정이 1군 시합에서 실전 투입할 정도 성능까지 되나...?
핑크솔져
23/10/19 13:55
수정 아이콘
어디서보니까 기술적으로는 완벽하다고...
일반상대성이론
23/10/19 16:08
수정 아이콘
솔직히 요즘기술로 음속도 아니고 기껏해야 100마일짜리 물체를 못잡아낸다는게 비용문제가 아니고서야 말이 안되죠
아라온
23/10/19 22:07
수정 아이콘
기술적으로 완벽해도, 아스날과 토트넘 VAR 오심같은게 무조건 나올듯!
더치커피
23/10/19 13:45
수정 아이콘
ABS가 스트볼 판정하는 전자심판인가요?
비오는풍경
23/10/19 13:45
수정 아이콘
얼마나 준비를 했나 기사를 봤더니 ABS를 2020년부터 시험했었나 보네요
어떤 변화가 생길지 궁금하네요
23/10/19 13:47
수정 아이콘
오 abs는 기대
23/10/19 13:50
수정 아이콘
드디어 별존 영혼존 숙부존 등을 안볼수 있겠군요
shooooting
23/10/19 13:52
수정 아이콘
좋다 좋아 !!
Davi4ever
23/10/19 13: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ABS는 내년에 전면 도입까진 아니고 일단 '비디오 판독'을 신청한 공에만 적용하고, 점진적으로 확대한다고 하네요.
타자, 투수, 포수가 직전 투구의 판정에 대해 챌린지를 신청할 수 있고, 판독 요청 기회는 팀별 3회라고 합니다.
(성공시 횟수 차감이 되는지 여부는 좀더 지켜봐야 할 것 같네요)
바로 전면 도입은 부담이 있을 수 있으니 이 방법도 좋아 보이네요.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76/0004068129

-> 기사가 수정된 것 같습니다? 전면 도입으로 수정됐네요.
더치커피
23/10/19 13:55
수정 아이콘
투구판정 챌린지로 늘어날 경기시간을 피치클락으로 보정한다..는 거겠네요
그런거없어
23/10/19 15:15
수정 아이콘
투구판정은 챌린지처럼 사람이 판단하는게 아니라서 바로바로 진행가능할듯.
에바 그린
23/10/19 13:55
수정 아이콘
이러면 비판 횟수를 어떻게 할지 모르겠네요.
지금 현행이 팀당 2회인데 2회 모두 성공시 1회 추가, 연장시 1회 추가로 알고있는데, 기사에는 3회로 나오네요.

이것도 장기적으로는 그냥 테니스 챌린지마냥 성공하면 횟수차감 아예 안되는걸로 아예 바꾸는게 맞는거같긴한데
manbolot
23/10/19 14:12
수정 아이콘
아마 비디오 처럼 오래 걸리지는 않을꺼라
그냥 기록하던거 볼/스트 불러주기만 하면 되긴하죠
TWICE NC
23/10/19 17:04
수정 아이콘
기사가 수정 되었는지 모르지만 기사 내용에서는 내년 전면 도입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팀별 3회는 올해까지 퓨처스리그에서 시행했던 룰이었고, 내년 1군은 전면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Davi4ever
23/10/19 17: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음? 아마도 기사가 수정된 것 같습니다. 엠팍에서 확인했는데 기사가 수정된 것 맞네요. 뻘댓글이 되어버린...
손금불산입
23/10/19 13:57
수정 아이콘
ABS 도입은 환영하는데 이게 변화구에 대해서는 선수나 심판이 생각하는 궤적과 기계가 판정하는 궤적이 다르다고 들었거든요. 이 오차는 어떻게 수정을 했으려나 모르겠네요.
23/10/19 14:30
수정 아이콘
그건 사람이 적응해야할 문제 아닐까 생각합니다.

기계는 규정대로 판단할테니까요.
손금불산입
23/10/19 14:36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을 하는데 이전에 마이너이진 퓨쳐스인지 사람 기준으로 스트존 수정을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것도 같아서요. 저는 스트존 혁명이 생기더라도 기계가 문제없다면 기계대로 가는게 맞다고 봅니다.
23/10/19 14:03
수정 아이콘
ABS by bosch...아 아닙니다
PolarBear
23/10/19 14:04
수정 아이콘
유강남...
그럴거면서폿왜함
23/10/19 14:05
수정 아이콘
기계 판독이 딜레이가 좀 있다고 들었는데 바로 결정이 나야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할지 궁금하네요
Lainworks
23/10/19 14:15
수정 아이콘
요즘은 1.2~1.5초라네요 이정도면 뭐
손금불산입
23/10/19 14:17
수정 아이콘
딜레이라고 해봤자 1-2초입니다. 저렇게 오심 수정하는데에는 전혀 무리없죠. 근데 저 1-2초가 막상 모든 볼 판정하는데에는 흐름 끊기는 느낌이 들어서 그거 줄이려고 지금까지도 기술 개선 중이고요.
23/10/19 14:27
수정 아이콘
'딜레이가 있다' = 2초 였죠?
그걸 1초로 줄이려고 애를 쓰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캐러거
23/10/19 14:07
수정 아이콘
피치클락 대환영
한가인
23/10/19 14:13
수정 아이콘
ABS가 완벽하진 않다라도, 결정적인 순간에 주심의 말도 안되는 판정으로 인한 승패 갈림을 조금은 보완할수 있겠네요
제가LA에있을때
23/10/19 14:18
수정 아이콘
Lainworks
23/10/19 14:22
수정 아이콘
근데 이거 타자의 키를 실시간으로 체크해서 존 상하높이를 조절하는건가요? 좌우는 뭐 정해져있는거고
23/10/19 14:26
수정 아이콘
타자의 신체 데이터를 미리 입력해 두고, 그걸 기준으로 상하가 정해지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23/10/19 14:30
수정 아이콘
이제 프로필 신고할때 '신발 탑승한 키'는 안녕해야겠군요...
23/10/19 14:41
수정 아이콘
그 부분은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라 모르겠는데 오히려 경기를 착화 신장으로 하니 데이터도 착화 신장이 아닐까 싶네요.
23/10/19 14:42
수정 아이콘
신체 데이터는 미리 입력한다 치더라도, (제가 알기론 선수의 평소 타격 폼에서의 무릎과 어깨 높이 사이라고 알고 있는데) 타격 폼이 다르면 또 높이에 차이가 있을텐데 이건 또 어떻게 반영하려나 궁금하군요.
23/10/19 14:53
수정 아이콘
기사 찾아보니 타격 폼이 아니라 서 있는 신장을 기준으로 존을 설정한다고 하네요.
Liberalist
23/10/19 14:27
수정 아이콘
투구 인터벌 긴 투수들 극혐하고, 도태 좀 됐으면 하는 입장에서는 피치클락 무조건 환영합니다. 투구 하나하나마다 질질 끄는 행위는 야구를 정말 재미없게 만드는 주범들이에요.
김유라
23/10/19 14:32
수정 아이콘
피치클락 대환영!
곧미남
23/10/19 14:33
수정 아이콘
둘 다 대환영
바카스
23/10/19 14:38
수정 아이콘
전 구단 응원가 다시 짜야할 판 크크
23/10/19 14:50
수정 아이콘
챌린지해서 틀렸으면 심판이 사과하는 절차도 넣읍시다 크크크크
ChojjAReacH
23/10/19 14:59
수정 아이콘
빠르다..
ComeAgain
23/10/19 15:00
수정 아이콘
타자 투수 포수가 손으로 비디오 그리면,
비디오 실에서 심판 헤드셋으로 '아 볼(스트라이크)이었네요' 이런 느낌이겠네요
23/10/19 15:06
수정 아이콘
탑클라우드
23/10/19 15:13
수정 아이콘
부디 ABS가 무리없이 안착해서, 향후 전면 도입되기를 희망합니다.
오우거
23/10/19 15:20
수정 아이콘
메이저보다 앞서 나가다니!!
아케르나르
23/10/19 15:30
수정 아이콘
피치클락이 뭔가 찾아봤더니 투수가 투구시간 조절할 수 있도록 시계 설치해주는 건가 보네요. 당연히 있어야 될 거 같은데 없었다는 게 신기하네요.
타츠야
23/10/19 15:43
수정 아이콘
MLB에서 이미 도입해서 쓰고 있습니다. https://namu.wiki/w/%ED%94%BC%EC%B9%98%20%ED%81%B4%EB%9D%BD
아케르나르
23/10/19 20:30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23/10/19 15:54
수정 아이콘
단순히 시계만 설치해서 보여주는 건 아니고, 피치 클락이 도입되면 따라오는 규정으로 투구 인터벌 시간이 15초(주자시 20초)로 제한됩니다.
원래 KBO는 투구 인터벌 제한은 없고 주자 없을 시에만 타자가 준비된 후 12초 투구 룰이 적용 되었기 때문에 규정이 바뀌죠.
D.레오
23/10/19 15:38
수정 아이콘
ABS는 고교야구보니깐 아직 멀었던데..
동년배
23/10/19 15:49
수정 아이콘
요즘 경기 끝나고 나오는 2D존 기준으로 볼 때 한 경기에 팁당 대여섯개는 오심인데 삼진아웃 결정하는 공 기준으로 챌린지 3개는 넉넉하지만 볼넷까지 본다면 좀 빡빡하겠네요.
이정재
23/10/19 15:51
수정 아이콘
스트볼 비판먼저 할줄알았더니
23/10/19 15:53
수정 아이콘
과연 스트라이크존은 통과하는 바닥찍는 공은 다 스트라이크가 될것인가..
규정은 그런데 사실 규정조차도 '따위'로 만들어버릴만큼 오랜기간 관습이었던게
포구위치을 최우선으로 보고 공의 궤적은 차선으로 보는거라, 아예 규정을 조정할수도 있겠단 생각도 들고
그냥 의외로 그정도로 관습자체를 파괴할 정도로 큰 판정차이는 몇개 없을수도 있고
23/10/19 15:58
수정 아이콘
아마 야구에선 이 문제 때문에 판정 구간을 홈플레이트 시작부터 포수 앞까지로 늘리고, 스트라이크 존 자체를 상하 모두 3cm가량 올렸습니다.
KBO도 감안 해서 정하겠죠.
23/10/19 20:30
수정 아이콘
좀 이해가 안되는 조치군요. 엄연히 야구 규칙이 있으면 그거에 맞춰 기계를 설정하고 사람이 거기에 적응을 해야지, 임의로 판정구간을 늘이고 존을 높이는 꽁수를 쓰는 것은 그것대로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나중에 국제대회에서는 또 어떻게 하려고.
23/10/19 20: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KBSA가 규정에 맞는 스트라이크 존을 기계가 잡을 수 있도록 설정했지만
봄 대회에서 오차가 컸기 때문에 여름 대회때 조정한거지 임의로 쓴 꽁수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미국도 그냥 타자 신장의 27%~52% 구간이 스트라이크 존이구요.
국제 대회에선 어떻게 될 지 모르겠지만 아직까지 통일된 건 없습니다.
23/10/20 16: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스트라이크 존은 야구 룰에 "타자가 칠 수 있는 공" 따위로 주관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습니다. 명확하게 스트라이크 존이 정의 되어 있고(홈플레이트 위, 어깨 제일 높은 곳과 바지 제일 높은 곳의 중간을 상한선, 무릎 아래를 하한선으로 한 3차원 공간), 그 공간을 조금이라도 지나면서 땅에 바운드가 되지 않은 공이라고 '정의'되어 있죠. 그걸 "타자가 칠 수 있는 공"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뿐이지... 미국에서도 기계판정을 할 때 신장의 27~52% 구간이라고 스트라이크 존을 '설정'한 것은 저도 읽었지만, 그것도 어디까지나 아직까지는 '정의'대로 정확하게 판정하기 어려운 기술적인 한계 때문이겠죠.
그래서 저는 기계 판정을 원론적으로 찬성하긴 하지만, 아직 기술적으로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지금 전격 도입에는 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정의 된 대로 스트라이크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는 기술이 나오거나, 아니면 야구 룰을 바꿔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23/10/20 16: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쓰면서 자꾸 수정하다 보니 말이 엉켜서 용어를 잘 못 썼네요. 잘 못 된 표현으로 혼란을 드린 점 사과드립니다.
실제로 해당 문장에서 하고 싶었던 말은 칠 수 있는 공을 치지 않아서 생긴게 스트라이크 존이고 그 칠 수 있는 공을 설정한 것이
규정 상의 스트라이크 존 이라는 이야기 였습니다. 해당 문구는 수정하겠습니다.

저도 스트라이크 규정을 고치는게 맞다고 생각 하는데 실제로 수정 될 확률이 높진 않을 것 같습니다.
모든 야구 대회의 판정을 기계 판정으로 진행 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바꾼다고 해도 KBO의 스트라이크 존에 대한 규정을 수정하거나, 기계 판정에 대한 규정을 신설하는 수준이 될 것 같습니다.
raindraw
23/10/20 10:55
수정 아이콘
기존에 스트라이크존 규정이 안지켜졌다는 말이죠.
사실 제대로 하려면 스트라이크존 규정부터 바꿔야 하는데
MLB가 바꾸지 않는한 그 규정은 바뀌지 않을 겁니다.
23/10/19 15:55
수정 아이콘
피치클럭과 ABS는 동시 도입하는게 좋은거 같긴 하네요.
포수 입장에선 프레이밍 신경 덜 쓰고, 블록킹하고 송구만 신경쓰면 되는거니..
Grateful Days~
23/10/19 16:07
수정 아이콘
진짜 허구연 총재가 여러가지로 신경 많이 쓰고 있다는게 느껴집니다.
샤르미에티미
23/10/19 16:10
수정 아이콘
이게 긍정적으로 작용할지는 모르겠지만 한 가지는 확실합니다. 잘 나갈 때 좋을 수 있는 거 얼른 들여와야 합니다. 게임사로 비유하면 그게 라이엇이고 인기 떨어지니까 들여오는 회사가 블리자드죠.
23/10/19 16: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문제는 스포츠2i 로봇심판 솔루션이 평이 그다지 좋지 않습니다. 미국에서 이미 테스트 끝낸 트랙맨 놔두고 투아이꺼를...
존도 선수 나올 때마다 사람이 수동으로 조작해줘야하는걸로 아는데 문제가...
강아랑
23/10/19 16:25
수정 아이콘
견제하고 베이스, 수비시프트도 도입하자!!!!!!!
23/10/19 20:49
수정 아이콘
베이스는 이미 이전에 내년부터 확대하기로 정했습니다.
Your Star
23/10/19 16:33
수정 아이콘
점점 스포츠 경기에서 이제 선수만 있을 수도 있겠다.
탈리스만
23/10/19 17:59
수정 아이콘
와!! 대-----박 사건! 크크크크
KBO가 MLB NPB보다 먼저 도입하다니 크크 저는 긍정적으로 봅니다. 먼저 도입해서 변화에 적응해야죠.
어차피 다가올 미래입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3/10/19 18:36
수정 아이콘
저걸 내년에 바로 적용하다니 대단한 결단을 한 것 같습니다. 좋네요.
근데 투수가 등판하면 3타자 이상 상대하게 하는 건 언제 도입하려나요?
서재응 이닝 쪼개기 하는 것 좀 그만 보고 싶네요.
TWICE NC
23/10/19 19:16
수정 아이콘
피치클락 도입시 꼭 병행되어야 할게 타자 준비시간 단축도 있는걸로 압니다
일정 시간 지난 후 타자가 준비 안되어도 투수가 던질 수 있어야 피치클락 도입의 명분이 살겁니다
아라온
23/10/19 22:11
수정 아이콘
피치클락에 견제횟수도 포함되랴나요? 도루가 많이 늘려나?
아 피치클락 받고 제구가 어느정도 형편없이 벗어나면, 패널티가…
raindraw
23/10/20 10:56
수정 아이콘
MLB 식을 그대로 따를텐데 MLB 규정에는 견제횟수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raindraw
23/10/20 10:58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일종의 심판 속이기인 프레이밍이 포수 수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안되어야 한다고 봐서 ABS 환영합니다.
다만 스트라이크 존 규정 자체가 현행 프로야구들과 거리가 멀어서 이것부터 조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이건 MLB에서 바꾸지 않았기 때문에 바뀔 가능성이 없을 것 같아서 좀 아쉽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024 [스포츠] [KBO] 내년 도입되는 '자동 볼판정' 시스템 공개훈련 현장 영상 [28] Davi4ever9109 23/12/08 9109 0
79927 [연예] 오늘 뮤직뱅크에 데뷔한 골든걸스 무대 영상 + 직캠 [19] Davi4ever8217 23/12/01 8217 0
79730 [스포츠] [해축] 2023 골든 보이 수상자는 주드 벨링엄 [8] 손금불산입6183 23/11/18 6183 0
79169 [스포츠] [야구] 자동 볼 판정 시스템(abs) 판정들.mp4 [32] 손금불산입6374 23/10/20 6374 0
79156 [스포츠] [KBO] KBO "피치클락, 내년부터 도입한다" 자동 볼 판정 시스템(abs)도 실시 예정 [80] 윤석열10165 23/10/19 10165 0
76537 [연예] [트와이스] 퀸카 챌린지 외 사진, 움짤 (데이터주의) [3] 그10번4645 23/06/04 4645 0
75192 [스포츠] [NBA] 빅터 웸반야마의 놀라운 플레이 [50] 그10번7431 23/04/03 7431 0
73225 [연예] [에스파] (스압) 수많은 움짤이 만들어지고 있는 가요대전 카리나.gfy [27] Davi4ever12216 22/12/25 12216 0
73001 [스포츠] (루머) 결승을 앞두고 스쿼드에 문제가 생긴 프랑스 대표팀 [12] OneCircleEast10516 22/12/17 10516 0
72197 [월드컵] ??? : 이럴려고 미국 와서 뛴거야 이놈들아.gfy [21] 손금불산입9481 22/11/22 9481 0
72047 [스포츠] 위기의 댈러스를 구하러 루카 돈치치가 간다.mp4 [24] insane6704 22/11/16 6704 0
71754 [스포츠] [MLB] 로봇 심판 S존 판독 기술 근황 [30] 손금불산입10280 22/11/03 10280 0
71441 [연예] [에스파] 카리나, 이번주 또 다른 화제의 의상.jpgif [29] VictoryFood15183 22/10/19 15183 0
68229 [연예] 점점 탑클래스에 다가서고 있는 아이유의 얼굴 [82] 묻고 더블로 가!10821 22/05/27 10821 0
65976 [올림픽] 오늘 동계올림픽 개회식 선수단 입장 베스트샷.gfy [10] Davi4ever7101 22/02/04 7101 0
64471 [스포츠] NBA 르브론 더티플레이로 퇴장.gif [92] 아지매9767 21/11/22 9767 0
60701 [스포츠] 독일 골키퍼 역사상 처음으로 센츄리 클럽 가입한 노이어.jpg [9] insane5780 21/06/08 5780 0
60564 [스포츠] [KBO] 어제자 크보 진기명기들.gfy [30] 손금불산입8620 21/06/03 8620 0
60419 [스포츠] 오타니한테 몸에 맞는 볼 맞고 좋아죽는 타자.GIF [21] insane9153 21/05/29 9153 0
59378 [스포츠] [해축] 리버풀 구단주 존헨리의 사과 영상이 올라왔습니다. [23] 위르겐클롭7791 21/04/21 7791 0
59357 [스포츠] [EPL] 슈퍼리그 죽..었나..? [127] 담배상품권11656 21/04/21 11656 0
58884 [스포츠] 올해도 9승 사이영상 노리는 디그롬 활약상.gif [25] insane7601 21/04/06 7601 0
57327 [스포츠] [해축] 음바페에 대한 홀란드의 대답.gfy [53] 손금불산입7080 21/02/18 708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