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01/30 03:10:43
Name VictoryFood
File #1 1.png (101.1 KB), Download : 25
Link #1 포브스
Link #2 https://www.forbes.com/sites/mikeozanian/2019/10/16/the-forbes-fab-40-puma-debuts-on-2019-list-of-the-worlds-most-valuable-sports-brands/#18936d8dd356
Subject [스포츠] 포브스 선정 세계 탑10 스포츠 이벤트 브랜드 가치.jpg


https://www.forbes.com/sites/mikeozanian/2019/10/16/the-forbes-fab-40-puma-debuts-on-2019-list-of-the-worlds-most-valuable-sports-brands

1위 슈퍼볼(NFL) : 7억 8천만 달러
2위 하계 올림픽(IOC) : 3억 75백만 달러
3위 전미 대학 농구 4강(NCAA) : 3억 달러
4위 축구 월드컵(FIFA) : 2억 82백만 달러
5위 전미 대학 미식축구 플레이오프(NCAA) : 2억 55백만 달러
6위 레슬매니아(wwe) : 2억 45백만 달러
7위 챔피언스리그(UEFA) : 1억 68백만 달러
8위 켄터키 더비(CDI) : 1억 55백만 달러
9위 동계 올림픽(IOC) : 1억 5천만 달러
10. 월드시리즈(MLB) : 1억 22백만 달러

슈퍼볼의 며칠 앞으로 다가와 작년에 포브스가 선정한 스포츠 이벤트 가치를 찾아봤습니다.
슈퍼볼이 2위보다 배이상 가치가 높네요. 덜덜덜
그리고 여기서도 느낄 수 있는 미국의 위엄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Naked Star
20/01/30 03:13
수정 아이콘
왐마 미제스포츠 똥파워 그자체
사업드래군
20/01/30 03:21
수정 아이콘
월드컵의 가치가 NCAA보다 낮다는 게 이상해요. 전 세계 수십억명이 보고 있는 경기인데.
킹보검
20/01/30 10:01
수정 아이콘
수십억명이 보는거랑 돈이 되는건 다른 문제니까요
20/01/30 03:29
수정 아이콘
월드컵이 NCAA보다 낮다는건 상식적으로 말이 안됩니다
블리츠크랭크
20/01/30 10:28
수정 아이콘
월드컵이 미국에서 인기가 없다는걸 고려하면 말이 되긴합니다...
에베레스트
20/01/30 03:29
수정 아이콘
켄터키 더비가 경마군요.
경마대회가 저정도 가치가 나오네요...
키스도사
20/01/30 03:33
수정 아이콘
링크 들어가봤는데 다른거 보다 농구를 진짜 못하는 닉스가 17-18시즌(29승 53패) 입장 수익만으로도 60m을 벌어들이며 브랜드 가치 6위(NBA 팀 중 골스에 이어 2위) 먹은게 신기하네요. 역시 뉴욕이라는 연고지는 후덜덜하네요.
소울니
20/01/30 08:52
수정 아이콘
팀 성적도 후덜덜합니다...ㅠ 꿈의 마켓에서 몇년째 헛발질을...
곧미남
20/01/31 06:32
수정 아이콘
맨하탄에 있는 유일한 스포츠팀이라서..
20/01/30 03:49
수정 아이콘
선정법이 결승만 집계하는게 있고 플옵을 집계하질 않나 좀 너무 중구난방식인데. 월드컵이 결승 한정이라면 더 낮을수도 있는게 맞다 생각되네요. 대부분 자국 경기에 관심이 크고 시차가 워낙 차이나니깐요. 미국은 다른 주 경기여도 챙겨볼만한 시차인데다 관심도가 엄청 높기도하지요. 그런데 대학 미식축구,농구가 저정도인지는 좀... NBA 파이널이 대학농구 4강한테 밀리는건 이해가 안가네요.
도뿔이
20/01/30 09:36
수정 아이콘
미대학 농구 열기는 그걸 madness라고 부를 정도로 미친 수준이긴 합니다. 과거 kbl에 ncaa 4강 주전 멤버였던 용병이 온 적이 있었는데 다른 용병이 그걸 언급하면서 같은 무대에서 뛰게 되서 영광이다 뭐 이런 이야기를 한적이 있었죠...
아기상어
20/01/30 04:22
수정 아이콘
레슬매니아보다 못한 챔스라니...
세인트루이스
20/01/30 04:26
수정 아이콘
사이트 들어가서 계산 방법을 자세히 읽어보니 두가지 오해의 여지가 있네요.
1. 일 평균 수익 비교
"Event brand values are the average per-day revenue from media, sponsorships, tickets and licensed merchandise."
이런 식이면, 월드컵은 월드컵 기간 총 수익을 월드컵 기간 (1달쯤 되나요?)으로 나눈 것입니다. 슈퍼볼은 하루니 총 수익이 곧 일 평균 수익이 되겠네요. 비슷하게, 기간이 긴 올림픽도 손해네요.

2. 이게 미국 내 수익만 따진 것인지, 전세계 수익을 따진 것인지 불분명하네요.
"NBC rang up $1.2 billion in national ad sales for the 2016 Games in Rio de Janeiro" 올림픽 수익에서는 미국 내 광고 수입 언급하고 있고, 본문 어디서도 전세계 수익을 집계했다는 말은 없네요. 당연히 미국내에서는 슈퍼볼이 최고죠.
20/01/30 08:15
수정 아이콘
아~주 예전에 국내영화 흥행을 어떻게 쟀냐면

서울관객이 50만명이다. 그러면 전국관객은 곱하기 2해서 100만명! 이런식으로 집계했습니다. 지방관객은 현실적으로 집계가 힘들었던 시기고 그나마 서울관객만 집계되던 시기고. 극장수나 인구비율상 서울이 이정도면 지방은 저정도겠지 해서 나온 계산법이었죠

이것도 아마 미국만 집계해서, 그걸로 대충 타지역을 어림짐작해서 낸 결과물 아닐까요
혹은 완전히 미국만 계산했거나. 둘중하나일거같은데

왜냐하면 미국내 경제효과는 계산이 가능할거지만 다른나라들을 일일히 어떻게 다 계산하겠습니까. 현실적으로 힘들것 같거든요.
그래서 저런결과가 나온게 아닐까 싶습니다
20/01/30 10:21
수정 아이콘
좀 어처구니 없는 계산법이네요
초단위로 따져서 100미터 달리기가 최고인 걸로 하지 왜
라붐팬임
20/01/30 05:30
수정 아이콘
슈퍼볼에 bts 함 서면 진짜 옥쇄 도장 쾅인데
기왕지사 이렇게된거 군대가기전 함 찍고 갔으면
20/01/30 10:56
수정 아이콘
지금 세기의 슈퍼스타들도 하기 힘들고 하더라도 말 많아요..
환경미화
20/01/30 05:44
수정 아이콘
ncaa 는 있지만 nba final은없고..
상록수
20/01/30 06:29
수정 아이콘
3위 ncaa는 미식축구 말하는거겠죠? nba보다 높다구요??
Tim.Duncan
20/01/30 09:41
수정 아이콘
농구 맞습니다...미국에서 ncaa 플옵기간은 진짜 모두가 미쳐서 보는 기간이라서요 크크크

저것때문에 요새 대학들은 돈을 쓸어담는데 선수들에게 돌아가는 돈은 없다고해서 비판도 꽤 있고요
20/01/30 06:46
수정 아이콘
롤드컵은 저기 오를 수 있을지
파인트리
20/01/30 07: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3위 NCAA는 마치매드니스 표현보니까 농구 얘기네요.(대학풋볼은 5위에 있군요)

저 마치매드니스 기간만큼은 대학농구>>>>>>>>>NBA긴 합니다. 미국에선 슈퍼볼 다음가는 이벤트 맞아요.
20/01/30 08:16
수정 아이콘
3위 NCAA는 대학농구, 3월의 광란을 말하는 거였네요.
NFL을 제외하곤 최고의 인기란 이야기는 들었었는데...

어쨌든 전체 매출이 궁금하여 방금 검색을 조금 해보니
다른 스포츠들의 플레이오프 매출을 몇 억 달러나 앞서네요.

엄청난 매출입니다.
20/01/30 08:20
수정 아이콘
돈굴러가는거야 천조국이 갑이니.. 하지만 어떻게 생각해도 월드컵이 지구 최고의 스포츠 이벤트죠
20/01/30 08:35
수정 아이콘
슈퍼볼이 얼마나 대단하든간에 월드컵이 저자리에 있다는건 말이 안됩니다.
도련님
20/01/30 08:48
수정 아이콘
NCAA 대학농구도 파이널 포. 즉 4강 경기라고 명시해놓은거 보면 딱 그 2경기에 대해서만 이야기 하는거 아닌가 합니다.
20/01/30 09:08
수정 아이콘
슈퍼볼, 전미 대학농구 4강,대학 미식축구 플옵 제외하고는 확실히
플옵경기가 없는 걸 보니, 플옵은 역시 지역빨을 심하게 타는걸 새삼느끼네요.
20/01/30 09:11
수정 아이콘
이제 레슬매니아가 월드시리즈를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 됐네요. 빈스가 흐뭇해하는게 눈에 훤~하네요.
미카엘
20/01/30 09:19
수정 아이콘
미국에서 축구 인기가 시들한 게 신기하긴 합니다 크크 본인들이 탑티어가 아닌 종목이라 그런가
제지감
20/01/30 09:21
수정 아이콘
너무 미국 위주의 해석이 들어간 자료인것 같네요. 어찌됐든 전지구적으로는 월드컵이 1위라고 생각합니다.
도뿔이
20/01/30 09:40
수정 아이콘
걍 돈 위주의 해석이죠. 미국의 위엄일수도 있구요. 유럽 축구 전체와 맞먹는 스포츠 리그를 두세게 가진 미친 국가라..
담배상품권
20/01/30 10:49
수정 아이콘
에이, 요즘 EPL만 해도 4대리그중 NFL 빼고 다 따라잡았을걸요.
건이건이
20/01/30 16:44
수정 아이콘
EPL은 NBA와 비슷하고.. NFL MLB와는 차이가 좀 있어요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professional_sports_leagues_by_revenue
실제상황입니다
20/01/31 10:58
수정 아이콘
본문 기사만 읽어봐도 미국 위주의 해석인 거 알겠는데요 뭘 크크
그리고 위에 링크된 지표 보시면 아시겠지만 유럽 축구 전체와 맞먹는 미국 리그 하나도 없어요.
아니 택도 없지요. nfl마저도 epl+라리가 수준밖에는 안 됩니다.
미국이 스포츠 규모 미친 국가는 맞는데(아니 그냥 경제 규모가 미친 수준인 건 맞는데)
그 환상이 너무 심하신 듯
도뿔이
20/01/31 11:14
수정 아이콘
그러네요.. 저도 저 자료 찾아보고 제가 유럽축구 규모를 너무 작게 봤구나 하고 반성했습니다.. 유럽 축구 전체랑 뜰려면 4대리그 다 소환해야되는군요.. 이것도 제 정신 아닌건 맞긴한데...
실제상황입니다
20/01/31 11:16
수정 아이콘
네 어쨌든 전세계 부동의 원탑은 축구가 맞죠. 인기로는 택도 없고 돈으로 붙어야 삐까뜨는데 뭐 그것만으로도 북미 스포츠 규모가 제정신 아니긴 합니다.
치킨은진리
20/01/30 09:22
수정 아이콘
미국내 기준이면 올림픽이 3월의 광란 final4보다 앞서는게 신기...
LinearAlgebra
20/01/30 09:26
수정 아이콘
전미대학농구 띠용?!?
신라파이브
20/01/30 09:27
수정 아이콘
포브스가 미국언론사인데 미국위주의 해석이 들어가지 어디해석이 들어가나요
ItTakesTwo
20/01/30 09:31
수정 아이콘
WWE가 최근 굉장히 말아먹었다고 알고 있는데 레슬매니아가 저 위치인건 MLB 입장에선 정말 곡나오는 소리 아닌가요
하긴 나도 MLB 안본지는 꽤 됐네
킹보검
20/01/30 10:00
수정 아이콘
아무리 WWE가 예전만 못하다해도 레슬매니아는 어나더레벨이죠. 저거 보러 가는사람이 10만명인데 레슬매니아 앞뒤로 1주차 행사가 있기때문에 그 효과 누리려고 자기들이 유치하겠다고 나서는 지자체가 많으니까요.
도뿔이
20/01/31 11:22
수정 아이콘
단일 이벤트라 mlb가 못끼지 리그로 보면 nfl 그리고 크리켓 리그 정도 제외하면 mlb에 비빌 리그가 없습니다. Nba도 엄청나게 추격해오다가 중국발 악재로 주춤하는 중이고..
20/01/30 10:20
수정 아이콘
375밀리언달러면 4천억쯤 된다는 얘긴가요? 올림픽이 4천억이라니 무슨 기준인지 모르겠네요 단순히 중계권료만 따져도 저건 넘을 것 같은데
20/01/30 10:21
수정 아이콘
레슬매니아 대박이네요.
이정재
20/01/30 10:31
수정 아이콘
올림픽 > 월드컵도 말이안되는건 매한가지
동계올림픽도르는 엌
20/01/30 10:58
수정 아이콘
그냥 기자들이 지네 입맛대로 그래프 그려대는거랑 비슷한거죠 뭐
꺄르르뭥미
20/01/30 11:05
수정 아이콘
월드컵 설명에 고작 2백만명 정도 봤다는거랑 27%나 상승했다는 것으로 보아 미국만 집계한게 확실하네요.
여자좀만나세요
20/01/30 11:08
수정 아이콘
말도 안되는 지표...
미국내에서만, 입맛에 맞게 특정 지표로 산정하면 이렇게 나오긴 하깄죠
루비스팍스
20/01/30 11:19
수정 아이콘
미국 한정인거 같은데... 미국에서 축구 인기 생각하면 저정도 나오는거는 맞을듯...
노피어
20/01/30 11:37
수정 아이콘
미국 위주의 자료인가 보군요. 그래도 월드컵이 4위, 챔스가 7위네요.
히스패닉이 미국 문화에 한 축을 차지하게 된다면 미국이 축구로 1위 먹는 날도 올까요?
20/01/30 11:46
수정 아이콘
아무리 유리하게 자료 마사지를 해도 전세계기준 월드컵이 저 위치일리가.. 미국내 자료겠죠
20/01/30 11:57
수정 아이콘
미국 내에서의 소비겠죠
반니스텔루이
20/01/30 13:32
수정 아이콘
아니.. 슈퍼볼이 ball이 아니었어?? 충-격
실제상황입니다
20/01/31 10:58
수정 아이콘
미국뽕도 적당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490 [스포츠] 북미에서의 프로레슬링 인식에 대한 짧은 글 [36] TAEYEON9626 20/08/29 9626 0
52487 [스포츠] (wwe)로만 레인즈 드디어 악역전환? [14] 보라도리4904 20/08/29 4904 0
52278 [스포츠] [wwe] 빈스가 레매36 리허설 때 스턴트 직접 시연한 영상 [10] Davi4ever4585 20/08/22 4585 0
51298 [스포츠] [wwe] 탈모로 고민인 내가 알고보니 아이콘이었던 것에 대하여 4 [7] TAEYEON5019 20/07/18 5019 0
51091 [스포츠] [wwe] 탈모로 고민인 내가 알고보니 아이콘이었던 것에 대하여 3 [5] TAEYEON4545 20/07/11 4545 0
50957 [스포츠] [wwe] 탈모로 고민인 내가 알고보니 아이콘이었던 것에 대하여 2 [6] TAEYEON5367 20/07/06 5367 0
50953 [스포츠] [wwe] 탈모로 고민인 내가 알고보니 아이콘이었던 것에 대하여 1 [12] TAEYEON4775 20/07/06 4775 0
50557 [스포츠] wwe의 레전드 언더테이커 36년만의 은퇴 [28] TWICE쯔위5757 20/06/22 5757 0
50542 [스포츠] [프로레슬링] 프로레슬링판 미투 [7] TAEYEON6985 20/06/22 6985 0
49474 [스포츠] [프로레슬링] 어쩌면 팬들이 wwe를 보면서 가장 감동했었을 장면 [17] TAEYEON4316 20/05/12 4316 0
48967 [스포츠] XFL 리그가 한국시간 2월 9일 4시에 시작합니다. [13] 모쿠카카3991 20/02/08 3991 0
48629 [스포츠] 포브스 선정 세계 탑10 스포츠 이벤트 브랜드 가치.jpg [54] VictoryFood8868 20/01/30 8868 0
48589 [스포츠] [wwe/약데이터] 9년만에 돌아온 친구를 열렬하게 환영하는 랜디오턴.gif [30] 나의 연인6032 20/01/28 6032 0
48561 [스포츠] [wwe] 로얄럼블, 9년만의 복귀 [17] 부모님좀그만찾아6090 20/01/27 6090 0
48548 [스포츠] wwe (로얄럼블) 최고의 스테이블.jpg [7] SKY924096 20/01/27 4096 0
48529 [스포츠] [wwe] 로얄럼블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기 [13] 태연­4998 20/01/26 4998 0
47204 [연예] [wwe] 경기 중 꽤 위험해보이는 뇌진탕 부상을 당한 카이리 세인 (데이터) [26] 나의 연인10551 19/12/18 10551 0
46470 [스포츠] [프로레슬링] 우주최강의 터프가이 케빈내쉬에 대해 알아보자. [15] TAEYEON5255 19/11/27 5255 0
46461 [스포츠] [프로레슬링] 우주최강 인성갑 스캇스타이너를 알아보자 [16] TAEYEON7070 19/11/27 7070 0
46069 [스포츠]  [wwe/AEW]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2019/11/15 [4] TAEYEON4342 19/11/16 4342 0
45989 [스포츠] [wwe]돌아온 탕아? [17] kien6160 19/11/13 6160 0
45360 [연예] 장난으로 시작한 프로젝트가 일본의 국뽕그룹이 되어버린 이야기 3 (베이비메탈) [17] Gunners9677 19/10/28 9677 0
44413 [스포츠] [레슬링] 수요일 밤의 시청률 전쟁, AEW vs NXT 개막 [19] 비역슨4146 19/10/04 414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