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9/11/13 23:23:08
Name kien
Link #1 유튜브
Subject [스포츠] [wwe]돌아온 탕아?


혹은 너는 wwe 밖에서는 아무 것도 아니라고 했던 Triple H 1승 추가 같기도 하고요.
역시 자본주의 앞에서는 영원한 적도 없군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천원돌파그렌라간
19/11/13 23:25
수정 아이콘
스톤콜드의 말대로 되는걸까요
나가면 마음은 편안한데 고지서가 쌓이기 시작하면 생각이 달라지게 될거라고...
19/11/13 23:28
수정 아이콘
정확히는 FOX랑 계약한거긴 해서 크크크;;;
동굴곰
19/11/13 23:32
수정 아이콘
나가면 뭐든 잘할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프로레슬링 재능밖에 없었던 필 브룩스씨.
아르타니스
19/11/13 23: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어짜피 브렛하트가 WWE 돌아 왔을때부터 저 업계의 모토가
never say never라서.. 결국 저 업계에 일했던 사람들의 최종 도착지는 wwe 이긴 합니다.
돈적으로는 아직 AEW나 신일본 그리고 기타 등등 단체는 상대가 안되거든요.
19/11/13 23:41
수정 아이콘
폭스랑 계약한거긴 한데 그래도 저길 돌아오다니 덜덜
박수영
19/11/13 23:42
수정 아이콘
와 이걸 진짜 돌아오네
태연­
19/11/13 23:44
수정 아이콘
사위랑만 잘 풀면 알바로 컴백도 네이버 세이 네이버
19/11/13 23:44
수정 아이콘
별개로 사모아조도 비록 벨트도 없고 부상중이지만 여기저기 나오면서 말년에 행복레슬링 하는거 같습니다--
말다했죠
19/11/13 23:48
수정 아이콘
오래 버텼네요
19/11/13 23:52
수정 아이콘
트리플H의 현실적인 조언(및 일침)은 펑크뿐만 아니라 앤조에게도 가했었죠(..) 그걸 무시한 두 사람 모두 이후 커리어 참 많이 꼬인거 생각하면.
나의 연인
19/11/13 23:59
수정 아이콘
하필 이번 서시가 시카고에서 열리네요
이건 뭐 짠거마냥 딱딱 들어맞는수준
캬옹쉬바나
19/11/14 00:08
수정 아이콘
악역 보다가 저런 사모아 조 보니까 어색하네요 크크
보라도리
19/11/14 00:18
수정 아이콘
본인 개인 유튜브 활동도 하고 있습니다 전자기기 리뷰 하던 ..
보라도리
19/11/14 00:16
수정 아이콘
아직 정식계약은 아닌데 시간 문제라 봐야 겠죠
문제는 계약 하면 그렇게 본인이 욕하던 더락 브록 처럼 파트 뛰다가 대형 이벤트에 수저 올리고 엄청난 수당 받으며 활동할텐데..

탈단하고 나름 응원했는데 그후 행보나 발언보면 졸렬펑크 라 불러도 손색이 없는
아르타니스
19/11/14 00: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분명히 위와 같은 이유로 진성 레덕들에게 시카고 외 지역에 잠깐 받을 수 있는 부정적인 반응 및 야유도
마이크웍 하나만으로 바로 환호 만들거나 현재 로스터중 압도적인 탑힐도 가능한 다양한 쓰임새가 많은 카드라
WWE 입장에도 악마의 계약을 한 셈일 겁니다.

현재 시청률 지표가 최악의 상황인 wwe에게 이런 파트타이머 없이 타계할 수 있는 1의 가능성을 만들어줄 베이비 페이스
(한 레슬링 단체를 이끄는 얼굴을 북미에서 이렇게 하더군요)를 만들어낼 능력이 현 wwe 시스템상 없다고 보는게 맞거든요.

개인적으로 펑크 입장으로 볼때도 지금 컴백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아무리 감이 떨어졌다 한들 물리적으로 거동이 불편하지 않는 이상 지휘봉을 쥐고 있는 빈스강점기
이때가 펑크의 유일한 컴백시기라고 보거든요.

빈스는 비즈니스를 위해 개인 감정마저도 쿨하게 처리할 수 있는 사람이지만
삼치와는 인간적으로도 관계가 안좋은 상황이라 아마 삼치강점기였다면 아얘 컴백 자체도 시도를 안했을 겁니다.

삼치 이사람은 그동안 키워온 NXT가 메이저 방송국의 프로그램이 되면서 점점 회사내 장악력을 키워나가고 있습니다.

현재 로스터 대부분이 NXT및 삼치식 리빌딩을 통해 거쳐온 로스터 위주인 상황이라 조만간 삼치가 원하는 시스템으로 바뀔 가능성이
큰데 그렇게 되면 삼치 입장에는 과거 본인이 인디업계에 부정적으로 생각했던 시절의 인디의 왕이었고
본인의 손을 통해 리빌딩 되지 않은 구시대격인 인물인 펑크는 눈에 밟히는 가시같은 존재였고 그렇기에 펑크가 더 클 수 있었던
11년도 하반기 당시에도 삼치는 잡을 거부하면서 펑크 역시 삼치에게 안좋은 마음이 생겼고 그렇게 만들어진 불편한 관계라서..

물론 의료적인 소송으로 빈스와도 불편한 관계였지만 펑크가 돈만 벌어준다면 빈스는 언제라도 과거정도는
쿨하게 넘어가는 위인이라 펑크에게는 지금 상황이 본인이 이 단체에 돌아올 마지막 타이밍이라고 봅니다.
Lazymind
19/11/14 00:21
수정 아이콘
테마는 역시 좋네요.
구디구디
19/11/14 09:35
수정 아이콘
근데 레슬링적으로 별로 기대가 안되서..전성기 펑크만한 워커들도 이제 꽤 많은편이라...크흠
새미제인 이상의 트러블 메이커인데 과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2490 [스포츠] 북미에서의 프로레슬링 인식에 대한 짧은 글 [36] TAEYEON9627 20/08/29 9627 0
52487 [스포츠] (wwe)로만 레인즈 드디어 악역전환? [14] 보라도리4904 20/08/29 4904 0
52278 [스포츠] [wwe] 빈스가 레매36 리허설 때 스턴트 직접 시연한 영상 [10] Davi4ever4586 20/08/22 4586 0
51298 [스포츠] [wwe] 탈모로 고민인 내가 알고보니 아이콘이었던 것에 대하여 4 [7] TAEYEON5020 20/07/18 5020 0
51091 [스포츠] [wwe] 탈모로 고민인 내가 알고보니 아이콘이었던 것에 대하여 3 [5] TAEYEON4546 20/07/11 4546 0
50957 [스포츠] [wwe] 탈모로 고민인 내가 알고보니 아이콘이었던 것에 대하여 2 [6] TAEYEON5367 20/07/06 5367 0
50953 [스포츠] [wwe] 탈모로 고민인 내가 알고보니 아이콘이었던 것에 대하여 1 [12] TAEYEON4776 20/07/06 4776 0
50557 [스포츠] wwe의 레전드 언더테이커 36년만의 은퇴 [28] TWICE쯔위5758 20/06/22 5758 0
50542 [스포츠] [프로레슬링] 프로레슬링판 미투 [7] TAEYEON6986 20/06/22 6986 0
49474 [스포츠] [프로레슬링] 어쩌면 팬들이 wwe를 보면서 가장 감동했었을 장면 [17] TAEYEON4316 20/05/12 4316 0
48967 [스포츠] XFL 리그가 한국시간 2월 9일 4시에 시작합니다. [13] 모쿠카카3991 20/02/08 3991 0
48629 [스포츠] 포브스 선정 세계 탑10 스포츠 이벤트 브랜드 가치.jpg [54] VictoryFood8868 20/01/30 8868 0
48589 [스포츠] [wwe/약데이터] 9년만에 돌아온 친구를 열렬하게 환영하는 랜디오턴.gif [30] 나의 연인6033 20/01/28 6033 0
48561 [스포츠] [wwe] 로얄럼블, 9년만의 복귀 [17] 부모님좀그만찾아6090 20/01/27 6090 0
48548 [스포츠] wwe (로얄럼블) 최고의 스테이블.jpg [7] SKY924097 20/01/27 4097 0
48529 [스포츠] [wwe] 로얄럼블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기 [13] 태연­4999 20/01/26 4999 0
47204 [연예] [wwe] 경기 중 꽤 위험해보이는 뇌진탕 부상을 당한 카이리 세인 (데이터) [26] 나의 연인10552 19/12/18 10552 0
46470 [스포츠] [프로레슬링] 우주최강의 터프가이 케빈내쉬에 대해 알아보자. [15] TAEYEON5255 19/11/27 5255 0
46461 [스포츠] [프로레슬링] 우주최강 인성갑 스캇스타이너를 알아보자 [16] TAEYEON7070 19/11/27 7070 0
46069 [스포츠]  [wwe/AEW]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2019/11/15 [4] TAEYEON4342 19/11/16 4342 0
45989 [스포츠] [wwe]돌아온 탕아? [17] kien6161 19/11/13 6161 0
45360 [연예] 장난으로 시작한 프로젝트가 일본의 국뽕그룹이 되어버린 이야기 3 (베이비메탈) [17] Gunners9677 19/10/28 9677 0
44413 [스포츠] [레슬링] 수요일 밤의 시청률 전쟁, AEW vs NXT 개막 [19] 비역슨4147 19/10/04 414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