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5/02/01 20:21:17
Name 표절작곡가
Subject [질문] 운동(스포츠) 의문점.....
축구는 90분 풀에 연장 플러스해도 올타임 뛰는게 가능하고,,,
마라톤은 2시간 넘어서 계속 뛰고,,,
게다가 철인 3종도 가능한 반면....

왜 격투는 3분만 링에 있어도
체력이 바닥 날까요???
(물론 프로 경기는 몇 라운드 해서 더 오래 하긴 합니다만...)

게다가 축구는
올타임 뛰어도 한 3,4일 쉬면 또 경기 투입할 수 있는 반면,,,
그리고 야구 선발도 완투한다고 해도,,,
5일 쉬면 또 선발로 나오죠~

그런데
격투는 한번 올라운드 하면,,,
몇 개월 쉰다는거???

어떤 차이점이 있길래 그럴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his-Plus
15/02/01 20:31
수정 아이콘
모든 투기종목엔 체급이라는 게 존재하죠.

감량도 그에 한몫 한다고 봅니다.
15/02/01 21:31
수정 아이콘
이게 가장 크다고 봅니다.
말씀하신 스포츠들은 평소 유지 가능한 신체상태를 가지고 경기하는데 격투기들은 평소 유지 불가능한 신체 상태를 몇 개월 동안 만든 후에 시합 당일 하루 유지한 후 다시 정상 상태로 돌아가면서 몸을 회복하거든요...
15/02/01 20:37
수정 아이콘
에너지를 전력으로 쓰느냐 안 쓰느냐의 차이죠. 당장 일반인은 100미터 전력질주만 해도 고작 13초~15초만 뛰어도 숨이 넘어갑니다. 마라톤은 인간이 낼 수 있는 최대 속력의 반 정도에서 뛰는 것이고 축구는 실제 뛰는 시간이 90분중에서 그렇게 길지 않죠. 90분동안 10키로미터 내외를 뜁니다. 그러나 격투기는 말 그대로 낼 수 있는 최대한의 에너지를 그 3분동안 쉬지않고 내야 되기 때문이죠.
2막4장
15/02/01 20:38
수정 아이콘
요새 더파이팅을 보는데...
고작 3분을 못버티나? 싶다가도, 쉴새없이 펀치를 휘두르는 거 보면 무산소 운동을 저정도로 난 3분동안 할 수 있나 싶어요.
그것도 맞아가면서요. 머리 한대 맞으면 온세상이 핑핑 돌텐데..
배에 맞으면 데굴데굴 구르고 싶을텐데..
15/02/01 20:44
수정 아이콘
운동량 자체가 다를 뿐더러 얻어맞기까지 하니 몸에 가해지는 부담이 훨씬 큽니다.
경기 사이 텀이 긴 이유도 이에 따른 선수 보호 차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치토스
15/02/01 20:45
수정 아이콘
당장 어렸을때 자신이 싸웠던 기억이나 싸움구경 한것만 곱씹어 봐도 2,3분만 주먹 휘두르고 엉켜서 치고박아도 온몸에 힘이 다빠진듯 힘들고
숨을 헐떡대죠. 당장 눈앞에 있는 상대를 이기기 위해 온힘을 다해서 전신 에너지를 소비하니까 당연한거라고 생각합니다.
15/02/01 20:54
수정 아이콘
지면 안 되니까 힘을 아끼기가 힘듭니다.
15/02/01 21:07
수정 아이콘
축구의 경우 90분 내내 스프린트로 전력질주하는 건아니죠.
오히려 단거리 달리기라면 모를까요... 그리고 3일만에 다시 경기 뛰는 거는...힘듭니다.ㅠ
15/02/01 21:11
수정 아이콘
힘의 집중을 3분 내내 해야하는 것과
90분 동안 적절히 쉬면서 힘을 집중하는 것과 차이가 있을 것 같네요.
만약 축구도 전력다해서 뛰라고한다면 3분도 못할듯..
동네형
15/02/01 23:31
수정 아이콘
전력질주를 10초밖에 못하지만 열시간을 걸을수 있는거랑 겉은 이유입니다. 나눠쓰는 정도와 쓰눈시간 대비 회복시간의 비례로 생각하시면 됩미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02654 [질문] NBA짤 찾고있습니다 (올타임순위) [4] 쉘든2662 17/05/15 2662
98256 [질문] [NBA] 샤킬오닐+노비츠키면 조던을 제칠 수 있을까요? [16] 엄마를화나게하는방법4746 17/02/18 4746
97653 [질문] 요즘 해축 올타임 순위가 어떻게 되나요? [15] Samothrace9700 17/02/07 9700
97311 [질문] 실제 실력에 비해 커리어가 저평가된 축구선수 [34] bonk35562 17/01/31 5562
95018 [질문] 국내 스포츠선수 외모 올타임 넘버원이 누구일까요..? [57] 비야레알4947 16/12/18 4947
78084 [질문] 만약 약 35미터 안쪽 거리에서 모든 프리킥을 70% 확률로 넣을 수 있는 일반인이 존재한다면 시장가치가 얼마일까요? [34] 유라4471 16/02/15 4471
69894 [질문] E스포츠 모든 종목을 통틀어 올타임 베스트 10을 꼽는다면? [21] legend3152 15/10/10 3152
69864 [질문] 메이웨더는 올타임 몇위쯤 될까요? [5] dragic2226 15/10/10 2226
65714 [질문] 철학자 올타임 베스트10을 뽑는다면? [20] legend2588 15/08/05 2588
65708 [질문] 서양사 올타임 TOP 10을 뽑는다면...? [16] Dj KOZE1765 15/08/05 1765
65685 [질문] 중국 장군 탑 10을 꼽는다면? [28] 포메라니안6306 15/08/05 6306
65664 [질문] 중국 역사 올타임 10 뽑으면 누구누구 인가요? [47] 오즈s3249 15/08/05 3249
65337 [질문] [스타1] 홍진호 선수는 어느정도 급의 선수였을까요? [95] 부먹충4653 15/07/31 4653
62632 [질문] 미국 프로레슬링 레전드 베스트5 누구라고 생각하세요? [28] 치토스2086 15/06/19 2086
62136 [질문] 유비와 촉한의 주요인물들이 고평가받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28] Uripin3244 15/06/12 3244
54774 [질문] 우리나라 장군 no.1은 충무공인가요? [18] ohmylove2664 15/02/28 2664
52964 [질문] 운동(스포츠) 의문점..... [10] 표절작곡가1475 15/02/01 1475
44394 [질문] 특정팀의 현역선수가 그팀의 올타임 넘버1 레전드인 경우? [27] 표혜미2258 14/10/10 2258
39677 [질문] [NBA] 이런 스타일에 올타임 넘버원 본좌는 누구인가요? [23] HesBlUe2006 14/08/07 2006
33709 [질문] 소향 같은 파워발라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왜그래아잉801 14/05/22 801
33031 [질문] 슬램덩크 올타임 넘버원은 누굴까요? [52] 꽃보다할배2518 14/05/14 2518
32688 [질문]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강력했던 장군은 누구일까요? [34] Darwin40783135 14/05/09 3135
23152 [질문] 배드민턴 선수질문입니다 [6] 교자만두1077 14/01/08 10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