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4/10/25 22:56:38
Name 박보영
Subject [질문] 부르기 쉬운? 편안한? 노래 추천좀 해주세요(PGR 음치들 다 모여요~)
안녕하세요. 누가들어도 음치 27세 남성입니다.
음치라면 "그냥 음악 나는 몰라요." 하고 살면 편안할텐데... 저는 참 음악이 좋네요.
듣는 것도 좋아하고 흥얼거리는 것도 좋아하고 통기타 연주하면서 부르는 것도 좋아하고~

그런데... 노래 너무 못해요... 참 못해요... 왜 그렇게 못할까 생각했는데
일단 음정 잘 못맞추고 높은 부분 안 올라가고, 박자 쟈가쟈가쟈가 쪼개지는 어려운 노래 정말 못불러요ㅠ

그래도 이런 저에게도 18번 노래들이 있지요.
내 노래 실력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과 노래방에 가서 이 노래만 딱 부르면 '아 저분 노래 평균정도는 하시는구나'
라고 믿게 할 자신 있는 노래들이요.흐흐
흔히 부르기 쉽거나 정말 노래 못하는 남자들의 노래... 그런 노래들이죠.
(ex. 델리스파이스-고백, 신성우-사랑한후에, 윤도현-사랑Two,너를 보내고)

그런데 느껴지시죠? 맞아요... 아직 27살인데 너무 다 옛날 노래들이에요ㅠ
이제 좀 2010년대에 나온 노래중에 (제 기준에서의 최신곡이 이 정도;;;) 그나마 음치들의 희망인 노래들을 알고 싶어요.
여기 pgr에도 음치들 많이 있으시죠? 그래도 나 이 노래는 부를 수 있다 싶은 노래 좀 알려주세요.
저도 저기 위에 4개 오픈했습니다. 우리 자기들만의 필살기, 이 노래는 좀 만 연습하면 부르기 편하다 싶은 노래들 좀 공유해 주세요.


ps. 부르기 좋고 정말 좋은 노래들이라면 꼭 최신곡이 아니어도 상관 없습니다!!
많이 추천 받고 많으 들어보고 싶네요.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10/25 22:58
수정 아이콘
이분야의 갑은 김동률로 익스큐즈된거 아니었나요?!
박보영
14/10/25 23:00
수정 아이콘
김동률 최근에 나온 그게나야 들어보셨습니까?? 저는 한 번 들어보고.. 아 이노래는 듣기 좋은 노래다... 부르기 좋은 노래는 아니다!! 라고 딱 느낌이 왔었는데...
王天君
14/10/25 23:25
수정 아이콘
에이....노래 잘하는 친구들도 김동률 노래는 잘 안건드리더군요.
소신있는팔랑귀
14/10/25 23:01
수정 아이콘
예전 노래면 UN노래들도 괜찮았던 것 같아요. 파도나 선물 같은 곡이요
랜드로드
14/10/25 23:03
수정 아이콘
UN 노래 부르기 어렵죠... ㅠ
소신있는팔랑귀
14/10/25 23:04
수정 아이콘
아.. 어렵나요? 위에 곡들보다 쉬울 것 같아서요. 사랑투나 사랑한후에보다 어렵다는 생각이 안들어서요;;;
Nasty breaking B
14/10/25 23:13
수정 아이콘
UN 선물 정도면 정말 쉬우면서 그럴싸한 곡이죠.
랜드로드
14/10/25 23:21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먼가 사랑한후에랑 사랑투는 고음이 중요하지 않은데 선물 같은건 너무나~ 부터 올려야해서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흐..;
Shandris
14/10/25 23:02
수정 아이콘
굳이 장르로 구분한다면 펑크가 괜찮다고 생각하지만...요즘 이쪽에서 인기끌던 노래가 있었는지는 모르겠네요...
14/10/25 23:03
수정 아이콘
처진달팽이 - 말하는대로
태연­
14/10/25 23:05
수정 아이콘
존박 - I'm your man 제 필살기 입니다. 노래방서 두시간 이상 달려서 목 다 쉬어도 무리없이 부를수 있는 노래죠
황신강림
14/10/25 23:06
수정 아이콘
저랑 비슷하시네요 저는 이적-다행이다 조규만-다줄꺼야 그리고 버스커 노래 자주 부릅니다.
14/10/25 23:11
수정 아이콘
벜벜노래들이 고음불가인 사람들이 부르기 좋아요.
14/10/25 23:12
수정 아이콘
대학원 다니신다면 하하의 키작은꼬마이야기 크크
2015합격
14/10/25 23:17
수정 아이콘
노래방가면 무조건 부르는 노래가 있습니다. 물론 같이가는 분들이 매번 같은 분이면 안됩니다만...
클릭비-보랏빛향기
분위기 제대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크크크
14/10/25 23:18
수정 아이콘
김연우의 우리 처음 만난 날 추천합니다.
14/10/25 23:35
수정 아이콘
izi - 응급실
진원 - 고칠게 정도가 생각나네요. 쉽고 아무나 불러도 잘 부르는 것처럼 느껴지는 노래.
오스카
14/10/25 23:36
수정 아이콘
버스커버스커요!
화이트데이
14/10/25 23:48
수정 아이콘
키를 낮추시면 됩니다. 뭔가 키 낮추는 것이 들키는게 껄끄러우시다면 제목찾기로 찾지 마시고 책에서 번호 찾으신 다음에 번호 누르고 키 낮추면 티 안나게 내릴 수 있습니다.

일단 쉽다는 노래 골라놓으신 것 보니 전형적인 일반인 남성의 증상(압력 조절이 안되서 F4(2옥타브 파)까지만 찍히고 G4 는 비강으로 소리 흘려서 겨우겨우 내는데 A4 이상으로는 삑사리, 저도 겪었던 문제라서ㅠㅠ)이십니다. 당장 G4 에서 한 키만 내려서 F#4~G4 만 만들어도 노래의 폭이 정말로 넓어집니다. (김광석 서른 즈음에, 김진호 가족사진, 바비킴 Mama, 신승훈 I Believe, 성시경 너는 나의 봄이다, 김동률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 하림 불치병, 정재욱 어리석은 이별 등등, 그런데 요새 노래방 기계도 피치를 자기 꼴리는대로 따오는 경우가 많아서.)
Darwin4078
14/10/25 23:52
수정 아이콘
옛날 노래라 추천하기 좀 그렇지만..

포지션 - i love you : 저의 비밀병기입니다. 이거 전주로 50점은 먹고 들어가구요. 고음이 있는것 같지만 별로 음이 안높아서 대충 노래방에코로 커버치면 쉽게 부를수 있습니다.
크라잉넛 - 밤이 깊었네 : 고음도 별로 없고 노래가 빠르지도 않고 쉽고 호응도도 괜찮을겁니다.
조pd - 친구여 : 랩 조금만 연습하면 그럴듯하게 하실수 있습니다. fever같은 노래도 조금 연습해보시면 괜찮게 하실수 있습니다.
델리스파이스 - 챠우챠우 : 은근히 락부심 부리면서도 쉽게 부를수 있습니다.
스프레차투라
14/10/26 00:39
수정 아이콘
레알 음치 고음불가들한텐 버스커 버스커가 진리입니다.
(처음엔 사랑이란게 제외.. 잘못 부르면 이상함)

장기하와 얼굴들도 무난하구요
14/10/26 03:33
수정 아이콘
버스커 버스커요.
제친구중에 음역대가 낮은 친구가있는데 항상 버스커노래는 자신감충만하게 부릅니다.
14/10/26 08:08
수정 아이콘
리스트에... 적으신 그런 노래가 18번이신것 부터 음치가 아니십니다..
저는 아예 노래방에서 부를 수 있는 곡이 없어요.. 애국가 외에는....
부럽습니다.
무무무무무무
14/10/26 10:10
수정 아이콘
이승환 노래가 대부분 음역대가 낮아요. 물어본다나 슈퍼히어로 같은 건 노래방에서 분위기 띄우기도 딱 좋고요.
회전목마
14/10/26 11:52
수정 아이콘
적어주신 윤도현곡 원키로 가능하다면
커버할 곡이 많으실것 같은데
일단 저는 이적(패닉이던가)의 기다리다 하고
성시경의 두 사람(이건 1절만) 추천해드려요
14/10/26 23:32
수정 아이콘
조용필씨의 빠운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7594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0265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78994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2187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3440
180037 [질문] 역사상 최강의 권력자는? [22] 용노사빨리책써라2360 25/03/15 2360
180036 [질문] 사진으로 동영상을 생성하는 ai 추천 부탁드립니다 [1] 키르히아이스1528 25/03/15 1528
180035 [질문] 달러 중장기 헷징 수단으로 어떤 게 있을까요 [2] 고흐의해바라기1678 25/03/15 1678
180034 [질문]  그래픽카드 RX 9070 XT 구입예정입니다. [11] 자가타이칸1818 25/03/15 1818
180033 [질문] 핸드폰 촬영대 추천받습니다. [4] 원장3046 25/03/14 3046
180032 [질문] 본토 마라 관련 음식 질문 [17] 모찌피치모찌피치3234 25/03/14 3234
180031 [질문] "~붕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8] 기무라탈리야4920 25/03/14 4920
180030 [질문] 휴대폰 1mbps 속도로 chatgpt 음성서비스 괜찮을까요? [6] will3101 25/03/14 3101
180029 [삭제예정] 세무사가 증여및상속 이와관련된 대출상환같은것도 상담 가능한가요? [6] 삭제됨4027 25/03/13 4027
180028 [질문] 노트북 내부 케이블 빼는 방법 [2] 사이프리드2801 25/03/13 2801
180027 [질문] kbo는 1군 2군 승격 개념이 없나요? [13] 떡국떡2995 25/03/13 2995
180026 [질문] 일본어 초보일때 볼 수 있는 드라마 추천 부탁드려요 [11] 콩순이1958 25/03/13 1958
180025 [질문] 혹시 대형TV(75인치 이상)를 메인 모니터로 사용하시는분 계신가요? [19] theo2308 25/03/13 2308
180024 [질문] 생활팁 질문입니다. [4] 장헌이도1406 25/03/13 1406
180023 [질문] 홋카이도 운전 관련 질문드립니다. [12] 루크레티아1190 25/03/13 1190
180022 [질문] MG손해보험 실비보험 가입자는 이제 어떻게 대응해야할까요? [7] 국힙원탑뉴진스1997 25/03/13 1997
180021 [질문] 집이 전체적으로 어두운데 조명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8] 민서1210 25/03/13 1210
180020 [질문] 식당 카드기기가 이상할 때 대처법 궁금합니다 [19] 앙몬드1843 25/03/13 18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