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4/07/24 10:29:44
Name 글곰
Subject [질문] [크킹2] 어떤 땅이 좋은 땅인가요?
어제 자기 전에 드디어 왕위를 하나 먹었습니다.
그래봤자 유럽의 변방, 조그만 아일랜드의 왕일 뿐이지만 그래도 감격스럽더라고요.
왕위에 오르고 데쥬레 권역의 백작들에게 봉신이 되기를 권유하자 죄다 고개를 숙이고 들어오는 것도 참 기분이 좋았습니다.

그런데... 영토가 넓어져서 이제는 봉신들에게 백작령 공작령을 나눠줘야 할 시점이 왔습니다.
공략을 보니 좋은 땅을, 공작령 위주로 직할영토로 하라고 하는데
솔직히 어느 땅이 좋은 땅인지 모르겠습니다. 삼국지처럼 인구/상업/농업 딱딱 수치 나오면 편한데 그렇지가 않더라고요.

세금 많이 거두는 땅이 좋다는 것 정도만 알겠고 기술이나 이쪽으로 가면 아예 뭐가 뭔지 모르겠습니다.
심지어는 어느 메뉴에서 어떤 스탯을 봐야 하는지도 모르겠고요.

좋은 직할령 고르는 기준 좀 알려주세요.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당근매니아
14/07/24 10:33
수정 아이콘
일단은 영지 세울 땅이 많은 곳이 좋은 땅입니다
14/07/24 10:35
수정 아이콘
빈칸(비어있는 남작령) 말씀이시죠?
그런데 그거 새로 만들어 봤자 새로운 남작이 오기 때문에 결국 똑같지 않나요? 돈도 엄청 들던데요...
그리고 세금을 원하면 도시, 병력을 원하면 성까지는 알겠는데 사원은 왜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당근매니아
14/07/24 10:39
수정 아이콘
그 친구들에게 추가로 돈을 더 뜯어낼 수 있지요. 사원은 신앙 올리고, 해당 지역 사람들 종교가 다를 경우 종교귀의 시키는 데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걸로 알고 있어요.
허시멜로
14/07/24 10:38
수정 아이콘
사원은 세금과 병력 둘 다 충족이죠 대신 관계도가 안좋으면 세금을 딴 데 갖다바칠뿐...
14/07/24 10:40
수정 아이콘
관계도가 100인데도, 교황과의 관계도 역시 100이다 보니 역시 세금을 안주더군요. 어떻게 할 방법이 없던데요. ㅠㅠ
당근매니아
14/07/24 10:43
수정 아이콘
그러면 왕권 탭에서 신앙 관련 법률을 건든다든지, 궁정사제를 파견해서 교황과의 사이를 이간질한다든지 해야 할 거에요.
14/07/24 10:50
수정 아이콘
사실 근데 이게 영지세울돈이 많아도 영지 세워보면 이게 돈이 된다는 생각이 잘 안듭니다.
단순계산해봐도 세우는데 드는 돈이 세워서 얻는 돈보다 훨씬 많거든요...

그리고 뭐 기술은 수도 말고는 크게 연연하지 않아도 되구요.
그냥 돈 많이 주는 영지 이것만 기준으로 뽑으세요.
Siriuslee
14/07/24 11:12
수정 아이콘
라자스 패치이전 기준으로.. 공작령 순위권은
1. 바드다드 공작령 (페르시아 수도..) 최대 홀딩 32개, 1066년 26개
2. 플랑드르 공작령 (노르망디 바로옆, 지금의 벨기에) 최대 홀딩 31개, 1066년 20개
3. 톨루즈 공작령 (남동프랑스) 최대 홀딩 30개, 1066년 21개
4. 튀니스 공작령 최대 홀딩 29,1066년 24
5. 시칠리, 부루군디, 불가르 : 최대홀딩 28, 1066년 18

뭐 이정도 있습니다. 최대 홀딩이 가장 중요하지만,
위 5위권인 시칠리 부루군디 불가르 모두 시작시 6개 백장령당 3개씩밖에 없으니 직접 만들어 줘야 합니다.

그냥 지나가는 정보로 알아두시면 되고요,

다 필요없고 서유럽에 세력을 넓히시고 싶으시면, 2위 플랑드르를 최대한 노려보세요, 괜히 크킹유저들이 꿀랑드르라 부르는 땅이 아닙니다.
최대 홀딩 1위인 바그다드는 모두 내륙인데 비해, 꿀랑드르는 6개 백작령중 5개가 해안가입니다. 공화국 봉신 몇개 만들어서 교역소 지어놓고, 꿀랑드리 빈 홀딩에 도시만 쭉쭉 만들어 놓으면 오직 직할령 6개 수입만으로도 쓰고 넘치게 돈이 벌립니다.
가장 문제라면, 이 꿀랑드르가 신롬 데쥬레 라는거... 신롬이랑 칼의 대화를 해야한다는 것?
(1066기준으로 시작하자마자 신롬vs프랑스 전쟁이 터지는데 그 명분이 바로 이 꿀랑드르에 대한 데쥬레 명분이죠)


아일랜드 -> 브리타니아를 노리신다면 가장 추천드릴 영지는..

아일랜드 내에서는 1위 얼스터(백작4, 최대홀딩 14, 1066 12), 2위 먼스터(백작3, 최대홀딩 12, 1066 9) 정도에서 시작하시면 됩니다.
보통 전 그냥 먼스터의 토르먼드 정도에 수도를 삼기는 합니다만,
(수도의 기술이 전파되는건 인접 백작령들이니, 그나마 가장 많이 인접 백작령을 가진곳)

얼스터쪽 백작령을 확보하는 상황을 봐서 얼스터쪽으로 옮기기도 합니다.
아일랜드 왕국안에 공화국은 보통 렌스터 공작령을 이용하고요.

그 다음으로 노리는건, 역시 잉글랜드의 에식스 공작령의 미들섹스죠. 관습헌법상 브리타니아 수도이기도하고(..)
어짜피 브리타니아 안에서는 백작령 4개짜리가 가장큰 공작령이니까요.

그 외에는 1차적으로 브리타니를 노립니다. 꿀랑드르.. 는 여의치 않으니 대용으로 사용합니다.
브리타니도 서유럽 몇안되는 6개 백작령이고, 또 6개 모두 해안가입니다. 그리고 최대 홀딩도 25개로 8위권입니다.


홀딩건설은 내가 직접 직할지로 남겨둘거면, 도시를 만들어서 세금 수입을 늘리는게 좋고,
부하 봉신의 영지로 남겨둘거면 성을 지어서 그 부하봉신에게 직접 줘버리는게 좋습니다.
(분할상속이면 어짜피 갈라지겠지만.. 그 봉신이 살아 있는 동안에는 깨알같이 세금 수입이 많아지고, 그 돈으로 성 업글 해줍니다. 그러면 최종적으로 내가 뜯어낼 병력이 깨알같지만 많아지게 되겠지요)
14/07/24 11:24
수정 아이콘
오우.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하지만 플란드르까지 먹으려고 하면 너무나 머나먼 미래의 일이겠네요.

2대가 58살이 된 시점에서야 겨우 아일랜드 왕이 되었고
클레임 좀 먹어보려고 스코틀랜드 여왕(10살...)에게 손자를, 웨일스왕 후계자(14살...)에게 손녀를 약혼시킨터라
한 4,5대쯤 내려가야 겨우 브리튼 정복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하는 중입니다. 흐흐.
(사실 저렇게 결혼시키면 클레임을 먹을 수 있는지조차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 질러보는 거죠 뭐.)

얼스터는 아마 아일랜드 북부인가요? 왕 되자마자 기분좋게 너 내 봉신해라! 그렇게 정리해버렸는데 그럼 직할령 삼기는 물 건너갔네요. 흐흐. 그냥 있는데로 살아보면서 얼른 브리튼 정복을 계획해 봐야겠습니다.
Siriuslee
14/07/24 11:51
수정 아이콘
꿀랑드르는 그냥 예일뿐입니다. 나중에 제국급으로 성장시킨 후 생각하시면 되고요. 흐흐
프랑스vs신롬 사이에 끼어서 판도가 조각조각나있을 확률이 높아서 먹기도 어렵습니다.
(간혹 프랑스 내전을 틈타서 독립할때도 있긴 하던데..)

브리타니 공작령이 가장 노려볼만합니다.
찾아보면 클레임 가진 인물도 차고 넘치고, 내전도 잘 터지는 곳이라서 약한클레임으로도 충분하고, 방법이야 참 여러가지가 있지요.

스콧과의 결혼은 정말 매우 추천드리는 방법인데,
웨일즈 왕 후계자와 손녀와의 결혼은 득은 동맹 뿐이고, 나중에 수틀리면 웨일즈 왕이 아일랜드 클레임으로 전쟁 걸릴 수도 있습니다.
이 결혼을 통한 클레임이나 상속으로 꿀꺽은 거의 불가능 합니다.
14/07/24 13:03
수정 아이콘
하나만 더 질문드릴게요!
스코틀랜드 여왕과 약혼한 손자가... 첫째아들의 둘쨉니다. 첫째아들의 첫째손자가 당연히 후계자고요.
그럼 스코틀랜드의 후계자들과 여왕까지 죄다 암살해서 제 둘째손자가 스코틀랜드 왕이 된다면, 제 후계자(첫째손자)와의 관계는 어떻게 되나요? 봉신이 되는지 아니면 그냥 스코틀랜드로 남는 것인지...
Siriuslee
14/07/24 13:42
수정 아이콘
흠좀무..

상속법과 모계결혼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만, 일단 분할상속 or 장자상속, 일반결혼이라고 가정하면,

일단 스콧여왕 - 차남 사이에 아들을 낳고,
스콧 여왕 -> 그 아들 (및 다른 후계자) 순서로 암살하면 차남을 왕위에 올릴 수 있겠지요.
그럼 그 상황은 그냥 남남입니다.

한단계 더 가서 스콧왕이 된 차남을 암살하면(이미 후계자들은 전단계에서 다 죽었을테니..), 같은 가문(우리가문)원 중 가장 가까운 남자가 후계자가 되겠지요?
(아버지라던지, 형제라던지)
상속순위 봐서 장손이 스콧 상속 받을 순 있겠습니다. 아주 피로 얼룩진 왕관이 되겠군요. 흐흐


그냥 암살 하지 않고 차남의 자식들이 스콧왕위에 오르는걸 그대로 놔둬도,
자식을 순풍순풍 낳지 않는다면.. 아일랜드 왕가로 스콧 왕에 대한 클레임이 생기기도 합니다.(그런데 운... 거의 안생기죠)
(상속순위 3순위안에 들면 약한 클레임이라고 해도 강한클레임처럼 아무때나 전쟁 선포 가능합니다. 왕위계승전쟁)
14/07/24 13:46
수정 아이콘
으어. 이거 엄청나군요. 대체 몇명을 죽여야 하는 건지...
아이언맨 모드에서는 이게 가능하기나 할지 의문이네요.
아니면 그냥 장남 암살해버리고 차남에게 몰아주는 게 훨씬 빠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막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14/07/24 11:14
수정 아이콘
1은 각 카운티가 하나의 영지였고 기본 수입값을 일일이 매겨놨었습니다. 2로 오면서 모든 영지(홀딩)을 "동일선"에 세웠고, 대신 각 카운티의 차이는 (지정학적인 면을 제외하면) 그 홀딩 수로만 구분했죠. 그래서 언급하신 것과 같은 인구/농업/상업과 같은 수치 부분에서 홀딩 최대수는 그 영지의 최대 인구값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고, 홀딩 수 외의 변수는 있어도 그 최대값은 같기 때문에 특별히 볼 필요가 잘 없습니다. 일이십년을 바라본다면야 현재의 상태도 중요하지만 크킹에서 플레이어는 수백년을 봐야 하는 것이고, 영지의 건물이야 돈 들여서 세우면 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세금은 직신에게서만 거두기 때문에, 직할 카운티 휘하에 6개의 추가 홀딩이 있는 것과 3개의 추가 홀딩이 있는 것은 (직할 성에서 나오는 것을 제외하면) (성, 성당, 시가 1:1:1이라고 해도) 세금 면에서 2배 차이가 나게 됩니다. 그리고 귀족 봉신에게서 얻는 세금은 디폴트가 0%이므로, 사실 세수라는 면에서는 휘하에 봉신인 백작이 많은 것보다 홀딩이 많은 백작령 하나 직할로 다스리는게 더 크고, 거기에 보통 직할 백작령은 휘하 홀딩을 시로 채우기 때문에 몇 배의 차이가 나게 되죠.
Siriuslee
14/07/24 11:21
수정 아이콘
직할지는
1차적으로 [수도]가 속해있는 공작령을 모두 직할지로 다스리는게 [아주] 좋습니다.

수도가 속해있는 직할령에는 병력 25% 추가 보너스가 붙습니다.(마샬의 훈련, Keep 트리 건물의 보너스, 군주의 마샬능력과 중첩)
그러니 수도 위치가 가장 중요하겠지요.

보통 왕이 되고 관리력이 적당히 되면 직할지 수가 6개 이상은 기본이니까..
꿀랑드르 같은 백작6개짜리를 온전히 내가 지배하는게 좋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0712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3708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3365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6473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8359
181056 [질문] 게시물 올릴 때 유튜브 주소만 나오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카페알파178 25/07/04 178
181055 [질문] 염색샴푸에 대한 질문 및 추천 부탁 드립니다. [4] Love.of.Tears.186 25/07/04 186
181054 [질문] MSI 중계보는데 옆에 꽃 표시는 뭔가요????? [1] bifrost1085 25/07/04 1085
181052 [질문] 크로스핏, 복싱체육관 질문합니다. [12] 보아남편926 25/07/04 926
181050 [질문] 엑스박스 발로란트 질문입니다. [1] 바람의 빛1632 25/07/03 1632
181049 [질문] 아이폰/아이패드 상단바 부분 누르면 스크롤 최상단으로 올라가는 거 끄는 법이 있나요? [1] liten1790 25/07/03 1790
181048 [질문] 러시아어를 배우려고 하는데 왕초보라서 어떤 책을 봐야 할지 모르겠는데 교재 좀 추천해주세요. [2] 미키맨틀1811 25/07/03 1811
181047 [질문] 둘중 한명의 선수로 살아볼수 있으면 누가 더 매력적이세요? [22] 마르키아르2453 25/07/03 2453
181046 [삭제예정] 바르셀로나 vs FC서울 경기 티켓 구하시는분 있을까요? [4] 삭제됨1895 25/07/03 1895
181045 [질문] [사진첨부] 해당 나무의 이름이 뭘까요..? [1] 해버지1200 25/07/03 1200
181044 [질문] 원피스는 만화와 애니가 동시 진행일까요? [6] 회색사과1197 25/07/03 1197
181043 [질문] 위내시경 비수면으로 하면 큰일날까요....? [48] EnergyFlow2483 25/07/03 2483
181042 [질문] 사진보관용 외장하드에 대해질문드립니다. [9] 천우희2064 25/07/03 2064
181041 [질문] 뇌전증(간질) 약은 하루 12시간 간격을 꼭 지켜야하나요? 30분-1시간 정도 약 먹는게 늦어지면 위험한가요? [5] Succession2495 25/07/02 2495
181040 [질문] 정말 오래된 차인데 와이프 출퇴근용으로 타려합니다.이런 저런 질문즘 드립니다 [6] 하이킹베어2609 25/07/02 2609
181039 [질문] 선물용 양주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우엉징아리2510 25/07/02 2510
181038 [질문] PC 견적문의 드립니다. [11] 종합백과1749 25/07/02 1749
181037 [질문] 옷(브랜드) 관련 질문입니다. [17] AquaMarine1332 25/07/02 13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