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6/19 01:39
1. 산업기사(타 자격 포함) 이상 + 실무경력 1년 이상
2. 기능사(타 자격 포함) + 실무경력 3년 이상 3. 동일분야 자격 기사 이상 4. 3년제 졸업자 + 실무경력 1년 이상 5. 4(5)년제 전 과정의 1/2 이상 수료 + 실무경력 2년이상 6. 2년제 졸업자 + 실무경력 2년 이상 7. 실무경력 4년 이상 8. 4(5)년제 관련 학과 졸업(예정)자 이라는군요
14/06/19 02:08
전자전기공학과 자체가 관련학과 아닌가요.
저두 전자공학과인데 가지고 있는 자격증입니다만.. 그리고 확실히 IT분야로 취업을 할려면 꼭 필요한 자격증은 맞는거 같고요.. 그 외에는 그냥 컴활 같은 컴퓨터 자격증으로 인식되는 분위기입니다. 누구나 쉽게 따서.. 공무원, 공공기관 채용 등 그냥 가산점으로요.. 사무직종을 준비하시는분들도 많이 가지고 계시더라구요.
14/06/19 07:39
산업인력 공단 직원입니다. 정보처리기사는 4년제 대학의 최종학년 재학중이신 경우 학과에 상관없이 다 보실수 있구요
지난번 시험때도 간호,경영,영문,법학 등 다양한 분들이 다 보셨고 이상없이 응시자격 다 되셨습니다. 편히 준비하셔서 시험 잘 보시면 될거 같네요. 응시자격 서류는 시험 신청하실때 큐넷에서 온라인으로 학력증명서 제출하는게 가능 하니까 그때 내시면 될거에요
14/06/19 11:04
학과 뿐 아니라 유사 경력에도 제한이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정보처리기사만 저렇게 하는 것에 대해 저도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네요
14/06/19 11:08
막상 컴퓨터쪽 전공자 입장에서 비 전공자가 타 직업군 기사를 도전하려면 별도의 다른것들이 필요함에도,
정작 정보처리기사는 다른쪽에서 들어오는 진입장벽이 없는 수준이다 보니 이상하더라구요.. (.....) 기사를 합격해서 자격증이 있기는 하지만, 경쟁력이 있는 자격증인가는 가끔 의문이 들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