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13/11/24 14:18:15
Name 마르키아르
Subject [질문] 피겨잘아시는 회원님~ 김연아 관련 질문있어요 ^^;



1. 메이저 대회에서 우승한 가장 나이 많았던 여자 피겨 선수는 몇살인가요?


2. 현재 김연아 선수 기량은 어느정도인가요? 소치의 가장 유려한 금메달 후보지만, 전성기보다는 좀 떨어졌다고 봐야 할까요?


3. 전세계 피겨팬들 상대로 역대 여자 피겨 올타임 no.1 을 설문하면 김연아가 몇위쯤 할까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컵라면
13/11/24 14:24
수정 아이콘
1.영국에 매지 사이어스 언 이라고 1908올림픽에서 26살 나이에 우승했습니다
2.소치때보다 더욱 기량이 늘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다만 부상이 조금 신경쓰이긴 합니다
3.그냥 김연아라는 이름이 피겨의 no.1입니다
마르키아르
13/11/24 14:44
수정 아이콘
워어 100년도 더 전이군요 ^^;;;

최근 10-20년 정도로 보면 24, 25에 우승한 선수는 없겠죠?
도쿄타워
13/11/24 14:46
수정 아이콘
당장 2006 토리노 아라카와 시즈카만 해도 우리나라 나이로 스물여섯에 금 땄습니다.
마르키아르
13/11/24 14:51
수정 아이콘
오... 그정도면 소치도 아직 안한 시점에 이런말하기 그렇지만..

연아양 은퇴하고 좀 쉬다가..

다시 몸만들어 나오면.. 올림픽 3연패도 혹시.. ^^;;
13/11/24 15:09
수정 아이콘
이건 팬들의 욕심입니다 늦은 나이까지 계속 하는 선수들은 원하는 메달을 못따서 계속하는거죠.. 피겨 라는 운동이 너무너무 힘들어서 2연패 했으면 이제 그만 했으면 좋겠어요 실제로 외국 해설자가 한말중엔 연아 선수 점프가 너무 높고 파워풀해서 무릎에 부담이 많이가기 때문에 나중에 고생 많이 할꺼 라는 이야기를 한적도 있어요
13/11/24 14:40
수정 아이콘
2 올림픽 때보다 스피드가 줄었다고 느끼는 분들이 더러 있지만 점프성공률이 더 후덜덜해진 것 같고 표현력도 좋아서 전체적으로 이전 기량 이상이란 느낌입니다.

3 당연히 과거 선수들 팬은 인정하고 싶지 않아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런 경우에도 당대 최고의 선수의 서열을 매기려하는 건 어리석은 짓이다라고 하지 김연아 선수보다 누가 더 뛰어나다란 말은 나오기 어려울 정도로 김연아 선수의 기량은 올타임 넘버 원 수준으로 인정을 받습니다.
마르키아르
13/11/24 14:44
수정 아이콘
그정도군요.. 덜덜덜..
도쿄타워
13/11/24 14:45
수정 아이콘
1. 마지 시어스가 1908 런던 올림픽에서 만 스물여섯인가 스물일곱인가에 금 땄습니다. 최초의 금메달리스트이기도 하고요.
2. 기량 측면은 냉정히 말해 까봐야 압니다. 다만 최근 대회 보면 전성기와 별 차이 없거나 예술성에선 오히려 더 늘었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근데 기량 좀 떨어진다 쳐도 넘사벽인건 함정..
3. 역대급을 보통 커리어로 가른다고 치면 올타임 넘버원은 아닙니다. 초창기지만 올림픽 3연패-세계선수권 10연패의 괴물같은 소냐 헤니가 부동의 넘버원이죠. 그다음이 카타리나 비트고 그다음이 김연아가 아닌가 싶습니다. 올금도 물론이거니와 세계선수권 타이틀이 살짝 적은감도 있어서요. 이번에 올림픽 2연패 하면 조심스럽게 비트/김연아 동급으로 갈수도 있겠다는 생각은 합니다. 기량의 측면으로 보자면 김연아가 역대 넘버원 맞습니다.
13/11/24 15:27
수정 아이콘
1번은 여러분들이 답변 해주셨고

2.번은 올림픽때나 지금이나 별차이 없다고 봐야 합니다. 다만 레이백 스핀의 조심성이라든지 몇가지는 약간 몸을 사리는 듯한 인상도 풍기나
컨시의 대폭 상승 , 예술적인 부분에서 해탈의 경지까지 보이는 듯한 인상까지 느껴지는것을 보면 더 좋았으면 좋았지 못하지는 않은듯 합니다.
점프의 질은 남싱과 비교해야할 정도이니 역대 여싱 올타임 넘버원 점프머신이지요. 걱정하실필요 없는듯 합니다.

3. 잽머니의 장난으로 세계 선수권 금 최소 2개 이상 날아간거 회수하면 역대 올타임 no.1 맞습니다.
일단 아무도 이루지 못한 피겨 모든 대회 포디움 입성 , 쇼트+프리+총점 셋다 기네스인증 , 가장많은 신기록 제조
등등만 봐도 올타임 no.1으로 봐야 합니다.
과거의 레전드와 비교는 적절치 않으나 해외 해설자의 말을 인용하면 3 3 점프 뛰기도 힘들었던 카타리나 비트 시절보다 지금 김연아가
점프나 예술 모든 점에서 비교가 안된다고 봐집니다.
올타임 넘버원 투표에서도 김연아가 1등 했습니다. 해외 포럼에서요
괜히 피겨신 , 퀸유나 소리 듣는거 아닙니다. 해설자들이 몇십년 몇백년에 한번날까말까하는 천재라는 소리 듣는 여왕입니다.
도쿄타워
13/11/24 16:37
수정 아이콘
글쎄요. 세계선수권 금 회수.. 당시 판정에서 석연찮은 부분이 있었습니다만 그렇다한들 절대 커리어에 포함시킬 수 없구요. 설령 회수한다고 쳐도 커리어에서 밀립니다. 그 회수한; 월금 두개 추가하고 이번에 올림픽 2연패 먹어야 비트 커리어와 같아집니다. 데뷔 후 올포디움이라는 커리어가 플러스될 수는 있겠네요.

또한 채점제도가 다르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도 무리입니다. 당시 프로그램을 신채점제로 환산 비스무리하게 해 매길 수는 있겠습니다만 모든 스포츠가 그렇듯 피겨도 상향평준화를 거듭했으니 이 또한 의미가 없구요. 01년 스타리그 경기가 지금 보면 빈틈 많고 허술한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레전드 선수들 일렬로 세워놓고 프로그램 뜯어서 매겨보면 김연아가 제일 점수 높을 겁니다. 그냥 눈으로 봐도 김연아가 압도적일거예요. 하지만 어느 스포츠를 불문하고 이런식의 비교는 하지 않지요. 메시가 지금 진짜 완전 잘하니 80년대 옛날 축구했었으면 더 잘했을거임 그러니까 메시>>>마라도나 이러진 않으니까요. 그래서 '역대급'을 이야기할 때는 절대적인 실력이 아니라 커리어로 논하는겁니다. 커리어에서 소냐 헤니, 카타리나 비트, 이 두 선수에 못 미치는 건 엄연한 사실입니다. 올금3-월드10/올금2-월드4/올금1-월드2 이게 가장 명백히 드러나는 수치인데요.

그리고 예술성에서도 비교가 안된다는 말은 너무 나가셨습니다=_= 구채점제 최고의 프로그램이라 회자되는 토빌-딘의 볼레로나 비트의 카르멘이 예술성에서 밀린다는 평가를 받지는 않습니다. 애초에 주관의 영역이 더 크기도 하구요. 소냐 헤니요? 아름다움이란 게 있지도 않던 피겨판에 예술성이란 개념을 불어넣어서 판을 통째로 바꿔놓은 스케이텁니다. 이 사람 없었으면 지금 여자 피겨는 그냥 흔한 빙판 점프 대회가 되었을 수도 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9250 [질문] 피겨잘아시는 회원님~ 김연아 관련 질문있어요 ^^; [10] 마르키아르1686 13/11/24 1686
18060 [질문] [히어로즈] 베타키는 언제부터, 어떻게 받는건가요? [4] ramram1561 13/11/10 1561
14415 [질문] 아직까지 한국 여자 스포츠선수 커리어로는 김수녕씨가 올타임 넘버원이겠죠? [12] 凡人3096 13/09/30 3096
12758 [질문] kbo 역대 고평가 선수와 저평가 선수라면 누가있을까요? [20] 맥주왕승키2749 13/09/10 2749
11004 [질문] 호날두는 포르투갈 국대 역대 최고의선수로 올라선걸까요? [9] 라이언JS2640 13/08/19 2640
6581 [질문] NBA 역대 올타임 10을 꼽으라면 어떻게 될까요? [12] 순두부2778 13/06/29 2778
6192 [질문] [해축] 여러분이 생각하는 올타임 퍼스트 팀은? [36] Friday132211 13/06/24 2211
6183 [질문] [NBA] 각자만의 올타임 넘버원을 뽑는다면?? [33] 당삼구2000 13/06/24 2000
4822 [질문] 1990년 이후 한국 축구가 가장 약했던 시기는 언제라고 보세요? [15] Practice2367 13/06/07 23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