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11/11 16:44
http://www.monitor4u.co.kr/Review/review4u/ReviewImg/LED_Direct-Edge_compare_1.png
엣지는 백라이트가 테두리에서 중앙을 향해 쏘는 방식인 것 같습니다. 기술이 부족하면 광량이 부분적으로 고르지 못하고 얼룩덜룩할 것 같기도 하고요. 다이렉트는 대충 만들어도 적당히 고르겠지만 LED 개수가 차이가 나니 가격이 비쌀 듯 합니다.
13/11/11 16:50
1. 직하형이 이론적으로 우세한 것은 사실입니다. 이건 물리법칙인지라 부정할 수 없는 진실이구요.
2. 그런데 직하형도 직하형 나름이라, 로컬디밍 셋업이 잘못된 직하형은 에지형만도 못할 수도 있습니다. 3. 나아가 이게 구별되려면 소스가 블루레이 정도 수준은 되어야 합니다. 일반 공중파/케이블 방송에선 구별이 힘들다고 봐야죠. 4. 스캔율은 솔직히 마케팅 용도에 가깝고 그것 자체로 영상품질에 큰 플러스는 없습니다. 저는 240Hz까지 오버스캔되는 모델을 씁니다만, 스캔 기능을 끄고 쓰고 있습니다. 5. 직하형 정도 구매를 고려하시면 고급형 TV를 구매하시는 것인데, 캘리브레이션을 거치지 않으면 구입한 의미가 반감되실겁니다. 프로 장비까지 도입하지 않으시더라도, 씨넷이나 기타 인터넷 사이트에 나오는 유저 권장치들을 적용해가면서 맞는 세팅을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
13/11/11 16:55
직하방식이랑 예전엔 풀LED를 뜻하는 용어였는데 요즘은 삼성에서 저가티비에 직하라는 이상한 명칭을 붙여서 소구하는 바람에 도매급으로 넘어가는거 같은 느낌이네요.
진짜직하방식(풀LED방식)은 LG 9000대 모델밖엔 없습니다.
13/11/11 16:59
그런가요... 삼성 이놈들이.. -.-;;;
모르가나님 말씀대로 국내에 정식으로 유통되는 모델 중 직하형 모델은 엘지 최고급형과 소니 최고급형뿐입니다.
13/11/11 17:05
엘지 최초 풀직하 10년도버전이랑 삼성꺼 8000번대 쓰고 있는데 블루레이 돌려봐도 화질상 엘지가 뛰어나다 라는 느낌은 없어요.
삼성 요새제품은 모르겠는데 삼성꺼는 엣지+직하 합쳐진 특이한 방식인데 요것도 나쁘지 않더라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