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5/24 10:50
1. 차단기가 떨어짐
2. 해당 차단기는 "오래된 컴퓨터 및 냉장고" 있는 방에 전기 공급하는 차단기임 위와 같다면, 가설은 2가지가 있습니다. 1. 방에서 쓰고 있는 전기 용량이 차단기 용량보다 크다 2. 방에 전기를 안쓰고 있는데 떨어진다 1번의 경우 의심되는건 냉장고가 의심됩니다. 냉장고의 모터 구동시 순간적으로 큰 전류가 들어갑니다. 이때 차단기가 동작하는 걸수도 있습니다. 이게 항상 큰 전류가 흐른다기 보단 평소에도 기동시 큰 전류가 흘렀지만 차단기의 차단 값에 아슬아슬하게 걸리면 차단이 될때 있고 안될때 있고 그렇습니다. 혹은 컴퓨터를 쓰고 있을때 냉장고 모터가 돌아가는 걸수도 있죠 2번의 경우 차단기로 부터 나간 경로 중 한군데서 선이 낡아서 그런 걸수도 있습니다. 저희집이 예전에 화장실 전등 라인에 이런 경험이 있어서 화장실 전등 라인을 새로 갈았습니다.
25/05/24 14:50
전기 업자를 부르셔야 합니다
후크를 걸어서 부하전류를 보던 메가로 절연저항을 보던 그걸 먼저 하고 냉장고가 문제면 냉장고 업체를 컴퓨터가 문제면 컴업자를 부르는게 맞습니다 뭐 단순 차단기 노후화로 차단기 고장일수도 있습니다
25/05/24 20:46
차단기 떨어지는건 이유가 워낙 다양해서 윗분들 말씀대로 전기 업자 부르셔야 합니다.
차단기가 낡아서 그럴수도 있고 못버텨서 그럴 수도 있고 누전차단기능이 있는거면 누전을 감지해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누전도 전선이 낡아서 그럴 수도 있고 전선에 상처가 나서 그럴 수도 있고 전선연결부위 절연 불량일 수도 있고 사용하고 있는 전자기기의 문제일 수도 있죠. 그걸 혼자 하기엔 장비도 지식도 부족하거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