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1/30 17:00:27
Name nexon
Subject [질문] 주식 매수후 갑자기 급락해서 손절라인을 넘겨버릴 때는 어떻게 하시는지요...?;


안녕하세요

주식매매할 때 매수후 천천히 하락할 때는 제가 정한 손절라인 근처에서 그냥 포기하고 손절할 수 있는데요

갭하락처럼 갑작스럽게 큰 급락이 나와서 손실이 확 커져버렸을 때는 어떻게 하시는지요...?;

갑자기 너무 하락해버리는 바람에 단번에 손절라인보다 한참 낮아져버려서 지금 손절하면 큰 손실인데 이럴 때는 어떻게 하는 게 좋은 것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bettersuweet
25/01/30 17:15
수정 아이콘
해당 주식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너무 케바케인데요. 저는 제가 장기적으로 오를거라고 생각하는 주식에만 투자하기 때문이 이런 경우 추가 매입합니다.
25/01/30 17:44
수정 아이콘
펀더멘탈에 대한 확신이 있는지부터 고민해봐야죠.
단순 급등주여서 들어간 거면 더 물리기 전에 손절하고, 며칠전 엔비디아 폭락 같은 건이면 추매 찬스구요.
25/01/30 17:54
수정 아이콘
강제 장투
블레싱
25/01/30 18:01
수정 아이콘
정답은 없죠. 시장 자체 하락이냐. 그 종목만 하락이냐. 하락 원인은 뭐냐. 예수금은 얼마나 들고 있느냐... 등등 상황이 다 제각각이라...
25/01/30 18:09
수정 아이콘
아침에 시초가에 시장가로 다 날려버리지요.
자기가 부담되는 그릇에 맞는 비중이라면 국장은 갭하락 나와봤자 30%니까 던져도 상관없는데....
일반인들은 내리면 물타서 빠져나올려고하다가 더 큰 갭하락을 맞아서 물려서 강제 장투가 되는데 이러면 기회비용도 날라가고
적자기업이면 나중에 시간만 질질 끌다가 상폐당해서 주식이 휴지조각 되는거죠
적자기업이면 당연히 배당도 안 나오니 오래가지고 있어봤자 배당소득도 없지요.

리먼사태 같은거 겪어본 사람들은 다 알지만 주가가 한 번 내리면 평생 안 돌아옵니다. 리먼 사태때 중공업이나 태양이랑 철강 잘나갔는데...
이제 포스코랑 삼성중공업 oci같은 주식들은 그 때에 비해 반토막 수준이 아니라 반에 반에 반토막 나서 평생 주식 가지고 있어도 절대 본전 안 돌아올 수준까지 왔지요. 물타기도 정말 신중하게 해야 됩니다.
25/01/30 18:45
수정 아이콘
본인의 원칙을 지켜야죠. 그게 없으면 투자를 하시면 안되고.
슬래쉬
25/01/30 19:00
수정 아이콘
장투할 생각 있던 종목이면 물타기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죠
25/01/30 19:21
수정 아이콘
삼성전자 손절라인 한참 넘게 잡고 있다가 외제차 한대 날려 먹었습니다. 국장이면 손절 하고 미장이면 한번 기다려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잡주 제외)
25/01/30 19:22
수정 아이콘
손절합니다 저는
닉네임을바꾸다
25/01/30 19:40
수정 아이콘
그래서 지수추종이나 꾸준히 삽니다 개별주는 자신없음...
앙겔루스 노부스
25/01/30 20:25
수정 아이콘
솔직히 주식투자엔 왕도가 없어요. 그나마 ETF가 왕도에 가까울 뿐이고. 비슷한 사례에서 전혀 반대로 움직여버리는 경우가 어디 한두번이어야죠. 물론 사후적으로 보면 합당한 이유들이 대개 있긴 합니다만, 그런걸 사전에 알 수 있다고는 워런 버핏도 피터 린치도 말하지 않습니다.
25/01/30 20:30
수정 아이콘
매수를 왜 하셨는지에 따라 다르지 않을까 싶은데요..
현재 급락이 기업가치에 대한 일시적인 저평가라면 버티는 거고, 트레이드면 해석하는 개인 나름인 것 같습니다.
25/01/30 21:33
수정 아이콘
뭘해도 선택인데 물만 타지 마세요
영원히하얀계곡
25/01/31 09:48
수정 아이콘
당연히 그 상황도 손절입니다
25/01/31 20:38
수정 아이콘
............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543 [질문] AI로 합성한 장래희망 사진 [2] 유랑2657 25/02/02 2657
179542 [질문] Jpop 고수 분들 노래좀 찾아주세요 [5] 삑삑이2528 25/02/01 2528
179541 [삭제예정] 연인의 연락 관련 문제 때문에 고민이 있습니다. [29] 삭제됨4034 25/02/01 4034
179540 [질문] 갤럭시 폴드 최신형들은 내구도가 좀 좋아졌나요? [9] This-Plus2828 25/02/01 2828
179539 [질문] 종신보험 문의 합니다. 너이리와봐1437 25/02/01 1437
179538 [질문] 씨퓨온도 83도 쿨러문제인가요? [7] 교자만두1737 25/02/01 1737
179537 [질문] 이 천체는 무엇일까요? [7] 及時雨1737 25/02/01 1737
179536 [질문] 구형 노트북 OS 갈려는데 뭐가 나을까요? [9] 깃털달린뱀1612 25/02/01 1612
179535 [질문] 자동차 냉각수가 2년정도면 줄어드나요? [10] 8억빠2325 25/02/01 2325
179534 [질문] 업무용 키보드 하나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월터화이트2155 25/02/01 2155
179533 [질문] 노무 관련 질문드립니다 (계약직 중도퇴사시 페널티?) [2] 고기깡패1920 25/02/01 1920
179532 [질문] 고양이 모래 추천 부탁드립니다 (고양이 사진 투척) [14] 주니뭐해3945 25/02/01 3945
179531 [질문] 현대차 네비에 뜨는 표시 뭘까요?(사진 첨) [2] feedback2397 25/02/01 2397
179530 [질문] 사회초년생 크지 않은 주식 포트폴리오에 채권 추가 의미있을까요? 등등 [6] 휵스2001 25/02/01 2001
179529 [질문] 갤럭시 s25 질문입니다 [7] BBsDaddy2702 25/02/01 2702
179528 [질문] 혹시 90년대에 zgzg였나..지그재그였나 브랜드 아시는분 계신가요? [4] 로각좁2616 25/01/31 2616
179527 [질문] 외제차 프로모션 계약할때 기준인가요 [2] 두억시니2462 25/01/31 2462
179526 [질문] 오늘 전세계약을 했는데요 하나 희한한 게 있어서요 [3] 호비브라운3103 25/01/31 3103
179525 [질문] 소유자 입장에서 상가 월세 알아보는 방법이 있을까요? [3] 국힙원탑뉴진스2146 25/01/31 2146
179524 [질문] 이런 게임 없나요? 가칭 스크립트 파이터 [11] kimmo2400 25/01/31 2400
179523 [질문] 미국 흑인 새내기대학생 인사법 유튜브쇼츠 동영상 찾습니다. [1] 루카와1734 25/01/31 1734
179522 [질문] 카카오톡이 핸드폰과 태블릿 중 하나에서만 됩니다. 해결방법을 알려주십시오 [7] 청둥오리2233 25/01/31 2233
179521 [질문] 소설 <삼체> 출판사 별 교차로 읽어도 되나요? [2] 세이밥누님1847 25/01/31 184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