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1/08 00:23:23
Name 설사왕
Subject [질문] 지구 온난화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작금의 가장 큰 이슈 중 하나가 바로 지구 온난화인데요.
흔히 지구 온난화의 가장 큰 증거를 유래 없이 빠른 기후 상승이라고들 하지 않습니까.
그렇다면 예를 들어 1000만년 전 혹은 1억 전에는 이 정도의 빠른 기후 상승이 없었다는 건가요?
제 얄팍한 지식으로는 그렇게 오래전 온도를 정확히 측정하기는 어려워 보여서요.

아니면 그렇게 오랜 옛날은 제외하고 최근 몇 천년, 몇 만년 정도를 기준으로 유래없이 빠른 기후 상승이라고 하는 걸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별이지는언덕
25/01/08 04:55
수정 아이콘
대략 5600만년전 팔레오세 온난화시기가 지금 현재 지구온난화와 비슷한 속도라서 많이 참고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 지층 분석을 통해 탄소 측정을 했었나 그랬던걸로 다큐에서 봤던 것 같습니다.
가장 최근은 2만년 전 온난했다가 1만6천년전 빙하기로 들어가면서 200년간 빙하기로 간게 가장 최근 온난화시기로 알고 있습니다.
25/01/08 10:04
수정 아이콘
1. 고대부터 기상관측은 있어왔지만(조선의 경우 측우기로 강수량 측정한것처럼) 현대의 기상관측 기준을 세우고 데이터를 쌓아온건 1800년대 후반부터로 이때부터 '관측데이터'로 분류하고 그 이전은 명확한 관측 데이터는 없으니 여러 자료를 참고해서 당시 기후를 추측하고 있습니다.

2. 이 과거 기후를 추정하기 위한 학문을 '고기후학' 이라고 하고 몇천, 몇만, 몇억년 전 지구의 기후변화를 추측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두 동원하고있고 각 방법이 나타내는 추정치들을 서로 비교하여 값을 최대한 특정하고 있습니다.
고기후학 나무위키 : https://namu.wiki/w/%EA%B3%A0%EA%B8%B0%ED%9B%84%ED%95%99 (상대적으로 간단한 정보만 적혀있음)
고기후학 위키피디아(영어) : https://en.wikipedia.org/wiki/Paleoclimatology (상대적으로 자세하게 작성되어있음)

3. 질문하신 최근 유래없이 빠른 [기온] 상승에 대한 의문은 나무위키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얼추 답을 아실수 있을거 같습니다.
https://namu.wiki/w/%EA%B8%B0%ED%9B%84%EB%B3%80%ED%99%94/%EC%9D%98%ED%98%B9%EA%B3%BC%20%EC%84%A4%EB%AA%85#s-4.4


추가)덧붙이자면 급격한 기온 상승은 지구온난화의 가장 큰 증거라기 보다는 [결과]에 더 가깝습니다. 기온 상승이라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인간활동이 아닌 다른 요인 - 즉 자연적인 요인 - 들은 과학자들의 연구로 대부분 반박되어 2021년에 [오직 인간만이 지구온난화의 원인]으로 단언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378 [질문] 알뜰폰 안쓰면 자급제기기 메리트가 없죠? [13] 스물다섯대째뺨4476 25/01/16 4476
179376 [질문] 호주 시드니 여행 계획을 잡았는데, 숙소 위치 등 궁금합니다. [6] LG의심장박용택4888 25/01/15 4888
179375 [삭제예정] 축의금 질문입니다 [18] wish buRn6207 25/01/15 6207
179374 [질문] 연말정산 관련 질문드려요.... [6] 닉넴길이제한8자5468 25/01/15 5468
179373 [질문] UMPC 중고 스팀덱 OLED VS 로갈리흰색 선택 장애 왔습니다. [10] 공염불5703 25/01/15 5703
179372 [질문] 설 연휴 부산 동백섬 공영주차장 자리 어떨까요 시무룩3942 25/01/15 3942
179371 [질문] 연말정산 관련 질문입니다(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상환 관련) [4] mbily5265 25/01/15 5265
179370 [질문] 퇴사자 롤링페이퍼 좋은 어구 있을까요 [15] 정 주지 마!5072 25/01/15 5072
179369 [질문] 노트북 USB-PD 충전과 TGP 의 관계? [2] 서울4197 25/01/15 4197
179368 [질문] 이번 LA산불이 미장 폭락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을까요? [6] 독서상품권3933 25/01/15 3933
179367 [질문] 50대 여성용 화장품 선물 세트 추천 좀 해주실수 있을까요? [10] Haru4727 25/01/15 4727
179366 [질문] 10만원대 중고 스마트폰 추천 부탁합니다 [3] 기무라탈리야5090 25/01/15 5090
179365 [질문] 유플러스 너겟 알뜰폰 요금 써보신분 있나요? [5] rnsr4606 25/01/14 4606
179364 [질문] 영웅문 어플 계속 쓸까요? [8] 도전과제4804 25/01/14 4804
179363 [질문] 노션에서 개인 플러스 프로 요금제 아직 쓰시는분 계실까요? 안녕!곤3891 25/01/14 3891
179362 [질문] 파이썬 공부하기 좋은 방법 있을까요? [6] 닉네임바꿔야지4295 25/01/14 4295
179361 [질문] 항공권 예매 관련 질문드립니다. [8] 총각4345 25/01/14 4345
179360 [질문] 서울 운전언습할 넓은 공터 있을까요? [17] 수리검4952 25/01/14 4952
179359 [질문] 헬스장 예절 [19] 니체5010 25/01/14 5010
179358 [질문] 플스5 프로 관련 질문 [9] 김경호4533 25/01/14 4533
179357 [질문] 결혼정보회사 이용해보신분 계신가요?? [23] 라리6481 25/01/14 6481
179356 [질문] 힘들 때 누구한테 징징대시나요? [77] 모찌피치모찌피치7890 25/01/14 7890
179355 [질문] 경남쪽 지진인가요? [11] 영혼의 귀천6570 25/01/13 65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