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6/11 11:41:13
Name FreeRider
Subject [질문] 방송통신대 혹은 사이버 대학의 AI 학과 (수정됨)
안녕하세요.
50대 초반의 외국계 금융회사에서 회계일을 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대학 졸업한지도 20년이 넘었고 이제까지 직업에 관련된 일을 공부하느라 그냥저냥 지냈었는데 요즘들어 컴퓨터 쪽 특히 AI 분야에 대한 궁금증이 많이 생기네요.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은 분야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다면, 이제는 제 남은 인생의 대부분을 AI와 함께 해야 한다는 현실을 받아들이게 되된 것 같습니다.

지금은 방통대 프라임칼리지에서 AI 전공을 하거나 사이버 대학교에서 인공지능학을 전공할 것을 고려 중입니다만, 커리큘럼을 제대로 따라갈 수 있을 지 궁금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저는 학력고사를 보고 90년대 초 대학에 입학해 사회과학 분야를 전공했고, 지금은 회계일을 하고 있습니다만 실제 컴퓨터와 관련된 일을 한 경험은 없고 관련된 깊은 지식이 있지는 않습니다. AI를 공부해보고 싶은 것은 분야에 대한 지적 호기심도 있지만, 퇴직 후 커리어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바램도 있습니다.

혹 저에게 맞는 커리큘럼을 추천해 주시거나 진로에 대한 조언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추가 : 아래 두분이 급변하는 학문 추세를 지적해 주셨는데, 혼자 공부하는 것이 막막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잘 차여진 커리큘럼을 따라가거나 학기별 목표를 가지고 공부하는게 효율적일 것라는 판단을 했습니다.
커리큘럼을 확인해 봤는데 우선 오랜만에 수학 정석 책을 펴 봐야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6/11 11: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AI 기초를 배워서 써먹을만한 분야는 너무 한정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AI를 이용해서 상품화 할만한 지식들은
매주 업데이트 되는 수준이라 대학에서 가르칠만한 지식을 가진 사람이 별로 없을꺼에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이나 [LLM 활용법] 위주로 공부하시면 원래 가지고 계시던 지식과 결합되서
비지니스 찬스 같은게 좀 보이실수 있을겁니다.


저도 간단하게 기계학습 프로그램 정도는 짤수 있는데 기계학습에 드는 코스트나 데이터 확보를 생각하면
AI 만드는 법을 공부하는건 효율이 별로인거 같아요.
쓸만한 AI는 수십억 [달러] 수준으로 돈이 들어가서..
덴드로븀
24/06/11 12:24
수정 아이콘
교육기관에서 준비한 커리큘럼을 따라가면 AI 에 대한 기초지식이나 활용법은 어느정도 익힐수있긴 할겁니다.

그런데 AI 기술의 특성상 거의 매일 매시간 달라지고 있는게 현실이라
굳이 방통대 같은곳을 안가고 현재 나와있는 AI 관련 책이나 유튜브 영상만 꾸준히 찾아보고 연습해보면 AI 에 대한 적응은 크게 문제 없을겁니다.
안군시대
24/06/11 13:39
수정 아이콘
아직까진 AII 분야가 학문적으로 정립이 잘 된 상태가 아니라고 보여서, 관련 자료 등을 찾아보시면서 독학하시는 쪽이 더 낫지 않을까 하고 조심스럽게 권해봅니다.
24/06/11 14:07
수정 아이콘
퇴직 후 커리어에 대한 고민을 먼저 생각하시고 대학이든 대학원이든 선택하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몇 세에 퇴직하실지 모르겠지만 60대 전후에서 퇴직하신다면 퇴직 후 어떤 직종을 하던 필드에서 실무를 뛰기보다는 관리라든지 지식서비스쪽을 생각하셔야 할텐데 우선 그런 방향성부터 잡으셔야 합니다. 심지어 전문직도 그 정도 나이가 되면 실무에서 점점 벗어나거든요. 금융회사에서 회계쪽 일을 오래하셨다면 전문 CFO로 활동하시는 길도 생각해보세요. 예를 들어, 이쪽으로 진로 방향을 잡는다면 그에 따른 적절한 코스들이 있습니다. 꼭 대학원 정규과정이 아니더라도 mini-MBA 라든지 관련 기관에서 운영하는 양성과정이라든지... 뭐가 되었든 일단 방향을 먼저 잡고 거기에 필요한 것을 덧붙여 나가는 방식이 더 좋습니다.
FreeRider
24/06/11 14:56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원 글에 자세히 설명은 안 드렸었지만, 지금 결산 담당 임원으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만 공부를 하다보니 더 놓은 포지션에 가기에는 영어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 곧 있을 퇴직 후 커리어를 고민 중입니다.
회계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금융 인더스트리로 나온 지가 오래되어 다시 회계법인 생각은 안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실무 능력이 떨어지기도 하고, 뭔가 막연하게 플랫폼이나 시스템 구축을 통한 커리어를 고민하고 있던 중에 AI 에 대한 관심이 생겼습니다.
물론 회계 빅펌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회계 시스템 등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지고 있긴 하지만 더 독립적인 아이템이 있을까 고민 중입니다.
AI 를 직접 개발하는 등의 욕심을 가지고 있다기 보다는 현재 AI가 어떻게 산업분야에 활용되고 있고, AI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691 [질문] 허각과 비슷한 한국 발라드 가수 누가 있을까요? [15] 모나크모나크1941 24/06/16 1941
176690 [질문] 협이 있는 웹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32] 닉언급금지1865 24/06/16 1865
176689 [질문] 대게, 랍스터 류 좋아하시는/싫어하시는 분들께 질문 [32] 마포구 보안관1890 24/06/15 1890
176688 [질문] 주말 마실용 쏘카 vs 스쿠터 [10] 사람되고싶다1546 24/06/15 1546
176687 [질문] 발통증-> 다리하부 통증 부음 상담 [10] 한지민짱748 24/06/15 748
176686 [질문] 초보 운전자 접촉사고 났습니다. 정비 관련 질문 [12] 제노스브리드1374 24/06/15 1374
176685 [질문] 인터넷 티비 설치 전에 샤시 타공 여부 알 수 있나요? [4] 비볼975 24/06/15 975
176684 [질문] 어느 어플, 웹사이트에 가입했는지 알 수 있는 사이트가 있나요? [6] 시라노 번스타인1742 24/06/15 1742
176683 [질문] 코레일 예약대기랑 매진 차이가 뭔가요? [6] 닉넴길이제한8자2020 24/06/15 2020
176682 [질문] 직구 충전지 류 결국 전면차단된건가요?? [8] 여자친구1876 24/06/15 1876
176681 [삭제예정] 죄가 없는데 합의서를 쓰는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추가질문) [25] 삭제됨2655 24/06/15 2655
176680 [질문] 초년생에게 선물 (예산o) [5] 스디1812 24/06/15 1812
176679 [질문] 특정 BPM의 곡을 찾는 방법이 검색할 수 있을까요? [1] 트와이스1264 24/06/14 1264
176678 [질문] 대전야구장 근처 맛집/놀거리 있을까요? [7] 꿀행성1463 24/06/14 1463
176677 [질문] 현재 스크리브너 윈도우 버전을 쓰시는 분 계실까요? [1] 짐바르도1431 24/06/14 1431
176676 [질문] 수원에 괜찮은 이탈리안식당이 있을까요? [7] 쉬군1537 24/06/14 1537
176675 [질문] 주변에 이상한 종교인만 꼬이는 느낌인데 검증법있을까요ㅠ [2] 핸드레이크1484 24/06/14 1484
176674 [질문] 크롬만 인터넷 접속이 엄청 불안정합니다. [2] EnzZ599 24/06/14 599
176673 [삭제예정] 삭제합니다 [11] 삭제됨1653 24/06/14 1653
176672 [질문] 30대중후반 향수 추천해주세요 [4] Mindow682 24/06/14 682
176671 [질문] 차 긁었습니다 ㅜㅜ 수리비 어느정도 될까요? [10] 아기은가누1361 24/06/14 1361
176670 [질문] 서울중구 고기집 추천부탁드립니다 [4] SlamMarine803 24/06/14 803
176669 [질문] 인생 어디에서 즐거움을 찾으시나요? [61] 사람되고싶다2620 24/06/14 26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