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5/20 16:34:44
Name Alfine
Subject [질문] 부부 경제권 합치시면 카드, 계좌 정리 어떻게 하시나요??
25일 월급을 받으면 와이프 / 저 모두 용돈 생활을 하려고 합니다.

대충 생각해보면 필요한 카드 및 계좌가

공동 생활비 카드(계좌)
여자용 카드(계좌)
남자용 카드(계좌)

이렇게 3개가 나오는거 같은데...

선배님들은 어떻게 관리를 하고 계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꼬마곰돌고양
24/05/20 16:57
수정 아이콘
월급 받으면 모두 와이프한테 주고
제 카드값, 용돈 둘 다 다시 제 계좌로 받습니다.
둘 다 카드가 있긴 한데, 카드는 부부 공용일에만 쓰고(외식, 주유, 여행 등), 개인적인 돈은 용돈으로만 처리해요.
고베짱이
24/05/20 17: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부 각각하고있습니다
각 급여 통장
각 생활비/용돈 통장
각 생활비/용돈 카드
네이버 공용 계정 하나 파서 가계부 작성 및 엑셀 정리중입니다
정리 잘하는 한 명이 전체를 관리하고 한달 예산으로 나갈 돈을 전월말이나 월초에 생활비 통장에 넣어줍니다

단점은 용돈카드는 30만원 못채워서 혜택? 못받을 때가 많습니다
jjohny=쿠마
24/05/20 17:04
수정 아이콘
하다 보면 더 많아질 수도 있습니다.

저희집은 대충 1주에 1회 정도는 지출회의를 합니다.
항목별로 세세하게 들여다보지는 않고, 그냥
- 현재 가진 돈(은행 계좌별, 현금 등)
- 앞으로 1달간 들어올 돈(월급 등 날짜순 정리)
- 앞으로 1달간 나갈 돈(카드사별, 대출별, 보험별, 자동이체별 등 날짜순 정리)
- 매달 고정 지출
이렇게 4가지 정도를 함께 엑셀(정확히는 구글 스프레드시트)에 입력해서 확인합니다.
용돈은 그냥 각자 관리하시고 공동 장부에서는 '나갈 돈' 항목에만 넣으시면 될 것 같아요.
마갈량
24/05/20 17:33
수정 아이콘
아내는 남는돈을다 저축시킵니다.
생활비는 제카드로 다 합니다.
저축통장을 유동성 현금으로 고려하고 조절하고있습니다.
24/05/20 17:40
수정 아이콘
개인 소비패턴이나 경제관등이 전부 달라서 두분이 협의봐야 하는 내용입니다.
Far Niente
24/05/20 18:18
수정 아이콘
사실 이 문제는 각자 합의하기 나름이라.. 다른 가정의 방식은 이해가 안 되실 수도 있습니다. 저도 각자 관리하는 거 이해 못 하는지라..

각자 월급 받으면 공통비 통장에 모으고 각자 용돈 빼서 쓰긴 하는데
사실 살다 보면 비용이란 게 딱 잘라지지 않는 것도 있고 그냥 총 지출 규모만 튀지 않게 관리하는 편입니다
이혜리
24/05/20 19:07
수정 아이콘
월급 죄다 주고,
용돈 제 이름카드비번 알려줘서 명세볼수 있게해서 정산받고 제 이름 적금 보험 대출이자 등등 해서 다시 입금 받습니다.
바나나맛우유
24/05/20 23:03
수정 아이콘
생활비의 경우 토스나 카뱅 모임통장 이용하면 1 계좌에 2개 이상 카드 발급이 가능해서 각종 생활비 결제에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24/05/21 00:39
수정 아이콘
저는 원래 제가 쓰던 카드 안쓰고 와이프 명의 카드 하나 받아서 제가 쓸일 있음 그거 쓰고 월급은 와이프 보내줘요
24/05/21 07:14
수정 아이콘
저희는 복잡한걸로 에너지 쓰기 귀찮아해서 최대한 간단하게 합니다. 카드는 공동명의 카드를 같이 씁니다. 월급 통장도 공동명의 계좌를 같이 씁니다. 해당 계좌에서 일단 카드값을 우선으로 먼저 다 갚고 월초 대출 나갈돈+백만원의 최소 금액을 남기고 아내가 간간히 저축을 빼갑니다 (부모님 용돈 등). 여유가 좀 있으면 저도 간간히 저축할 돈 빼가기도 합니다 (애들 학비나 여행 목돈 등).
완성형폭풍저그
24/05/21 08:56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있는데..
외벌이일 경우 내 통장의 카드를 배우자에게 주면 될텐데,
맞벌이일 경우 한쪽의 계좌에 몰빵해버리면 연말정산할 때 불이익은 없나요??
저희는 일단 각자 일정금액을 생활비 통장으로 몰아넣고 나머지 돈은 서로 알아서 쓰는 상황이에요.
생활비는 공통의 생활할때만 사용하고(장보고 여행가고 여가생활 하는 등) 개인적인 일들은 각자 카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24/05/21 10: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당연히 소득공제 풀로 받는 소비를 넘어서면 연말정산 때 불리하겠지만, 그 경우 부부의 총 급여의 20% + 1,000만원 이상 (카드의 경우 1800만원) 을 소비에 쓰고 있다는 이야기이므로 소비가 너무 많다라고도 볼 수 있겠네요.

부부 총 급여 7000만원이라고 해도 카드로 월 300만원은 써야 불이익을 봅니다.
완성형폭풍저그
24/05/21 12:35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24/05/21 10:29
수정 아이콘
공동 생활비통장에 매달 정해서 입금(동일금액 아니고 실수령액 월급에 동일 퍼센트로 입금) 나머지는 자유롭게 씁니당
단다니 쿨쿨
24/05/21 13:33
수정 아이콘
공동 생활비 계좌 / 각자 용돈 계좌 식으로 가는데, 디테일은 좀 다르네요 (둘 다 일반 직장인인데 제가 상여가 항상 높게 나오는 직장이라 배우자보다 대략 2.5배 정도 많이 버는 상황)


둘 중 적은 쪽 배우자 월급은
--> 1번 가족 자금 계좌로 100% 다 보내서 투자를 하든 적금을 들든 재테크를 하고

제 월급을 가지고 --> 2번 생활비 계좌 / 3번 제 용돈 계좌 / 4번 아내 용돈 계좌로 보내고, 2번 계좌에서 생활비 공과금 보험 등등등을 공용으로 처리

그리고 2번 계좌에서 쓰고 남는 돈을 --> 월말에 5번 가족 자금 계좌로 보냄

이 5번 계좌는 파킹통장에서 여유자금 명목으로 갖고있다가, 일정 금액 이상 넘으면 넘는 만큼만 1번 계좌로 보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507 [질문] 소소하지만 급을 올렸을 때 급격히 체감되는 물건? [29] 사람되고싶다1148 24/06/02 1148
176506 [질문] 천오백에서 이천만원 정도 적금들려면.. [6] 엔쏘1028 24/06/02 1028
176505 [질문] 디카페인 더치 원액 추천 해주세요. [3] 안철수974 24/06/02 974
176504 [질문] 기존 컴퓨터 켜지지 않는 문제 [9] 이혜리1206 24/06/02 1206
176503 [질문] 챗지피티나 클로드같은 ai 사이트 구독할만 할까요? [9] wersdfhr1555 24/06/02 1555
176502 [삭제예정] 준중형 이상 사겠다는 사람에게 경차 소형차만 추천하는건 무슨 심리일까요? [47] 삭제됨2800 24/06/02 2800
176501 [질문] 고량주 질문 입니다 [12] 플스51233 24/06/02 1233
176500 [질문] 아파트 창틀, 방충망 청소 방법 질문드립니다. [5] AsuRa1073 24/06/02 1073
176499 [질문] 매드맥스 퓨리오사 전작 안보고 봐도 괜찮나요? [6] dolce biblioteca2314 24/06/01 2314
176498 [질문] 부모님께서 운전하실 3천만원대 자동차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30] 세바준2892 24/06/01 2892
176497 [질문] 챔스결승 스포 안 당하고 하이라이트 보는 방법이 있을까요? [2] 콩돌이1804 24/06/01 1804
176495 [질문] 옛날 만화책 보려면 어디로 가야되나요? [13] Right2811 24/06/01 2811
176494 [질문] 멜라토닌 추천을 부탁 드립니다. [4] 유유할때유2163 24/06/01 2163
176493 [질문] PC를 종료할때 이런 에러가 뜨는데 해결방법 아시는분 계실까요? [6] Skyfall1835 24/06/01 1835
176492 [질문] 식기세척기에 타블렛 세제가 안녹아요 [8] 피지알볼로2129 24/05/31 2129
176491 [질문] 성심당은 과연 특혜일까요? [62] 키토3984 24/05/31 3984
176490 [삭제예정] 감사합니다. 예정대로 삭제하겠습니다. [6] 삭제됨2185 24/05/31 2185
176489 [질문] 직장인이나 자영업분들 맨탈관리 어떻게 하시나요? [22] 칭찬합시다.2318 24/05/31 2318
176488 [질문] 우리나라가 지정학적으로 미국에게 중요한가요? [45] Garnett212616 24/05/31 2616
176487 [질문] USB 포맷하라는 팝업창 안 뜨게 할 수 있을까요? [4] 탄야912 24/05/31 912
176486 [질문] 발성을 제대로 배우려면 어느 학원을 가야할까요? [7] 사람되고싶다993 24/05/31 993
176485 [질문] [루팡] 뺨노트가 생긴다면 사람들은 얼마나 쓸까요? [12] 짐바르도922 24/05/31 922
176484 [질문] 흑인 스포츠스타 goat는 누구일까요? [37] rnsr1837 24/05/31 18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