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5/05 12:56:04
Name 좋습니다
Subject [질문] 전입신고불가 월세
출퇴근이 힘들어 회사근처에  월룸이나 투룸을 알아보는데
컨디션대비 시세보다 많이 싸게 나온 집들이 좀 있더라구요.
3000/60 만원 정도!!
근데 세금문제로 전입신고는 안된다고 합니다.
이게 일반사업자라 전입신고 안되는 경우는 봤는데
세금때문에 전입신고 안된다는 경우는 처음들어봐서요.
해당 부동산에 비슷한 매물이 많아서 혹시 하고 걱정되는데
이런 경우가 흔한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서귀포스포츠클럽
24/05/05 13:00
수정 아이콘
주거용이 아닌데 주거용으로 매물 내놓는거라 그럴겁니다
전입하는순간 각종 혜택받은 세금 뱉어야되서
좋습니다
24/05/05 13:01
수정 아이콘
그런줄 알았는데 주거용이라고 하더라구요
서귀포스포츠클럽
24/05/05 13:04
수정 아이콘
그러면 주인 거주 조건으로 담보대출 받은거 아닐까요? 세금은 아니긴한데
좋습니다
24/05/05 13:33
수정 아이콘
원룸도 거주조건 담보대출이 있나요??
소유주가 같은것으로 추정되는 비슷한 물건이 많은거 보면 그런건 아닌거 같아요ㅠㅠ
24/05/05 13:05
수정 아이콘
전입신고 안되면 나중에 많은 불합리한 일들을 겪을 수 있으니 왠만하면 비추합니다
좋습니다
24/05/05 14:00
수정 아이콘
역시 싸고 좋은집은 없는 건가요.
24/05/05 13:28
수정 아이콘
전입신고 안되면 전세권 등기라도 해달라고 하세요.
좋습니다
24/05/05 13:57
수정 아이콘
월세도 전세권 등기가 되나요??
24/05/05 14:38
수정 아이콘
보증금 3천이라도 전세 등기 하시라는거죠. 전세보증금이야 싸게 한다고 해서 문제가 되는건 아니니까요.
아니면 저당권등기도 좋겠네요.
선순위 담보권이 얼마나 있는지, 담보가치는 충분한지 확인은 필수입니다.
맘이 놓이지 않으면 스트레스 받지말고 다른집 알아보시는게...
좋습니다
24/05/05 19:08
수정 아이콘
그러는게 좋을거 같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몽키매직
24/05/05 21:11
수정 아이콘
전세권 설정은 임대 형태로서의 '전세'와 다른 의미의 단어이고, 임차인이 임대인의 권리를 상당히 위임 받는 게 전세권 설정입니다. 예를 들자면 전세권 설정한 경우에는 임차인이 그 매물을 다시 임대 내놓을 수 있습니다. 법인에서 임대하는 경우나, 건물을 통채로 전세권 설정해서 임차인에게 건물 임대업을 맡기는 경우 같은 목적으로 있는 방법입니다. 전세권 설정을 할 경우 전입신고를 안해도 대항력이 확보가 되는 장점이 있긴 한데, 전입을 하지 말아달라는 이유와 같은 이유로 전세권 설정 안된다고 할 가능성 높고, 전세권 설정도 돈이 드는 일입니다.
RedDragon
24/05/05 13:32
수정 아이콘
연말정산에 월세 낸거 12퍼 돌려받을 수도 있는데 저 조건이면 그거도 안되겠네요.
전입신고 안되면 저도 비추합니다.
좋습니다
24/05/05 13:57
수정 아이콘
제 명의로 아파트랑 오피스텔(주거용)있는데 월세 연말정산 될까요???
되면 엄청 큰거 같은데..
RedDragon
24/05/05 15:32
수정 아이콘
아 그럼 안됩니다. 무주택 세대주여야 가능합니다. ㅜ
이오니
24/05/05 13:41
수정 아이콘
전입신고도 안되는데 보증금 500 넘어가면....
좋습니다
24/05/05 14:01
수정 아이콘
보증금이 월세치고는 좀 쌘편이라...
비오는일요일
24/05/05 13:50
수정 아이콘
전입신고 안되면 하지마세요.
그것도 세금문제?....
좋습니다
24/05/05 14:02
수정 아이콘
근데 궁금한게 전입신고 안한 상태에서 경매넘어가거나 하면
보증금 돌려받지는 못 하더라라도 보증금 받을 때까지 집에서 안나갈 수는 있지 않나요??
한국안망했으면
24/05/05 14:05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보증금 낮은데로 가셔야
몽키매직
24/05/05 14:00
수정 아이콘
대항력 포기하라는 건데 똥매물이죠. 보증금을 받지 말던가
좋습니다
24/05/05 14:02
수정 아이콘
근데 궁금한게 전입신고 안한 상태에서 경매넘어가거나 하면
보증금 돌려받지는 못 하더라라도 보증금 받을 때까지 집에서 안나갈 수는 있지 않나요??
몽키매직
24/05/05 16:03
수정 아이콘
경매 넘어가면 우선순위로 변제되고 나에게 남는 돈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안 나가고 버티는 방법도 있는데 집에서 나가있을 때 짐 빼버리는 방법도 있죠.
그 정도 싸움까지 가지 마세요...
좋습니다
24/05/05 19:09
수정 아이콘
안전하게 가는게 좋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분쇄기
24/05/05 14:05
수정 아이콘
전 보증금 몇백짜리도 전입신고 못하면 안들어갔습니다.
좋습니다
24/05/05 19:11
수정 아이콘
그러는게 좋을거 같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VictoryFood
24/05/05 14:30
수정 아이콘
전입신고 불가면 고시원이라고 보고 보증금없이 월세만 내야죠.
좋습니다
24/05/05 19:13
수정 아이콘
사실 건물에 문제만 없으면 전입신고야 안 해도 상관은 없는데
해당 부동산에 비슷한 매물이 많아서 무슨 신종 사긴가?? 싶기도 하고 궁금해서요
24/05/05 15:41
수정 아이콘
보증금이 월세 50개월친데 저는 안 합니다
좋습니다
24/05/05 19:14
수정 아이콘
그러는게 좋을거 같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이자크
24/05/05 15:58
수정 아이콘
강남같이 직장 근처 오피스텔 같은 경우에 종종 있는 일이라고 하던데요
좋습니다
24/05/05 19:10
수정 아이콘
저도 오피스텔을 가지고 있어서 주택임대는 전입가능 일반임대는 전입불가로 알고 있는데
제가 본 건물은 일반 빌라?? 이런 건물이더라구요
건물자체도 상가나 오피스텔이 아니라 주택으로 되어 있구요
조금 특이한 경우 같아서요
24/05/05 17:16
수정 아이콘
세금때문에 시세보다 싸게 내놓는거니 그에 동의하면 하고 아니면 안하는거죠.
정상적인 경우를 원하면 정상적인 시세의 가격을 지불하면 됩니다.
좋습니다
24/05/05 19:16
수정 아이콘
세금때문이 아니라 다른 이유가 있는가 해서 물어본건데
24/05/05 20:18
수정 아이콘
한놈만 걸려라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180 [질문] 창원야구장 원정석 자리 질문입니다. [1] 하얀샤프란2399 24/05/12 2399
176179 [질문]  짜계치 레시피 멸치액젓으로 하면 안될까요? [13] Fysta4676 24/05/12 4676
176177 [질문] 짜증? 내는말투의 아이 어떻게 훈육하는게 좋을까요 [9] Jane4169 24/05/12 4169
176176 [질문] 역대 유격수의 수비력만 본다면??? [18] 서귀포스포츠클럽4072 24/05/12 4072
176175 [질문] 크롬(엣지) 에서 nvdia 그래픽 카드 모자이크 현상 더 심해지지 않았나요? [6] 바람의바람3174 24/05/12 3174
176174 [질문] 강아지 단단한 간식 필요한가요? [5] 아무무2445 24/05/12 2445
176173 [질문] TV 용 사운드바를 컴퓨터로 연결할 수 있을까요? [8] Infrapsionic2766 24/05/12 2766
176172 [질문] mlb 리그 방식 질문입니다! [3] 골드쉽2442 24/05/12 2442
176171 [질문] 1부리그 승격 후 첫 시즌 우승(레스터시티) vs 무패우승(아스날) [15] 준스톤2812 24/05/11 2812
176170 [질문] 어르신용 태블릿PC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아지노스2780 24/05/11 2780
176169 [질문] 유아가 알콜 섭취시.. [19] 나른한오후4352 24/05/11 4352
176168 [질문] 이거 피싱이겠죠...? [16] 골드2935 24/05/11 2935
176167 [질문] 광장시장 맛집 좀 추천 가능할까요? [5] 아줌마너무좋아2457 24/05/11 2457
176166 [질문] 컴퓨터 모니터, 마우스 등 분배기(?) 질문입니다. [14] 따루라라랑2317 24/05/11 2317
176164 [질문] 경주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19] 퀴즈노스2794 24/05/11 2794
176163 [질문] 싱어게인에서 예전 가수들이 부진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17] 카서스4576 24/05/10 4576
176162 [질문] "트"로 시작하는 캐릭터? 이름 [25] 퀸일리4207 24/05/10 4207
176161 [질문] 컴퓨터 부팅속도가 갑자기 매우 느려졌을땐 무슨 이유인가요? [10] 라리3368 24/05/10 3368
176160 [질문] 전립선비대증은 보통 약만 먹으면 완치되나요? [2] Pika483531 24/05/10 3531
176159 [질문] (혐오스캇주의) 질문이 있습니다 [10] 뵈미우스3508 24/05/10 3508
176158 [질문] 부산 조개구이 맛집 추천부탁드립니다. [2] 잘생김용현2084 24/05/10 2084
176157 [질문] 회사에서 국민연금을 연체 시 개인이 메꿔야 하나요? [2] 경마장9번마3607 24/05/10 3607
176156 [질문] 기타레슨을 3개월정도 받고 있습니다 [26] 김삼관4070 24/05/10 40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