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3/13 10:01:52
Name 리니시아
Subject [질문] 위스키 가격 질문있습니다
한국 주세 때문에 위스키 가격이 해외보다 한국이 상당히 비싸다고 들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외국과 가격이 비슷한 위스키가 있다고 알고있는데요.

조니워커 블랙, 와일드터키 두 가지가 외국과 가격이 비슷해서 국내에서 먹어도 괜찮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아는 정보가 맞는지 궁금하네요.
이 외에도 해외 가격과 비교할때 경쟁력 있는 제품은 뭐가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센스
24/03/13 10:19
수정 아이콘
음...위스키인 이상 기본 2배 정도는 차이는 날 텐데요.
와일드터키만 해도 한국에서 샀던 가격이 일본보다 2배 가량 비쌌습니다.

위스키는 걍 개인 취향에 따라 종류를 고르는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꽃이나까잡숴
24/03/13 10:28
수정 아이콘
조니블랙, 와일드터키(입문라인 기준) 같은 경우는 기본적으로 가성비 위스키다보니까 그런 말이 있는것같습니다.
도수에 따라 차등하는 한국의 주세법 때문에 차이가 안날 수는 없을것같구요
값이 비싸질수록 희소성 등등 기타의 사유로 차이가 커지는 경향은 있는것같습니다.
이부키
24/03/13 10:33
수정 아이콘
당장 옆나라 일본이 기본적으로 가격이 싼데, 엔화 가격까지 싸서 비교가 안됩니다.

조니워커 블랙이 작년 10월기준 700ml가 2280엔으로 나온 사진 찍은게 있는데, 지금 데일리샷 검색해보면 5만원 넘게 나옵니다.
24/03/13 10:35
수정 아이콘
가격이 비쌀수록 세금액이 커지기때문에 가격차이가 더 커집니다.
엔트리라인일수록 가격이 낮으니 그 차이가 덜한거구요.
뭘 먹으나 해외가격하고 비교하면 한국이 더 비쌉니다.
볶음짬뽕
24/03/13 10:35
수정 아이콘
주세때문에 외국과 비슷하지는 않고, 그래도 한국 친화적으로 가격책정을 해주는게 디아지오랑 트랜스베버리지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조니워커나 와일드터키, 글렌그란트는 가격 좋습니다.
리니시아
24/03/13 10:36
수정 아이콘
글렌그란트 까지 가격이 괜찮았군요. 감사합니다.
파르셀
24/03/13 11:27
수정 아이콘
한국은 주세 때문에 수입 술들이 쌀 수가 없는 구조죠
아줌마너무좋아
24/03/13 12:11
수정 아이콘
디아지오 수입사의 경우 해외보다 훨씬 저렴한 금액으로 한정판 제품들을 매년 판매해줍니다
흔히 SR 시리즈라고 불리는 매년 출시되는 한정판이 그렇고 다른 제품들 역시 가까운 일본이나 대만과 비교해도 그렇게까지 차이나지 않습니다


그저 대 디아지오...
평온한 냐옹이
24/03/13 13:12
수정 아이콘
해외라고 해봤자 해외중 한국보다 싼곳은 일본이랑 주원산지인 영국이랑 미국, 캐나다 정도일겁니다.
제가 사는 시드니는 한국이랑 비슷했던 주세를 더 올려서 가격이 작년보다 20-30%정도는 올랐어요. 일본에선 저렴한 산토리 가쿠빈이 한국에서 4만원인데 여기건 80불이 넘네요.
리니시아
24/03/13 13:49
수정 아이콘
해외라고 다 저렴한건 아니었군요...
평온한 냐옹이
24/03/13 14:00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해외는 엄친아랑 비슷하게 사용되는거 같아요
지구 최후의 밤
24/03/13 13:34
수정 아이콘
한국이 비싸기보다 스코틀랜드, 미국 등의 자국 위스키 가격을 제외하면 일본이 특히 싼 것 같아요.
긜고 디아지오는 가격 책정이 신기하긴 합니다.
주세 한 번 뜯어보면 압도적 감사 소리 나오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5376 [질문] 30대에 공무원 그만둔 분들은 뭐할까요? [18] 무민7592 24/03/17 7592
175374 [질문] 라이젠 3600에서 5700x3d로 가면 체감 되려나요? [15] 삭제됨6530 24/03/17 6530
175373 [질문] 제 컴터 아직 현역인가요...?? 그리고 질문! [22] 이러다가는다죽어5629 24/03/17 5629
175372 [질문] 맨 끝 이를 발치하면 임플란트 안해도 될까요? [8] 개떵이다4732 24/03/17 4732
175370 [질문] 혀클리너 추천 부탁드려요. [7] 휴울4406 24/03/17 4406
175369 [질문] 휴대폰 분실시 대처 방법? [4] Right7702 24/03/17 7702
175368 [질문] 연애 질문 (여자 심리) [44] 승뢰6224 24/03/17 6224
175367 [질문] TV 구매 관련 질문 하나드립니다 [10] GoodLuck5248 24/03/16 5248
175365 [질문] 왜 초보자가 사면 하락할까요..? [21] nexon7884 24/03/16 7884
175364 [질문] 어린이 책 제목 찾습니다. [2] 희원토끼4250 24/03/16 4250
175363 [질문] 충치가 한쪽에만 있으면 원인이뭘까요? [3] 엄준식3951 24/03/16 3951
175362 [질문] 유럽 여행 시 심카드 및 카드 질문입니다 [5] Alfine5476 24/03/16 5476
175361 [질문] 만약 번역기의 성능이 완벽해진다면, 외국어를 배우는 건 낭비일까요? [25] 칭찬합시다.5080 24/03/16 5080
175360 [질문] 키보드 연결 후 스피커 사용 불가 문제? [4] 마이스타일5190 24/03/16 5190
175359 [질문] 3m 귀마개 같은거 매일 끼고 자는데 귀에 안좋을까요?? [10] CEO5924 24/03/16 5924
175358 [질문] 컴퓨터 절전모드 후 모니터가 안켜집니다. [3] 화룡점정5347 24/03/16 5347
175357 [질문] 캐주얼 구두 찾습니다. [4] 전화기5750 24/03/16 5750
175356 [질문] 원드라이브 파일 내용이 지워지지 않습니다. 아르키메데스4873 24/03/16 4873
175355 [질문] 라디오 듣듯이 틀어놓고 잘수있는 유튜브 채널 추천부탁드립니다. [10] Ahri5831 24/03/16 5831
175354 [질문] KTX 추월 구간(<-수정) 선로 만들고 특급 노선 [13] 차라리꽉눌러붙을5217 24/03/15 5217
175353 [질문] 통증의학과 신경차단술은 효과 느끼기까지 몇시간 정도 걸릴까요? [1] 고흐의해바라기7154 24/03/15 7154
175352 [질문] FC24 할만한가요? [6] 그럴거면서폿왜함4659 24/03/15 4659
175350 [질문] 어도비 프리미어 초보가 써도 적응할만 한가요? [6] 콩돌이4251 24/03/15 42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