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2/04 16:29:37
Name 칭찬합시다.
Subject [질문] 음력생일을 쓰는 세대는 대충 몇년생까지인가요?
제 부모님 세대인 60년대생들 중엔 음력생일을 쓰는 사람의 비율이 높은 걸로 알아요.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자기는 79년생인데도 음력생일을 쓰고 주변 또래 중에도 적지만 음력생일을 쓰는 사람이 있다는 포스팅을 읽었습니다.

음력생일을 쓰는 건 몇년도 출생까지 존재하던 문화인가요? 70년대생이나 80년대생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었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간커피자판기
24/02/04 16:32
수정 아이콘
저 80년대생인데 음력으로 해여 흐흐
24/02/04 16:32
수정 아이콘
80년대 중후반 생 중에도 음력 생일 세는 경우 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 상은 90년대 생 중엔 못 봤네요.
24/02/04 16:34
수정 아이콘
80년대 후반생입니다. 제가 그렇게 세요.
24/02/04 16:37
수정 아이콘
제 체감으로도 90이후로는 잘 못 본 거 같습니다.
힐러리 한
24/02/04 17:03
수정 아이콘
80후반인데 집에서는 음력씁니다
물론 저는 양력씁니다
24/02/04 17:06
수정 아이콘
제 선배가 89, 빠른90 두분 있는데 음력쓰십니다 크크크
카톡에 뜰때마다 헷갈
김삼관
24/02/04 18:05
수정 아이콘
80년대생이 거의 막바지 아닐까요
24/02/04 18:18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 사람 중 음력생일을 지내면서 가장 젊은 사람은 90년생이네요.
24/02/04 19:57
수정 아이콘
90년대 초반인데 음력으로 셉니다
forangel
24/02/04 19: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60년대생은 대부분이 음력, 70년대생부터 줄어들기 시작해서 80년대 후반되면 거의 다 양력 이렇게 변한거 같더군요.
음력은 매해 생일날짜가 변하다보니까 집에서는 음력으로 하더라도 친구나 외부적으로 생일 챙겨먹을려고 양력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죠.
24/02/04 20:03
수정 아이콘
80후반인데 또래나 친구중에 음력쓰는사람 한 명도 못봤네요.
댓글보니 의외로 많아서 신기하네요.
24/02/04 21:04
수정 아이콘
70년대까지는 음력이 좀 더 많은 느낌이고 80년대 오면서 양력으로 역전된 느낍니다. 물론 근거는 없고 주변 체감상..
24/02/04 21:12
수정 아이콘
87년생인데 호적 편의 이유로가 아니라 리얼로 음력 생일 챙기는 친구 딱 한명 보긴 했습니다.
칭찬합시다.
24/02/04 22:32
수정 아이콘
답변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시무룩
24/02/05 09:19
수정 아이콘
90년생이고 음력 씁니다
왜 쓰는지 모르겠는데 어릴때부터 쓰기도 했고 뭔가 또래 중에서는 유니크한 감성이라 굳이 안바꾸고 계속 씁니다 크크
goldfish
24/02/05 10:55
수정 아이콘
80후인데 윗분 댓글처럼 집에선 음력으로, 밖에선 양력으로 챙깁니다. 음력 생일 스스로 챙기는 것도 귀찮고 힘들어요~
파르셀
24/02/06 10:51
수정 아이콘
80후 인데 집에선 음력, 밖에선 양력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837 [질문] 만 4세정도에 유익하고 교육될만한 영상들 추천 부탁드립니다. [5] will6221 24/02/10 6221
174836 [질문] 모니터가 사망했습니다. 32인치 4k 모니터 추천 부탁드려요. [8] 아케르나르6401 24/02/10 6401
174835 [질문] 스팀게임중 캐릭터가 성장하는 재미가 큰 게임 있을까요? [4] 스물다섯대째뺨6047 24/02/10 6047
174834 [질문] 에어 매트 추천 부탁 드립니다 [1] Alfine4910 24/02/09 4910
174833 [질문] 골린이 골프채 구입 질문입니다. [9] Good5262 24/02/09 5262
174832 [질문] 넷플릭스 일본어 한국어 동시 적용 가능할지요? [6] 오하이오6083 24/02/09 6083
174831 [질문] 설연휴 교통질문입니다 [2] rDc664953 24/02/09 4953
174830 [질문] 페이커의 '점프킹' 이거 새로 업데이트 된 건가요? [1] 마음속의빛5237 24/02/09 5237
174829 [질문] 차 네비에서 애플카플레이 사용 질문이요 [2] 리코타홀릭6486 24/02/09 6486
174828 [질문] 기계식 키보드 저소음 적축 추천부탁드립니다. [4] I.O.I5869 24/02/09 5869
174827 [질문] 대장암 절제 수술 후 회복 관련 [1] 하늘의이름7218 24/02/09 7218
174826 [질문] 후쿠오카 jr 규슈 패스 질문입니다. [4] 보급보급6653 24/02/09 6653
174825 [질문] 출시 전에 기대감이 가장 컸던 게임이 뭘까요? [25] Rays7319 24/02/09 7319
174824 [질문] 연휴에 시간 보낼만한 스팀게임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8] 2506184 24/02/09 6184
174823 [질문] 작품 하나를 찾습니다 [10] LG우승5647 24/02/09 5647
174822 [질문] 손웅정씨 인터뷰도 클린스만 돌려까기 였을까요? [9] 공부맨6740 24/02/08 6740
174821 [질문] 의대 증원은 일시적인가요? [10] 한국안망했으면6926 24/02/08 6926
174820 [질문] 로켓프레시 최소금액 왜 사라졌나요? [9] 바람의바람14371 24/02/08 14371
174819 [질문] 원룸 중개보수를 근린생활로 받는것은 합당한가요? [5] WSID6494 24/02/08 6494
174818 [질문] 설 연휴에 볼 만한 드라마나 영화 추천 부탁드려요. [9] ArcanumToss5560 24/02/08 5560
174817 [질문] 닌텐도 스위치 라이트 누워서 하기(무게) 괜찮을까요? [4] DOGPIG5916 24/02/08 5916
174816 [질문] 축구 경기(해축 및 국대) 보는 눈을 업그레이드하고 싶습니다. [7] Brisk6091 24/02/08 6091
174815 [질문] 컴퓨터가 고장났습니다. [16] 무냐고5605 24/02/08 56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